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샤먼킹 32 - 언젠가의 노래
타케이 히로유키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5년 7월
평점 :
절판


2008년 3월부터『샤먼킹 완전판』이 일본에서 발매가 된다고 한다. 몇일 전 우연히 그 소식을 듣고 다시『샤먼킹』을 보기 시작했다. 이 작품은 흐지부지하게 끝이 난다. 주워 들은 이야기지만, 그 이유가 연재하고 있던 잡지에서 짤렸다는 것이다. 사실 여부는 잘 모르겠지만 그럴듯 하게 들리기도 한다. 

여하튼 이 작품은,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샤먼에 관한 내용이다. 500년마다 한번씩 열리는 샤먼 파이트라는 대회를 통해 각자의 꿈을 갖고 샤먼킹이 되려는 샤먼들의 이야기를 오야마다 만타(小山田 まん太)라는 주인공의 친구를 화자로 내세워 들려주고 있다. 

샤먼이라는 것은 유래가 무척 오래된 것으로, 샤머니즘이라는 원시 종교의 한 형태에서의 주체적 행위자를 일컫는 말이다. 샤먼이라는 단어는 17세기 후반에 트란스바이칼 지방과 예니세이 강가에서 퉁구스인을 접했던 한 러시아인에게서 알려졌는데, 그 단어의 유래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설이 존재하지만 대체로 퉁구스 토착어설이 유력하다. 

샤머니즘의 가장 완전한 형태는 극지방과 중앙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되어 진다. 하지만 이 지역에만 국한된 현상이 아니고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북아메리카 등지에서도 비슷한 현상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샤머니즘이 본래 북아시아 제종족과 고아시아 제종족의 종교현상을 지칭한 것이었지만 점차 세계 각지의 유사한 종교현상을 총칭하는 것으로 사용되어 졌기 때문이다. 

작품 속에서 샤먼은 영과의 빙의를 통한 강신(降神)의 형태로 나타난다. /엠파스 백과사전을 보면 이런 강신은 샤머니즘이 다른 마술적·종교적 개념 및 기술과 혼합되어 있는 지역에서 나타나는 부차적 현상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빙의는 이 작품에 있어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요소로서, 샤먼 파이트는 빙의를 통해 이루어지며 샤먼 파이트에서 진다는 것은 무력의 소멸로 인한 빙의의 해체를 의미한다. 등장인물들에게 빙의되는 혼들은 각자의 능력 또는 속성을 지니고 있어서 캐릭터의 개성을 표현하는 하나의 도구가 되고 있는데 그들 중 몇몇은 어떤 캐릭터를 연상시킨다. 가령 타오 렌(道蓮)의 지령인 마손(馬孫)은 말을 타고 언월도를 휘두르는 삼국지의 관우를 연상시킨다. 

또 천사를 지령으로 하는 X-LAWS나 불교계 신을 지령으로 가지는 간다라도 등장하고 있어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가져와 작품의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거기에 자연령과 스핑크스나 피라미드 등의 건축물을 토대로 한 령, 골렘으로 대표되는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것까지 등장해 세계 각지를 배경으로 한 다체로운 캐릭터로 작품을 그리고 있는 점은 보는 재미를 더해준다.

/이 작품에서는 예수 또한 샤먼으로 그리고 있다. 추측컨데 예수가 행한 일을 어떠한 영능력적인 것으로 설정했던 것 같다. 한 대학의 석사 논문에서는 성경에서 모든 형태의 영매술을 단호히 배격한다는 점과 샤머니즘적, 오컬트적 세계관을 구조적 도구로 사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작가에 의해 기독교 신앙의 중심적 가치관들이 일종의 샤먼적이고 오컬트적인 현상의 하나로 격하되고 변질되어 표현되어 졌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논문에서도 밝히고 있지만 이것은 단지 기독교적 관점에서의 문제점이다./

최대의 단점이라면 처음에 말했던 것처럼 역시 흐지부지한 결말을 들 수 있겠는데, 이것은 완전판에서 마지막 권의 뒷이야기가 그려졌다고 하니 완전판이 나오게 되면 없어질 문제다. 뭐 어떻게 그려질 것인가에 따라 바뀔 수도 있겠지만 지금은 기대가 크다. 우야둥 빨리 나오기를 바랄 뿐이다.

