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차 산업혁명 시대, 전문직의 미래 -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술혁신이 가져올 새로운 전문직 지형도
리처드 서스킨드.대니얼 서스킨드 지음, 위대선 옮김 / 와이즈베리 / 2016년 12월
평점 :
품절
“기계가 점점 유능해짐에 따라 인간전문가에게는 무엇이 남을까?라는 질문의 답은 남는 것은 점점 적어질 것이다가 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부정하기도 힘들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전문직이라는 것이 필요할까? <4차 산업혁명 시대 전문직의 미래>는 그렇지 않다고 말하고 있다. 로봇이 기사를 쓰고 증권 거래를 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더욱이 인공지능의 발달로 로봇의 기능은 인간의 많은 것들을 대체하고 있다. 빅데이터, IBM의 왓슨, 알파고 등은 이와 관련해 자주 언급되고 있다.
이런 기술혁명의 시대에 전문직의 미래에 이 책은 의료, 교육, 종교, 법률, 언론, 경영컨설팅, 세무와 회계감사,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어떠한 일이 펼쳐지고 있는지 보여준다. 이로 인해 전문직은 탈신비화되고 있다. 사실 전문직에 대한 정의도 어렵지만 전문직이라는 타이틀 자체가 사람을 신비화시켰다. 과거 산업 사회에서는. 그렇지만 향후 전문직의 미래는 탈신비화로 인해 미래는 불투명하다고 말한다.
“기술 기반 인터넷 사회에서는 스스로 작동하거나 비전문가 사용자가 운영하는 기계, 점점 더 유능해져가는 기계가 이제껏 전문가와 고유 영역이었던 작업들 대부분을 수행할 것이다. 사회에서는 전문성을 생산하고 분배하는 방식에 ‘점진적 변혁’이 일어날 것이며, 이는 결국 전통적 전문직의 해체로 이어질 것이다.”
책은 전문직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패턴을 제시하고 있다. 맞춤형 서비스 탈피, 수동에서 선제로 전환, 비용은 적게 서비스는 많이라는 도전, 자동화, 혁신, 자료 처리 숙달, 탈중개화와 재중개화, 개인화와 대량맞춤, 새로운 사업 모델 등.
분명, 인간 고유의 영역이 있을 수도 있다. 생각과 윤리. 그렇다고 전문직의 미래가 밝은 것은 아니라고 명확하게 말한다. 기술혁신이 실업을 초래하고 있듯이 전문직도 마찬가지다. 전문직의 이러한 변화에 대한 수용 거부는 오히려 전문직의 고립을 초래할 수 있다.
“대부분의 전문가가 자기 직업의 전통에 깊이 사로잡혀 있고 근본부터 과거의 업무 방식에 깊이 매몰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이 지닌 지식과 경험, 즉 실용적 전문성이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도 활용가능하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힘들어 한다.”
인간과 기계의 전쟁에서 전문직은 어떻게 나아가야 할까? 전문직은 전문직으로서의 새로운 역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향후 불확실한 미래에 좌절하기 보다는 과거 전문직이라는 포장에서 벗어나 고객관점에서 정말 제대로 된 전문직이란 무엇일까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나는 전문가라는 생각보다 고객이 나의 전문성을 통해 어떤 혜택, 가치를 얻을 수 있는지를 생각해봐야 한다.
“이제 우리 모두에게는 전문성을 세상에서 더욱 폭넓게 공유할 수 있는 수단이 있다. 지금은 그 수단을 사용하려는 의지를 보여야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