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너의 문화사 - 매너라는 형식 뒤에 숨겨진 짧고 유쾌한 역사
아리 투루넨.마르쿠스 파르타넨 지음, 이지윤 옮김 / 지식너머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너가 사람을 만든다라는 킹스맨 영화 대사가 떠오른다. 매너란 예의범절임과 동시에 인간의 도덕성을 보여주는 행동이자, 각 나라와 문화권의 개성과 특색을 나타내는 고유의 인사이이기도 하다. 이 책의 저자 아리 투루넨은 유럽의 저널리스트로 서양 문화사를 탐구하는데, 문화를 작은 에피소드화해서 재밌게 서술하는 제법 알려진 작가라고 한다. 이 책은 우리가 흔히 보는 예의범절인 매너부터 알지 못했던 신기한 매너, 그 출반이 독특한 이유인 매너까지. 그 매너가 어디서 어떻게 시작되었고 현대의 의미로 변화되었는지를, 가볍고 재미있게 설명하는 매너의 역사책, 문화의 역사책이라 볼 수 있다.


매너의 시작에서는 거리와 안전상의 이유로 시작되었으며, 시대마다 문화권마다 각 통하는 예의 있는 태도와 의미하는 바디랭귀지의 차이점을 목표로, 재밌는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이 책은 매너로 불리는 행위가 무조건 긍정적으로만 평가받을 일은 아니라는 점을 증명한다. 오늘날 예의 바르다고 평가받는 많은 풍습의 이면에는 한 번쯤 의심해볼 만한, 때론 비양심적이라고까지 할 만한 이야기가 숨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여성에게 문을 열어주고 먼저 지나가게 하는 것은 기사도의 대표로 여겨진다. 실제 중세 기사들은 여성들에게 문을 열어주고 먼저 지나가도록 했는데, 이는 매복해 있을지도 모르는 자객들을 유인하기 위한 미끼였던 것이다. 때론 좀 더 삭막한 이유로 매너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예를들면, 모자를 들어 올리는 인사 방식은 악수보다 병균을 덜 옮긴다는 이유로 매너에 포함되었다고 한다.


또한 계층을 구별하기 위한 도구로써의 매너도 있다. 중세에는 식사예절로 계층이 차별화 되었는데, 귀족들은 궁중예절로 식너의 매너를 익히는 것으로 서민과 그들 스르로를 나눠보았다고 한다. 또한 에티켓의 어원으로 보건데, 원래 이는 궁궐 입장으 허용하는 이름표를 뜻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 에티켓을 얻기 위해 귀족들은 왕의 비유를 맞추기 위해 궁중법도를 익혀야 했고, 귀족들이 왕의 총애를 받자, 권력을 빼앗긴 궁정사람들은 외부귀족들이 매너를 어길시 그것을 스캔들화해서 정치적인 공격을 하는 하나의 무기로 사용하기도 했다. 이처럼 매너의 대부분이 유럽의 문화에서 시작된 만큼, 서양 중세권을 중심으로 그들이 만들어 놓은 예의범절이 실제로는 얼마나 애매한 것인지 다양한 예시를 통해 드러내는데, 매너를 주제로 하고 있긴 하지만, 사실상 중세부터 그 이후 유럽의 문화사를 요모조모 내실 있게 훑고 있다.


이 책을 읽어보자. 유럽 문화나 역사에 별다른 배경지식이 없는 독자들도 쉽게 읽을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오늘날 매너가 어떻게 유지되고 변질하였는지 설명하며, 현실에 적용할 만한 생각해볼 거리를 던져준다. 저자 특유의 간결하고 재치 있는 문장으로, 가벼우면서도 풍부하게 매너의 문화사를 살펴보게 만든 책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매너문화사>로 매너라는 형식 뒤에 숨겨진 짧고 유쾌한 역사를 만나보면 어떨까?


특히 첨부하자면, 이 책을 권유하는 이유는 작은 사이즈와 얇은 두께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알기 쉽게 독특한 '매너'라는 소재로 역사를 재밌게 소개하기 때문이다. 두껍고 어려운 역사책으로 다른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어렵게 배우기 보단 이런 흥미위주의 소재, 신기한 일화들을 소개로 흥미 위주로 세계역사나 셰계문화를 알고자한다면 읽어볼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