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
헤르만 헤세 지음, 이상희 옮김 / 책만드는집 / 201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데미안 - 헤르만 헤세 

 

노벨 문학상까지 받으며 아직까지 후손에게 대단한 작가로 남아있는 헤르만헤세. 그의 책인 '데미안'을 읽다.

너무도 유명한 작품이라 이미 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지는 책이지만 어떤 이유에서인지 모르지만 그의 책을 좀처럼 읽을 기회가 없었다.

 

책의 주인공인 '나'의 내면이 어떻게 변화는지 그 과정을 지켜보면서 어느새 나의 감정도 그에게 이입되었다.

잘못된 친구를 만나게되면 내가 해버린 거짓말때문에 계속해서 그에게 괴롭힘을 당하게 된다. 그로 인해서 나는 계속해서 아래로 추락해 어둠에 이르는 길로 떨어지게 되고, 가족들과도 점점 멀어진다. 나를 괴롭히는 그 녀석의 휘파람소리만 들어도 온 몸의 털이 서는 느낌, 책을 읽으면서 나 또한 어린시절 겪었던 무서운 친구의 계속된 괴롭힘이 떠올랐다. 나보다 덩치가 컸던 친구는 언행으로 가벼운 폭력으로 나를 괴롭혔었다. 지금 돌이켜보면 그 괴롭힘은 별거 아니었지만 그 당시에는 그 괴롭힘이 참으로 큰 고통이었던 것 같다. 역시 책의 주인공 나또한 엄청난 공포속에 시달렸음을 느낀다.

그러던 나는 데미안이라는 친구를 만나게 된다. 데미안은 마치 성자 같았으며, 친구를 괴롭히지도 않았고 정의가 뭔기 아는 친구였다. 나는 데미안을 만나게 되면서 심리적으로 많이 변화하게 된다. 나는 데미안을 만나며 진정한 나를 찾아가게 된다. 나를 찾아가는 과정은 물론 많이 어렵고 힘들다. 책으로만 봐도 얼마나 그 고통이 심한지 나 또한 내적 혼란에 빠질 지경이었다. 아직 고등학생밖에 안된 나를 통해서 지금의 나 또한 나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나는 누구인지 나는 무엇인지 나의 존재 뭐 이런것들 말이다. 사실 성인이 된 지금도 나를 정의하기가 어렵다. 그것은 아주 어려운 일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이 독자들에게 주는 교훈이 크다.

 

성장하는데에는 고통이 따른다. 하지만 때대로 열쇠를 찾아 나 자신 속, 어두운 거울 속에서 운명이 아른거리는 그곳으로 깊숙히 내려가기만 하면, 그 어두운 거울 위로 몸을 구부리기만 하면, 거기에 비친 나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나는 바쁘다는 핑계로 나를 잊고 살았다. 그저 하루하루 급급해 사는것에 만족했다. 이 책을 덮으며 나를 찾고 나를 다져야겠다고 생각했다. 거울을 비쳐보면 그곳에 데미안이 있을 것 같다. 나 또한 나의 데미안을 만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