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와 이드는 프로이트 이전부터 동양에 있었다 - 서양심리학 vs 동양심리학
진혁일 지음 / 보민출판사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학 관련 도서 중 철학과 심리학 분야에서 꼭 한번 쯤 들어봤을 만한 인물이 있다. 프로이트, 그는 오스트리아의 정신병리학자이자 생리학자로 정신분석학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히스테리 환자를 관찰하고 연구해 최면술을 시행하여, 인간의 마음에는 무의식과 욕망이 존재하며, 이를 통해 히스테리 환자를 치유하는 방법과 착각과 말실수 같은 정상 심리에 관한 심층심리학을 확립하기도 했다. 이렇듯 의식, 전의식, 무의식, 자아, 이드, 초자아 같은 심리학 용어는 서양인물에게서 많이 볼 수 있다. 하지만, 수천 년부터 이런 개념들이 ‘동양’에서 존재해 왔다면? 이번에 소개할 책은 서양심리학과 동양심리학의 정면대결이다. 후천적인 정신세계를 다루는 서양, 선천적인 정신세계를 다루는 동양. 이 둘은 어떤 차이를 가지며, 우리가 몰랐던 동양심리학에 대해 자세히 파헤쳐보자.



‘서양심리학의 관점에서 세상 모든 씨앗들은 다 똑같은 씨앗이어야 한다.

사과 씨앗, 포도 씨앗, 복숭아 씨앗 등의 구분이 없고, 모든 씨앗은 다 똑같은 씨앗인 것이다.

다만 그 씨앗들이 어떤 토양에 뿌려지고, 어떤 환경에서 자라는가에 따라

어떤 씨앗은 사과가 되고, 어떤 씨앗은 복숭아가 된다. 이것이 가능할까?

사과나무는 당연히 사과씨앗에서 자란다. 또 복숭아나무는 복숭아 씨앗에서 자라며,

포도나무는 포도 씨앗에서 자란다...동양심리학의 관점이 바로 이와 같다.

즉 서양심리학이 씨앗이 뿌려진 환경을 중시하는 경험과학의 관점이라면,

동양심리학은 씨앗 그 자체를 중시하는 자연과학의 관점인 것이다.’

- 각종 동서양의 고전과 역사, 철학에 능통한 저자

진혁일이 쓴 동서양 심리학이야기, 그 차이는 무엇일까?

우리에게 익숙한 서양심리학용어로 동양심리학을 공부하다!

<자아와 이드는 프로이트 이전부터 동양에 있었다>의 저자 진혁일은 어려서부터 잠을 잘 이루지 못하고 가위에 눌리던 것을 계기로 학창시절부터 그 원인을 찾아내기 위해 서양심리학과 동양심리학을 비롯해 철학, 역사, 종교, 문학, 예술, 신화, 천문학, 수학 등 다양한 학문을 심취하게 되었다. 그 결과 동서양의 심리학을 관통하는 유사성과 차이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류의 발전사를 논할 때 빠트릴 수 없는 위대한 책으로 언급되는 3가지의 책,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의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지동설>, 찰스 다윈의 <종의기원에 관하여:진화론>,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을 보며, 왜 인류의 문명사를 뒤흔들 3가지 대작이 모두 하나같이 서양인들의 작품인지 의문을 가졌고, 그 동안 동양인들은 무엇에 집중 연구했는지를 찾아보게 되었다.

이 책은 서양심리학과 동양심리학의 비교한다. 그는 서양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환경’에 주목했다면, 동양은 주관적이고 인간적인 ‘본성(성격)’에 주목했다고 한다. (그것은 <논어><맹자><대학>같은 주관적이고 현학적인 사상들이 탄생한 것 만봐도 알 수 있다.) 이 책의 그것을 논하는 책이다. 먼저 우리가 익숙하게 알아온 서양심리학을 먼저 소개하고, 뒤이어 동양심리학을 면밀히 살펴보고, 서양과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한다.

서양 심리학에서는 영향을 준 고대 철학자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을 시작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프로이트와 융에 대해 이야기 한다. 프로이트의 저서인 <꿈의 해석> 그리고 그가 주장한 인간본성의 4가지 구성요소(무의식, 억압, 유아성욕, 정신삼분법), 인간을 움직이는 두가지 욕동(욕망)인 리비도와 타나토스에 관해 설명하고, 그보다 더 발전된 메슬로의 욕구계층이론(생리적,안정과 보장,사회적,존경,자기실현의 욕구), 융의 분석심리학에 관해 이야기 하며, 현대에도 문제시 되는 각종 방어기제와 이상심리에 따른 각종 정신병(우울증, 양극성장애, 강박성장애, 분열성장애, 충동통제장애, 불면증, 조현병, 해리성 장애)에 대한 정의도 언급되어 있다.

 

동양 심리학에서는 인간은 선천적으로 개인 고유의 특정한 성격과 심리를 자연발생적으로 타고나며, 이러한 성격과 심리는 인류나 시대, 민족 보편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의 자전과 공전 성태, 즉 천문 보편적으로 발생한다고 본다. 그리고 이런 천문 보편적 성향에 개인의 후천적인 경험이 가미돼 한 사람의 성격과 심리가 형성된다고 한다. 대표적으로 언급되는 인물은 순자이고, 사주팔자인 명리학을 중심으로 설명되는데, 이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운명론적인 것 주술적인 것이 아니라, 서양의 심리학 용어와 관련되어 설명된다.

동양이든 서양이든 어떤 한 방향으로 집중해서 강조하기는 하지만 알고보면  두 가지가 혼재되어 있고, 함께 영향을 주고 받으며 오늘날의 심리학에 가까워져있음을 알 수 있다. 욕망을 두고 동양에서는 흉신, 서양에서는 이드라고 표현하지만 둘은 거의 같은 개념이라는 것, 천간과 의식, 원형과 육친, 자기와 월지 또한 유사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면 동양에서도 이미 오래전 인간심리를 연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을 읽어보자, 현재 심리학 도서 중 약 95%가 서양심리학에 관한 책이라 한다. 하지만 지금의 심리학과 그와 관련된 정실질환들을 보면, 분명 서양의 이론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서양심리와 비슷한 개념과 다른 개념인 동양 심리학 이야기들. 읽어보면 동양의 심리연구가 운명론적이고 비과학적이라기보다 인간의 천성과 자연에 집중해 성장 발전해온 것을 깨닫게 되며, 둘을 모두 섭렵해야 비로소 오늘날의 완성된 심리학에 가까워짐을 알 수 있다.


+@ 읽어보면 익숙한 서양심리학부분은 쉽지만, 동양철학이나 명리학에 관한 이야기는 한문과 고전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본인 역시 동양철학과 역사, 한문, 사주, 명리쪽으로는 전혀 알지 못해 어렵게 느껴졌으나, 이것들이 앞서 설명된 서양심리학과 비교설명해주어 점차 이해하게 되었다. 즉, 서양심리학을 통해 동양심리학을 공부할 수 있다.

중간마다 저자 진혁일이 심리학 역사 천문학을 집대성해, 시로 옮긴 자기계발형 시집인 <죽은 시인의 사회>의 일부분이 상당히 많이 수록되어 있다. 저자의 시집이 궁금하다면 이 책으로 '미리보기'가 가능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