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 - 2011년 제7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강희진 지음 / 은행나무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은 없는듯한 존재로 살고 싶었다.

특히 소속된 집단 속에서 나의 역할의 비중이 많아질 쯔음에는 그랬다.

그렇게 하루하루를 버티다 나는, 무책임하게 잠수를 타곤 했었다.

세상과의 소통을 다 꺼버린채.. 하지만,

그렇게 유령처럼 잠적한 뒤에도 세상에 대한 궁금증때문에 오히려 더 힘들어지곤 했다.

 

 

 

 

세계문학상을 받은 이 책에는 유령처럼 살아가는 인간들이 등장한다. 그들은 탈북자들이다.

그들이 남한에 온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북학의 사회적인 구조때문에? 어려운 식량고에 못이겨서?

강을 건너 혹은 타국을 거쳐 남한으로 온 그들은 이 곳에서 열심히 살아보겠다는 희망을 가졌다.

하지만, 그들은 자본주의 사회의 체제에 채 적응하지 못하고 낙오자로 전락하고 말았다.

'나'는 방세를 몇개월씩 밀려가며 리니지라는 게임 속에서 산다.

사회에서 '나'의 위치는 바닥이지만 리지니라는 가상세계 속에서는 그는 '영웅'이다.

피씨방에서 몇날 밤을 새가며 게임을 하던 그의모습은 딱 봐도 패배자다.

 

 

어느날 이 마을에 살인사건이 일어난다. 토막살인의 살해자는 다름아닌 탈북자다.

이 사건의 용의자 또한 탈북자이다.

 이 사건의 용의자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각 인물들의 직업과 성격들이 나타나며 탈북자들의 삶을 보여주고 있다. 참으로 아이러니한것은 그들 중에는 괜찮은 직업을 가진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윤락업소에서 일하는 여성들, 직장없이 무직자로 살아가는 남성들이 그들이다. 

 

 

사실, 나는 탈북자에게 관심이 있던 적이 없다.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을 돕는다는 생각을 할때도 탈북자들은 제외였다. 그들은 그저 열외의 대상이었던 것이다.

그들이 남한으로 건너와 어떠한 사회적인 어려움을 겪는지 책을 읽고나서 생각해보게 되었다. 

철저히 자본주의인 남한에서 그들은 적응하기 힘들었을게다.

책에서는 탈북자와 탈북자의 대립관계를 보여주며 사회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었고, 

또한 동성과 이성애의 문제도 다루고 있었다.

살인사건의 용의자가 밝혀지는 부분에서 재미는 느꼈으나,

마지막의 그 편지의 필체가 정확히 누구의 것인지 나와있지 않아 아쉽다.

'나'가 편지의 필체가 누구의 필체인지 알것 같다면서도 나중에는 '아 그 사람이 아닌가?'라며 상황을 맺었기 때문이다.

 

결론 ) 사회와 사람들에게 버림받고, 자기 자신에게조차 버림받은 사람들-

그 사람들이 유령인 것이며 그들은 관심이 필요하다.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