뱀다리. 작가는 타케이 히로유키(武井宏之)이며 일본에서 1998년부터 2004년까지『주간 소년 점프』에 연재되었고 TV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이 되어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총 64화가 방영되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심슨가족 더 무비
데이비드 실버맨 감독, 댄 카스텔라네타 외 목소리 / 20세기폭스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역시 심슨이었다. 그들이 선사해주는 재미는 영화 속에서도 돋보였다. 심슨은 1989년에 첫 방영이 되어 지금까지 무려 18시즌이 만들어진 엄청난 장수를 보여주고 있는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다. 18년이나 방송될 수 있는 데에는 분명 심슨만이 지니는 독특한 재미가 있다. 심슨에는 풍자적 요소와 패러디, 재미와 감동이 모두 들어있어서 다른 작품들과는 차별된 웃음을 선사해주고 있는 것이 주된 요인이 아닌가 싶다. 

이 극장판도 심슨의 첫 극장 데뷔작이라 많은 기대 속에서 작년에 개봉되었는데 기대만큼 호평을 얻었다. 이번 극장판에서는 가족애를 소재로 하고 있는데 대략적인 줄거리는 이렇다. 스프링필드에서 전과 다름없는 일상을 보내고 있는 심슨 가족에게 역시나 호머의 생각없는 행동으로 위기가 닥친다. 그것은 호수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호머의 투기로 심각한 환경파괴가 행해져 미 당국에서 거대한 돔으로 스프링필드를 고립시킨다. 그 원인이 호머인 것을 안 스프링필드 시민들은 호머에게 몰려오고 호머를 비롯한 심슨 가족은 알래스카로 도망치게 된다. 사실 이런 사건은 호머의 아버지가 교회에서 일으킨 발작을 통해 예견되어진 것. 알래스카로 간 심슨 가족은 우연히 스프링필드를 폭파하려는 당국의 계획을 알아차리고 스프링필드를 구하러 간다. 우여곡절 끝에 스프링필드를 구하는 호머는 주민들의 환영을 받고 영화는 막을 내리게 된다. 

가족애를 소재로 했다는 것은 이런 전개 속에서 호머와, 마지와 바트를 중심으로 한 마찰이 그려지고 끝내 해소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기 때문이다.

스토리의 전개 중간중간에 재밌는 요소들이 포진하고 우리를 웃음의 바다로 이끌 준비를 하고 있다. 앤딩 크레딧에서도 심슨의 재치를 볼 수 있어 마지막까지 눈을 땔 수 없게 한다. 심슨의 첫 극장 나들이. 기대했던 것처럼 실망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구리 중사 케로로 - 최종병기 키루루 (극장판) - [할인행사]
Various 출연 / 애니박스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케로로의 주요 등장인물 거의 대부분의 전투씬을 볼 수 있는 종합 선물 세트 같은 애니였다. 러닝타임이 채 한시간도 안 되는, 59분, 짧은 분량이지만 케로로로써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된다. 키루루와 케로로의 전투 장면에서는 왠지 울트라맨이 연상되어서 역시 케로로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줄거리는 케로로와 고유키가 건프라를 사고 돌아오던 중 우연히 고대병기인 키루루를 깨우게 되는데, 그 키루루는 사람들에게 텔레파시라는 초능력을 지니게 하지만 이는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마음을 전할 수 있다는 기쁨도 잠시, 읽혔다는 생각에 사로잡히면서 신뢰와 믿음을 잃게 된 사람들은 무기력증에 빠지고 만다. 이런 사람들로부터 나오는 마이너스 에너지를 흡수한 키루루는 거대하게 변해 지구를 파괴하게 되는데, 이를 막으려는 케로로들은 미라라의 도움으로 간신히 지구를 구한다. /일본을 구한다는 표현이 더 적절하겠지만./

