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연의 세트 - 전10권 - 2003년 개정판
나관중 지음, 김구용 옮김 / 솔출판사 / 200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삼국지는 어쩌면 현재 우리 세대의 가장 큰 스테디셀러일지도 모릅니다. 어쩌면 그 소설에서 나오는 인물의 생생함과 흥분시키는 전장의 매력때문이겠죠. 그리고 보편적인 가치관을 말하고 있는 점도말이죠. 예를들면 삼형제의 도원결의에서부터 그들의 죽음까지는, 자신을 위해 죽을수 있는 친구(혹은 그 이상을 초월한)를 만나면 그건 성공한 인생이라는 점. 자신을 믿어주는 이를 위해서 목숨바쳐 충성한다는 점 등이 있곘습니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이 책에 대한 재평가가 일어나야한다고 몇몇지식인들이 주장했고, 이 삼국지라는 책을 완벽하게 느낄려면 이런 점들도 알아야겠습니다. 삼국지에서 주장하고 있는 보편적인 가치관들중 몇몇은 21세기 현대에 맞지 않다는 것도 있다는 것이죠.(물론 보편적이라는 말은 '어느국가,어느시대에서라도 들어맞는'이라는 뜻으로 제가 앞서 한 말은 모순이 되지만말입니다.)

그 한가지는 덕德만 추구하는 유비같은 인물이 되면 안될것입니다. 삼국지에서 그려지고 있는 유비라는 인물은 아무런 재능도 없이 덕만 많은 인물로 그려지고 있습니다. 덕이 있는 군주이기에 훌륭한 인재들이 모여 그의 일을 처리한다는 것이지요. 하지만 현재에는 덕 뿐만이 아닌 실력이 있어야 자신의 밑으로 훌륭한 인재들이 모이게 되고, 그런 사람들이 자신의 가치를 더욱 크게 해줄 것입니다. 어쩌면 그때그때 상황에 맞는 계략이라도 스스로 만들어 낼수 있는 조조같은 인물이 현대에는 더 잘맞는 지도 모르겠습니다.
다른 한가지로는, 변심變心도 때에 따라선 할줄 아는게 능력이라는 것입니다. 이는 책에서 강조하는 충忠에 관한 내용입니다. 현대에서 요구하는 인물상은 여러가지일을 전문적으로 잘 하는 사람입니다. 이는 과거의 한가지일이라도 잘 수행할수 있는 사람이 바람직했던 것과는 많은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 사람의 상사를 끝까지 믿고 따르는 것보다는 때에 따라서 자신의 능력을 끌어줄수 있는 믿음직한 사람을 찾는 능력이 더욱 중요할 것입니다.

물론 책에서 강조하는 의리와 신뢰감이란 것들은 현대에도 꼭 필요한 사항입니다만, 삼국지에 나오는 모든 사상들을 맹목적으로 수용하는데에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맹목성은 어디에서나 지양되야할 사항이겠지만요.

지금까지 내려오면서 많은 번역본과 많은 해석편을 가진 삼국지. 이는 이 책이 가진 힘을 보여주는 단편적인 사례입니다. 여지껏 읽어보지 않으신 분,혹은 완역으로 읽어보지 않으신분은 이 기회에 완역독으로써 삼국지의 매력을 객관적으로 느껴보시는 것도 좋은 경험이 아닐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