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광
워커 퍼시 지음, 이승학 옮김 / 섬과달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말을 할 때 적확한 단어 대신 그 근처를 맴도는 부정확한 단어를 말하는 습관이 있다. 그러다보니 사람들에게 상처를 줄 때도, 틀렸다고 교정을 받을 때도 있다. 할머니처럼 나중에 나도 치매가 오려나 무서운데, 치매예방을 위해 고스톱을 열심히 쳐야하나 싶다. 


 이런 버릇이 망상을 할 때엔 적잖이 도움이 되는데, 전혀 상관없는 단어들이 들러붙어 재미난 이야기를 떠올리게 해주는 탓이다. 양 극단은 서로 닮았다는 것을 나는 내 말실수에서 느낀다.


 애드거 앨런 포의 소설을 읽다 이런 이야기를 들은 기억이 있다. 사람의 망막은 중심보다 가장자리가 더 빛에 민감하기 때문에, 별을 볼때엔 그것을 똑바로 바라보지 않고 살짝 비껴 바라보아야 한다고. 금성을 지나치게 오랫동안, 지나치게 집중해서, 지나치게 똑바로 지켜보면 사라지는 법이라고. 아마도 진리나 깨달음을 향해 가는 자세에 대한 이야기였을텐데, 어릴 때 읽은 그 구절은 내 마음에 또렷하게 남았다. 다만 나는 그저 비껴간 단어를 말하고 별을 잘 보는 어른이 되었다. 


 어릴적 읽은 포의 이야기가 다시 떠올랐던 건 수년 전 재야의 볼링고수 친구와 볼링을 치던 때이다. 곧잘 스트라이크를 치는 친구에게 비결을 물었더니 중앙을 노리는게 아닌 그 살짝 옆을 노리는게 포인트라고 했다. 스트라이크를 노리고 한 가운데를 힘껏 치면 양 끝의 핀이 남아 다음 차례에 둘 중 하나만을 노려야 한다고. 어쨌든 공에 스핀을 줄 수 있어야 하기에 그리 도움되는 조언은 아니었지만, 생각 없어 보이던 친구놈이 포와 비슷한 말을 한다 싶어 다시 새삼 다시 보였다. 한평생 양 극단의 단어 사이를 오가는 여행자처럼, 중앙을 비껴치며 살아온 내 인생에 다시금 응원을 주는군. 물론 친구는 몰랐을 테지만.


 연말에 우연히 워커 퍼시의 <영화광>을 읽고 감동받아 결국 이런 글을 쓴다. 정말 별 내용 없이 30살이 된 주인공이 1주일 동안 일상을 때우는 이야기인데, 무엇보다 제목이 영화광임에도 불구하고 영화 이야기는 손톱의 때만큼만 나온다는 점도 훌륭한 비껴감 포인트!.. 장난이고, 난 결국 이런 시시껄렁함을 사랑하는 족속인가보다. 내 단어처럼 방황하는 일상. 목적지를 향해 가는 게 아닌 그저 주위를 맴도는 이야기. 일상성에 잠겼다 떠오르는 자맥질에 삶의 깊은 행복과 슬픔이 담겨있다.


 결국 올해 그렇게 살았다. 금성의 언저리를 바라보며, 단지 별을 많이 보는 사람이 되어서. 단어의 언저리를 가늠하며 더듬어가는 사람들을 포옹하며. 선의의 오해를 마음가짐으로 말에 귀기울여주는 따수움에 고마움을 느끼며. 교정보다 웃음이 선행하는 마음 씀씀이. 미끄러지는 단어의 가장자리를 함께 헤매며 살아온 해의 마무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