텔레파시를 통해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은 상당히 흥미로운 일이긴 하지만, 되려 말로 표현하는 지금보다 더 속 마음을 감추기에 급급하게 될 것 같다. 이 작품에서는 그러한 점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대상 연령이 비교적 낮은 작품이긴 하지만 내용적인 면이나 재미의 측면에서 보면 연령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 작품이다. /뭐 케로로를 보고 유치하다고 하는 사람을 거의 보지 못했지만 성인물은 아니니 하는 소리다./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는 현재 2기까지 나와있고 이 작품은 1기에 해당된다. 국내에 코믹스도 발매가 되고 있는데 작년 여름 경에 14권이 나오고 아직 소식이 없어서 안타깝다. TV판 애니는 국내에 투니버스에서 3기가 방영되고 있다. TV판은 아직 보지 않아서, 더빙을 싫어하는 관계로, 잘 모르지만 /극장판과 TV판 사이에 차이가 없다는 사람들이 있어서/, 코믹스는 꾸준히 봐 오고 있는데 어여 다음 권이 발매되었으면 한다. 

이 작품의 감독은 TV판의 사토 준이치(佐藤順一)가 총감독을 맡았고 일본에서는 2006년 3월에 처음으로 공개되었고 국내에서는 2006년 5월에 개봉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지개 여신 (2disc)
쿠마자와 나오토 감독, 아오이 유우 외 출연 / 엔터원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푸른 하늘 하얀 구름 사이로 무지개가 고개를 내민다. 그 무지개는 일명 환수평 아크라 불리우는, 일반적인 둥그런 무지개가 아닌, 이름 그대로 수평인 무지개다. 뒤 이어 '토모야데스'라며 무지개 사진을 찍은 토모야의 멋진 목소리로 영화는 시작된다.

이 영화는 이와이 슌지가 기획과 각본, 제작에 참여한 이와이 풍의 러브스토리다. 이십대 중반 청춘의 사랑을 그린 이 영화는 또 한번 일본 영화에 빠져들게 만들었다.

토모야는 짝사랑 하는 여자를 스토킹하는 도중 아오이를 만나게 된다. 이 우연한 만남은 앞으로의 둘 관계의 밑거름이 된다. 이 만남을 계기로 친구가 되고 결국에는 사랑이라는 감정을 느끼게 됨으로. 토모야의 부탁으로 아오이는 짝사랑과의 만남을 주선하게 되지만 그녀의 거절과 아오이의 설득으로 그녀를 포기하게 되는 토모야. 하지만 만나게 해주는 조건으로 토모야에게서 만엔을 받게 되는데 이 때에도 환수평 아크, 그러니깐 수평 무지개가 등장한다. 무지개가 등장하는 이 장면이 토모야가 만엔을 반지로 접어 아오이의 손가락에 끼워주는 것이었는데, 그런 장면에서 이 무지개, 영화의 제목이 무지개 여신인 것으로 보아,는 앞으로 아오이와 토모야 사이에서 둘이 느낄 감정에 대한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 후 둘은 대학 영화 동아리에서 같이 영화를 찍게 되고 졸업 후에 아오이는 토모야의 권유로 계속 영화 일을 하게 된다. 정작 토모야는 취직하지 못하고 아르바이트로만 전전하다가 아오이의 권유로 그녀의 회사에 취직하게 되고 잠깐 동안이지만 같은 곳에서 일하게 된다. 그 때 어느 클럽에 취재를 가게 되고 아오이는 토모야에 대한 자신의 마음을 알게 된다.

하지만 아오이는 미국으로 가 버리는데 거기에는 토모야가 자신의 마음을 알아주지 못한 게 중요한 이유가 되었다. 영화에서는 토모야의 애매한 표정이 드러나지만 나는 알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러나 그녀의 장래를 위해 붙잡지 못했다고 생각되어 진다. 

