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내는 엄마 vs 끝내주는 엄마 - 쉽고도 알차게 인도하는 예비부모와 왕초보 부모의 길잡이
김영희 지음 / 가나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를 키우고 있다보니 육아서에 관심이 많아지는 요즘이다. 그래서 육아서는 지나치지 않고 꼭 손이 가게 된다. 이번에 읽게 된 끝내는 엄마 vs 끝내주는 엄마 도 나의 시선을 끈 책이었다. 아이를 키우면서 나도 모르게 생각대로 되지 않을 때가 많은데 준비된 엄마가 되기 위해 책을 읽으면서 많은 것들을 공감하고 배우게 되었다. 특히 우리 아이를 행복한 아이로 키우기 위해서 엄마로서 어떻게 노력을 해야 하는지 몰랐던 부분을 알게 되었다.


아이의 의욕을 up 시키는 엄마가 되기 위해 엄마가 꼭 알아야 할 것이 있다. 바로 자녀도 하나의 인격체라는 걸 인식하는 것이다. 아이의 어린 시절 즉, 유아기가 가장 중요한 시기인 만큼 그때부터 아기와 애착관계가 형성된다. 엄마는 아이의 울음에 즉각 반응해야 한다. 아이를 키우면서 때로는 이 아이 때문에 힘든적도 많았지만 아이는 오직 나만 바라본다는 것, 아이에게 전부는 엄마라는것을 생각하며 힘을내야 한다. 또한 아이는 부모를 모방하기 때문에 늘 언행에 조심해야 한다. 요즘 우리 아이는 말을 배우는 시기로 할 수 있는 말과 단어가 점점 늘어가고 있다. 엄마가 하는 말을 따라하는 아이를 보며 평소 언행에 신중하게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한번쯤 겪었을 떼쓰기. 특히 마트에서 아이가 떼쓰는 장면을 여러 번 목격한적이 있다.  장난감을 사달라고 조르는 아이의 모습을 보면서 그 부모는 얼마나 난처할까 생각해보게 된다. 만약 내가 저 부모의 입장이라면 어떻게 할까 고민해보기도 했었다. 그런 상황에서 아이의 요구를 들어준다면 오히려 좋지 않다는 것을 책에서는 언지하고 있다. 떼를 쓰면 해결된다고 생각하게 되고, 계속해서 떼를 부리게 될것이다. 아이는 자기가 원하던 걸 포기하며 순종, 겸손, 참는 법 배운다. 아이가 자신의 욕망을 적정한 선에서 절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이들은 자기가 원하던 걸 포기하면서 순종과 겸손, 참는 법을 배운다.

 

부모의 기분에 따른 양육 태도가 아이를 혼돈스럽게 한다. 아이의 습관 형성에 도움이 전혀 안 된다. 아이가 혼날 각오를 하고 있는데 부모가 그냥 지나친다면 아이는 혼란스럽다. "다음에 또 그렇게 해도 되겠지" 라며 예사로이 여긴다. 결국 부모의 기분에 따른 교육이 나쁜 버릇을 초래할 수 있다. 일관성 있는 부모의 행동이 중요할것같다. 나 또한 기분에 따라 어떤 날은 혼내고, 어떤 날은 넘어가곤 했는데 앞으로는 일관성을 가지고 아이를 훈육 해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향기나라 2015-12-22 11: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끝내는 엄마 vs 끝내주는 엄마 책 독후감 잘 보았어요.
정말 자식은 마음대로 안되는 것 같아요
이책 처럼 한아이의 태생부터 성인자녀가 되도록 기른 전 과정을 보며
미리 예행연습을 해보야겠어요.
늘 자식의 미래는 불안하죠. 부모라면 자식을 불 앞에 내놓은 듯한데
이책의 가르침대로 인격체인 아이로 길러내야 겠네요.
그리고 기다려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