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영의 세기
스튜어트 크레이너 지음, 박희라 옮김 / 더난출판사 / 200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테일러를 기점으로 해서 100년간의 경영학의 변천을 이야기하고 있다. 경영학이 경제학등의 여러 학문들의 풀 속에서 빠져나온 시점으로 잡는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에서 시작해서, 포디즘, 호손 실험, 마케팅, 조직이론, 품질운동 등의 여러 분야를 두루 섭렵하는 내용은 여느 경영학 개론서보다도 응집력있는 내용을 제공한다.
이 책만 놓고 정독하면 일단 경영학의 전반적인 흐름과 주요 분야(재무와 MIS부분은 누락되어 있지만)를 빠르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경영학에 있어서 어떤 것이 이슈인가, 또 어떤 것이 전통적인 견해인가를 이 책에서는 잘 정리하고 있다. 미국 중심적이긴 하지만, 경영학이 태동하고 가장 발달한 곳이 미국인 만큼 이 점은 어쩔 수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은 기술적인 문제를 몇가지 가지고 있다. 번역의 질이 초반에는 괜찮다가 후반으로 갈수록 흔들리는 경향이 있다. 또, 전문단어들을 잘 번역하기는 했지만, 사소한 단어들을 놓치고 있는 경향도 보였다.
무엇보다 참을 수 없는 점은, 서명을 언급한 부분을 그대로 직역하는 바람에, 이 책들을 찾아보려는 사람에게 상당한 부담을 준다는 점이자. '다섯 고리의 책'은 미야모토 무사시의 유명한 병법서인 '오륜서'의 번역이고, 현재 이 책은 국내에도 나와 있다. 또, 리델 하트의 'Strategy'나 클라우제비츠의 'On War'같은 책들을 인용하면서도 이 책의 국내 번역명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서 어리둥절한 이름으로 인용하고 있었다. 하다못해 근처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찍어보았다면 이정도로 어이없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점을 감안해도 이 책의 원서 자체는 충분히 좋은 내용이고, 또 번역자와 감수자의 번역도 전반적으로 나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예비 경영학도들과, 경영학에 뜻을 가진 분들, 그리고 경영대학원을 준비하는 분들은 읽어볼 가치가 충분한 책이다. 그러나, 이 한권으로 경영의 모든 분야를 알았다고 할 수는 없다는 점은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