결국 이 헤어짐이 둘의 마지막이 된다. 아오이는 비행기 사고로 죽게 되고 그녀의 죽음으로 인해 토모야도 그녀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알게 된다. 이 때 등장하는 것이 불에 그을린 아오이의 휴대폰. 그 휴대폰의 배경은 토모야가 아오이에게 보냈던, 영화 첫 장면의 그 무지개 사진이 있다. 그리고 그가 남긴 음성도 녹음이 되어 있다. 아오이가 생애 마지막으로 보고 들었을 무지개와 토모야의 목소리. 곧 휴대폰은 배터리가 없다는 메시지와 함께 꺼져 버린다. 이 휴대폰은 아오이를 상징하는 개체고 그 속에는 수평무지개와 토모야의 목소리가 녹음되어 있다. 휴대폰 속에서 그들은 공존하고 있다. 그 휴대폰을 가지고 있는 한 둘의 연결고리는 끊어지지 않는 것이다. 휴대폰은 둘을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 영화에서 놓칠 수 없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아오이가 대학 때 찍었던 the end of the world라는 영화. 이 영화는 본 영화의 마지막에 보여지는 영화 속 영화다. 8mm 필름으로 제작된 이 영화는 감독인 쿠마자와가 직접 찍은 것이다.

격한 감정이 뭍어 나지는 않지만 오히려 이 잔잔함이 영화 속 인물들의 감정들 더 잘 보여준다는 느낌이 들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남자 그여자의 사정 : 비밀일기 일반판 (12disc) - [할인행사]
DVD 애니 (DVD Ani)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오래 전 만화책으로 먼저 만났던 유키농과 아리마. 둘과의 만남은 애니에서도 즐거웠다.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인물들도 코믹스보다 더 개성 넘치는 모습으로 다가왔다. 

/애니는 1998년 말부터 1999년 초까지 약 5개월 정도 일본의 TV에서 방영되었고 코믹스판은 이후에도 계속 나와 일본에서는 2005년에 21권으로 완결지어 졌다./

유키농과 아리마는 고등학교 1년생으로 소위 말하는 우등생이다. 하지만 유키농은 가면을 쓴 우등생. 실은 허영의 대왕이었던 것이다. 일등을 위해서 안 보이는 곳에서 부던한 노력을 하고 이뤄낸 자신의 모습을 추앙(?)하는 주변 사람들의 모습에 즐거움을 느끼는, 그런 우등생인 것이다. 반면 아리마는 진짜 우등생. 그러나 그에게도 계기가 있었는데 그것은 자신의 아픈 기억 때문이다. 에도시대부터 의사 가문으로 이름 높았던 명문 집안에서 태어난 그는 낳아준 부모에게 버림 받게 된다. 그의 집안에서는 아리마의 아버지를 좋게 보지 않았고 그런 영향으로 아리마도 어린시절을 불행하게 보내었던 것이다. 그런 그에게 따스하게 대해준 분이 바로 지금 그를 길러주신 부모님. 그 부모님을 위해서 그는 우등생이 된다. 

/작품은 그 둘의 사랑을 중심으로 코믹하게 때론 진지하게 그려나가고 있다. 그 둘을 둘러싼 인물들도 각각의 성격이 드러나는 캐릭터로 묘사되어져 다양한 인물 묘사가 이루어 졌다./ 

고등학생의 사랑과 우정을 그린 이 작품은 뛰어난 심리묘사를 보여주고 있다. 묘사는 주로 독백을 통해 이루어 지는데 그런 영향으로 다소 무거워지는 경향이 있다. 그런 부분이 더 마음에 들었던 것 같다. 너무 개그 일색으로 치닫게 되면 작품이 가벼워 질 수 있는데 그런 면에서 카레카노는 웃음 뿐만 아니라 진지한 성찰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부분이 있어서 캐릭터에 더 몰입할 수 있었다.

단점은 흐지부지한 결말을 들 수 있겠다. 이것은 많은 분들이 지적하는 공통의 단점이다. 원작이 끝이 나지 않아서 여운을 남기는 듯한 인상을 주려한 듯 보이지만 너무나도 어정쩡한 마무리였다. 

원작인 코믹스판의 저자는 츠다 마사미(津田雅美)로 대표작은 역시『그 남자 그 여자의 사정』이다. 국내에서는『그 남자! 그 여자!』로 소개가 되었다. 애니메이션은 에반게리온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안노 히데아키(庵野秀明)가 감독을 맡았다. 원제는『彼氏彼女の事情』로 흔히 카레카노라 불리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