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나무에 꽃이 피면 - 아물지 않는 상처, 6.25 전쟁 근현대사 100년 동화
고수산나 지음, 이갑규 그림 / 풀빛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람이 불면 쏴- 소리가 청명하게 들려오는 대나무는

50년~100년에 한번 꽃이 핀다고 한다.

책의 제목인 대나무에 꽃이 피면은

무얼 간절하게 바라길래

꽃이 피기를 기다릴까 싶어 참 궁금했다.

그리고 표지를 보는 순간

전쟁과 이별 그리고 기다림에 관한 이야기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25전쟁이 있었던 6월

아이와 함께 읽어내려가며

참 마음이 먹먹해졌다.



대나무에 꽃이 피면 줄거리



주인공 순영은 위로는 동복형제로 

오빠가 아래로는 이복형제가 둘이 있다.

새엄마와 동생들을 받아들이지 못하지만

그럭저럭 서울에서 잘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광복이 된지 얼마나 되었다고

북쪽에서 전쟁 소식이 들려온다.

가족들은 반신반의하며 집에 불안하게 머물다

아빠는 군대로 가게 되고

오빠는 사고에 휘말려 죽게 된다.

순영은 대나무에 꽃이 피면 다시 만나자는 

아버지와의 약속을 가슴 속에 품으며

새엄마와 동생들과 함께 부산으로 피난을 간다.

피난길에, 부산에서 새엄마와 동생들과 지내며

그들을 가족으로 받아들이고

휴전이 되자 서울집으로 돌아온다.

집은 폐허가 되었으나

네 가족은 열심히 살아나가고

대나무에 꽃이 피기만을 기다리며

순영은 세월을 보낸다.


 
 






아이와 읽고 있어 참 난감했다.

읽을 때 마다 눈물이 고여

눈에 힘을 열심히 주며 읽었다.





책을 다 읽고 난 뒤 꼬리에 꼬리를 물며

이야기를 하였다.



예전에 외국에 여행갔을 때

그 곳 사람들이 계속 

North? South?하고 물어봤었다는 이야기를 해주며

우리나라는 전쟁이 끝난게 아니라 

휴전한 것이라는 것을 말해주었다.

첫째가 그래서 엄마가 소원종이에 쓸 때

항상 평화통일을 쓰는거냐며 

이제 이해했다는 표정으로 말해주었다.

이어서 대나무 꽃은 무엇인지, 

전쟁이 일어난지 100년도 안 되었다는 이야기 등을 나누었다.





이 땅의 수많은 순영들의 슬픔을 담은 책

6월에 꼭 읽기를 추천하는, 

대나무에 꽃이 피면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