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지키는 관계의 기술 - 건강한 인간관계를 위해 적당한 거리를 만드는 명쾌한 방법
네드라 글로버 타와브 지음, 신혜연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제목을 보면서 한국적이라는 느낌이 들었다.

요즘 우리나라의 가장 큰 이슈 중에 하나는 '나에 대한 것' 이다.

'나부터 잘 살자' 라는 말을 모토로 스스로에 대한 것이 시작된 것이다.

그 중에 하나는 감정적인 부분이다. 이 부분은 심리와도 연결된다.

나를 지키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라는 생각을 많이 할 것이다.

책에서도 '관계' 라는 단어를 기준으로 나를 지키는 방법에 대해 얘기한다.

그리고 나는 이렇게도 말해보고 싶다.

'나를 지키는 방법은 나를 먼저 발견해야 한다.'

함께 보도록 하자.

나를 지키고,

우리 모두를 지키기 위해서.

나에 대한 심리학은 대표적인 것이 있다.

바로 '회복탄력성' 이다.

회복탄력성은 김주환 교수님이 우리나라에 퍼뜨린 하나의 효과적인 힘이다.

* 회복탄력성에 대해 먼저 볼까요?

회복탄력성에 대해 봤다면 나를 지키는 방법에 대해서 어느정도 알 것이다.

아니 전체를 알았다고 봐도 무방하다.

회복탄력성의 대표적인 요소는 '긍정' 과 '운동' 이었다.

그런데 그걸로도 부족할까?

책에서 말하는 것은 부족한 것을 채우려는 게 아니다.

'영향' 에 대해 말하고 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타인과 함께 한다.

회복탄력성에서도 나오긴했지만 회복탄력성은 개인을 위주로 시작한다.

이 책은 관계 시스템을 어떻게 구축해야 할지 다루고 있다.

그래서 나오는 대표적인 문제점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세계적인 사상가이면서 '오리지널스' 와 '기브 앤 테이크' 의 저자인 애덤 그랜트는 말한다.

많은 사람들이 일상 속 가장 큰 어려움이 가족관계에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전혀 다른 곳에서 해결책을 구하곤 한다.

이 책은 심리 문제의 근원으로 들어가 생각지도 못한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내는 지혜를 제공한다.

정신 건강이 마침내 마땅히 받아야 할 관심을 받고 있는 시기에 근본적이고 실용적인 해답을 준다.

바로 나왔다.

바로 가족관계가 대표적인 문제다.

우리는 가족관계에서 문제를 겪는다.

우리나라의 사례를 생각해보자.

곧 있으면 추석이 다가온다.

추석에 다른 친척이나 가족들과 어떤 것을 해왔고 즐거웠는가?

생각해보는 것이다. 그리고 적어봐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화해야 한다. 가족들과 함께 솔직하게.

그리고 싸우거나 다툴 것이다.

이제까지 우리가 가족들과 해왔던 과정을 다시 겪어야 될 수 있다.

분명하지만 힘들 것이다.

하지만 기억해야 한다.

더 이상 피하면 안된다. 마주해야 한다.



 

 

우리는 가족과 살면서 어렸을 때부터 다양한 경험을 한다.

가족과 학교를 통해서 어린 시절을 다 겪고 배운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면서 둘도 없는 친구도 만나고 세상에 단 하나뿐인 스승을 만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는 굉장히 좋은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반대편의 경우도 있다.

다시는 만나고 싶지 않은 친구와 스승이 있을 수 있다.

그렇다면 가족은 어떠한가. 다시는 만나고 싶지 않은가?

지금은 연락도 안하고 지내는가?

왜 그렇게 됐는지 피하면서 살아왔다면 다시 한 번 생각해보자.

우리는 언젠가 다시 가족을 만나게 될 것이라는 것을 기억하자.

지금은 안 좋을 수 있다. 그리고 더 좋을 수 있다.

하지만 명확하다.

배우자는 어린 시절 받은 깊은 상처를 직접 치료해줄 수는 없어도, 치료를 받게 해줄 수 있는 사람이다.

하지만 반대로 상대의 익숙한 트라우마 경험을 재현함으로써 상처를 자극하는 배우자도 있다.

예를 들어, 화가 나면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무시하는 부모 밑에서 자란 사람의 경우, 배우자가 비슷하게 행동하면 버림받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 사이클을 깨기 위해서는 어린 시절의 문제가 성인이 된 현재의 관계에서 어떤 식으로 다시 불거지는지 인식하는 연습을 하는 게 중요하다.

우리는 가족관계로서 듣고 말하면서 함께 해야 한다.

당신의 잘못이 아니라는 것이다.

다른 가족의 잘못도 아니다.

가족관계의 문제는 누군가 한 명에게 잘못을 돌리는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나와 또 다른 누군가가 연결된 하나의 공동체이다.

거기서 우리는 여러가지 감정을 기대한다.

가족이기때문에, 아버지이기 때문에, 엄마이기 때문에, 누나이기 때문에, 동생이기 때문에.

여러가지 이유를 만들면서 동일한 패턴으로 동일한 가족관계문제를 겪는다.

누군가는 그럴 것이다.

'누가 그걸 몰라서 그러냐'



 

 

당연히 알고 있을 것이다. 알기 때문에 화가 나고 싸우는 것이다.

알고 있기 때문에 더 기대하는 것이다.

왜 알면서 상처를 주는 것이냐고 말할 수 있다.

그렇게 반복되는 것이다.

우리는 회사에서 반복되는 실수에 대해서는 철저히 다짐하고 고치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가족관계에 대해서는 철저하지 않다.

오히려 등한시 한다.

다시 보면서 상황에 대해 판단하지 않고,

또 다시 같은 패턴의 문제가 발생하면 그 사람에게 화를 내려고 한다.

그렇게 다툼이 반복된다.

용서했다고 해서 같은 행동을 계속 허용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누구도 같은 공격을 반복할 권리는 없다.

당신은 몇 번이고 용서하면서 계속 잘 지낼지, 용서해주고 그냥 관계를 끊어버릴지 결정할 수 있다.

용서 여부, 그리고 용서 이후 어떻게 할지는

당신의 선택이다.

그래서 우리는 말하고 용기를 내야 한다.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인사이트는 단번에 습득할 수 없다.

과정이기 때문이다.

오늘 우리가 살펴본 가족관계에 대해서는 '패턴' 이 있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잘못된 패턴을 긍정적인 패턴으로 바꾸기 위해 필요한 것은 다음에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더이상 숨기지말고 솔직해져야 한다.

자신에게도, 가족에게도.

#심리학, #회복탄력성, #나를지키는관계의기술, #컨티뉴언, #컨티뉴언인사이트, #독서, #책추천, #네드라글로버타와브, #매경출판,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