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 인간의 맛
도올 김용옥 지음 / 통나무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맹이 이야기|

감상문을 남길 때엔 오롯이 책에 대한 감상과 경험만을 쓰려고 하기 때문에 책의 인용은 최대한 피하려고 하지만 책에 대한 이야기를 쓰려면 몇몇 구절들을, 특히 "군자의 중용은 "시중 時中"이고 소인의 중용은 "무기탄 無忌憚"이다."라는 구절을 가져와야만 같습니다.

누구나 자신만의 도리를 가지고 중용을 지키고 있지요. 그렇기 때문에 중용을 실행하는 것으로 군자와 소인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서로 중용하는 시時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中은 가운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한자라는 것이지요.

소인의 중용인 무기탄에서 기탄이란 거리낌을 의미합니다. 거리낄 안다는 것은 신중할 안다는 것이지요. 신중함이라는 것이 이성의 원형이라고 말하는 지은이는 거리낌은 인간에게 '거리' '여유' 허락하며 실수의 가능성을 줄여주는 것이라고 말하며 겸손인 동시에 인간다움의 강함이라고 말하는데, 이런 삶의 태도를 가져야겠다고 생각해본 있나 진지하게 반성하게 됩니다.

 

"중中" "시時" 속에 있기 때문에 시간과 상황에 따라 중용할 알아야 한다는 지은이의 말은 감동으로 다가오지만 의미는 타인을 이해할 때에도 중요하게 여겨야 덕목이라고 생각합니다. 나와 타인이 같은 시간과 공간을 공유한 "시時"라고 할지라도 사람마다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나의 중으로 타인을 판단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나의 중과 시만큼 다른 사람의 중과 시를 이해하려 해야 하지 않을까요.

 

마지막으로, 한참 공부하고 있는 학생으로서 인상 깊은 구절을 빌어 마무리하고자 합니다.

 

공자가 말하기를 세상 사람들이 자기를 보고 박식하다고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공자는 자문한다: "과연 내가 아는가? 아니야! 나는 아는 것이 별로 없어. 그런데 말이야! 비천한 아해라도 나에게 질문을 하면, 비록 그것이 골빈 듯한 멍청한 질문이라 할지라도, 나는 반드시 양단兩端의 논리를 꺼내어 두드려보고 그가 납득할 있도록, 있는 성의를 다해서 자세히 말해준다. 그래서 내가 아는 것처럼 보였을지도 모르지."

 

껍데기 이야기|

마이클 샌델의 책들을 보면 명사 강연을 묶은 책들의 디자인도 예쁘게 하던데 반을 나눠서 디자인을 저렇게 했어야 했을까요. 프레임의 디자인도, 아래 프레임의 사진도 예쁜데 섞이는 바람에 예쁘게 보이네요. 그래서 아쉬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