카차토를 쫓아서
팀 오브라이언 지음, 이승학 옮김 / 섬과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년 전만 해도 사람이 어떻게 본인 나이를 헷갈릴 수 있을까 의아해 했지만, 이제는 누군가 나이를 물을 때 90년생이라고 말하는 나를 발견한다. 만화작가가 꿈이었던 시간과 2002년 월드컵에 들떴던 초등학교 6학년의 여름, 첫 이별에 울었던 20대 중반 성북동 시절, 꽈배기 내기 다트 게임을 했던 판교의 서른 초반. 나에게 시간이란 결국 그런 식으로 인식된다. 아마도 나에게 어떤 과거에 대해 물을 때 나는, 아마도 영원히, 2014년 4월 중순의 어느날 이후인지, 아버지가 돌아가셨던 2021년의 봄 이전인지를 고민할 것이다. 나에게 시간은 그렇게 가늠된다.

물색없는 천성 탓인지, 혹은 어쩌면 나이 탓인지, 기억은 자주 가물가물하다. 난 10년간 쓴 일기를 책으로 냈음에도 내 과거가 흐릿하다. 어느 날 월터형이 내 책을 반쯤 읽다 한숨을 푹푹 쉬며 이 사람이 누구냐 물었다. 난 웃으며 이건 거짓말로 진실을 말하는 책이라 대답했다. 대답하긴 쉬웠으나 아마 납득하긴 어려웠을지도 모른다. 그 글들은 어느 지점부터 상상이었지만 난 그것이 또한 진실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소설 <카차토를 쫓아서>는 베트남전쟁 도중 파리로 간다며 도망간 ‘카차토’라는 탈영병을 쫓는 한 부대의 이야기다. 이 책은 이야기의 순서가 뒤죽박죽인 탓에, 읽어나가다보면 나름대로 이야기의 순서를 가늠하게 된다. 지금은 빌리 보이 왓킨스가 죽은 후의 시점이라거나, 프렌치 터커의 코가 멀쩡할 때의 이야기, 혹은 카차토가 아직 도망가기 전이라는 식으로. 상실과 상실 사이의 순서를 가늠한다는 것은 슬픈 일이다. 죽음과 죽음 사이에 기억을 끼워넣는 것은 또한 잔인한 일이다.

아마도 그 과정은 작가 팀 오브라이언이 겪었던 두서없는, 동시에 납득되지 않는 죽음들을 떠올리는 시간들과 흡사하리라. 소설 속 닥(Doc) 패럿은 묻는다.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까지가 사실의 확장일까? 그리고 사실과 가능성은 어떻게 구분될까? 무엇이 진짜 벌어진 일이고 무엇이 그저 벌어졌을지 모를 일일까? 요령은 찬찬히 사실이 물러나고 상상이 들어앉는 곳을 살피는 것. 그리고 중요한 질문을 던지는 것. 카차토는 왜 전쟁을 떴을까?
작가가 순서를 가늠하는 죽음들 사이 어느 순간부터 거짓말이 시작되었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 소설은 글쓰기에 관한 소설로 읽히기도 한다. 어떤 죽음과 상실이 창작을 추동한다는 다분히 예사롭지만 이상한 사실에 의해서. 그리고 상상이 시작되는 지렛목은 언제인가 하는 질문에 의해서.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은 진짜야. 소설의 제사(題辭)엔 이렇게 적혀있다. 사랑은 아마도 딸기맛 찹쌀떡과 비슷할 것이라 상상했던 2011년의 대학교 후배가 앞으로 할 사랑은, 꼭 말랑하고 달콤했기를. 작가는 그런 상상들을, 기도를, 혹은 후회와 망설임, 속죄의 다른 이름을 쓰는 것. 상상이 시작되는 곳을 더듬어 올라가다 보면 그런 것들이 존재한다. 그것을 상상할 수 없으면 우린 말할수도 없다. 난 그것이 진짜라고, 삶에 올리는 제의라고 생각한다.

좋은 작가를 만나는 일은 항상 벅차다. 근래엔 나에게 팀 오브라이언이 그랬다. 이 작가를 알게 해준 1인출판사 섬과달에 감사의 인사를.. 팬심으로(?) 출판사 대표님이 격주로 하시는 워크샵에도 참석했다. 저번주에 사람이 적어서 슬펐는데, 다음주엔 사람이 더 왔으면 하는 마음에 글을 또 끄적여본다.

p.s 마지막으로 작가 팀 오브라이언의 인터뷰에서 인상깊었던 부분.
-
가령 제가 전쟁은 지옥이라고 말해요-실제로 그렇기는 해요-하지만 그 표현은 우리가 더 많이 느끼도록 허락해주질 않아요. 이야기라는 마법을 통해서, 인물들이 각자 선택을 하고 제 삶을 살아가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우리는 종종 사건들에 실제로 몸담는 느낌을 받습니다. 심장박동이 빨라지죠. 눈물을 흘립니다. 빙그레 웃음을 지어요. 우리는 느낍니다. 베트남에서 벌어진 미국의 전쟁이 도덕적으로 모호하고 복잡했다 이해했다고 쳐요. 그런 모호함과 복잡함에 개인적으로 사로잡히는 건 또 다른 문젭니다.

역사는 축소를 합니다. 역사는 생략을 해요. 역사는 일반화를 하죠. 그런데도 대체로 우리는 역사 교과서를 진실하다 여기고 ‘허클베리 핀의 모험’을 진실하지 않다 여깁니다. 이게 저를 어리둥절하게 만들어요. 하지만 부탁인데 오해는 마세요. 논픽션도 중요해요. 저는 좋은 역사물이나 좋은 자서전을 읽는게 아주아주 좋고, 내가 ‘실제 벌어진 일’을 발견한다는 착각도 대단히 즐겁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