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그렇게 생각한다 - 공감의 두 얼굴
프리츠 브라이트하우프트 지음, 두행숙 옮김 / 소소의책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과 사람이 관계를 맺음에 있어, 몇 가지 필요한 것들이 있다. 만남(대면), 대화, 공통분모, 긍정적인 인상, 서로에게 주는 이득(개인적이든 사업적이든 정보공유나 경제적이득 같은) 등. 그 중 가장 처음으로 작용되는 요소는 인상, 대화, 대면(만남)이다. 이 세 가지에는 공통배경이 필요한데, 그것은 바로 긍정적이고 호감을 표현하는 ‘공감 능력’이다. 생각해보자, 처음만나는 자리에서 좋은 인상을 심어주기 위해 대화를 해야할 때, 무엇이 필요할까?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는 태도인 격한 ‘끄덕임’과 그의 의견에 ‘맞아요’라는 반가움이 섞인 대답이 아닐까? 이처럼 인간에게 공감은 중요하면서도 긍정적인 성향을 가진 능력이다. 하지만 공감이 부정적인면도 있다면? 이 책은 우리가 믿고 있는 긍정적인 공감효과를 부정적인 측면에서 바라본다.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본 ‘공감효과’ 그 부정적 기능은 무엇일까?



‘객관적으로 인지하고 공감 능력이 있는 인간이 표현 능력을 가지면

자신의 입장을 취할 가능성을 상실한다.

그는 다른 사람들을 판단하지 않고 수동적으로 머문다.‘

- 수많은 자기계발서에서 말하는 공감의 긍정적인 효과,

그것을 뒤엎는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본, ‘공감의 부정적인 얼굴’은?

이 책은 그동안 많은 대화나 글쓰기, 성공비법 등을 다룬 계발서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기능중의 하나인 ‘공감’에 대한 다른 시각을 가진다. 우리는 여지껏 ‘공감’은 상대방에게 친근함과 혐동성을 유발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로서 바라보았다. 사회적으로 성공하거나 개인적으로 행복해지기 위해서 반드시 갖추어야할 요건으로 손꼽았고, ‘공감’이란 단어를 연상할 때 마다 긍정적이고 도덕적인 감정이 떠올랐다. 하지만, 이 책은 ‘공감’이 반드시 긍정적인 효과로만 작용하지 않는다라고 경고한다. 즉, 공감능력이 있기 때문에 벌어지는 비인도적인 일들을 다루고 있다.

저자는 공감의 부정적인 효과, 그 위험성을 주제로 이야기한다. 이 주제를 다섯 가지 경향으로 나눠 목차를 통해 설명한다. [1장 자아 상실] 은 스톡홀롬 증후군을 예로 들며, 우리가 공감력이 지나치게 뛰어날 경우, 스스로의 객관성을 잃어버리고, 적대적인 관계여야만 할때도 판단의 능력을 읽게되는 위험성을 이야기한다, [2장 공감, 이원론적 세계관의 기초가 되다] 는 트럼프 대통령을 예시로 들어, 공감이 한쪽에 지나칠 경우, 그로 인한 흑백사고가 생기며, 공감에 반대하는 것들은 인정하지 않고, 적대감을 키울 수 있다 이야기한다. [3장 잘못된 공감 대 여과된 공감]은 독일 총리와 난민 소녀의 대화를 예시로 들어, 긍정적인 의도로 시작된 공감이지만, 잘못된 동일시의 경우, 불필요한 부정적인 효과가 나올 경우를 이야기한다. [4장 공감을 위한 공감]은 연쇄살인마와 사디즘, 복수에 관한 이야기를, [5장 일상속의 흡혈귀]는 강박적인 공감의 위험성을 헬리콥터 부모와 스토커로 예시를 들어 설명한다.

현재, 우리는 사이코패스를 정의할 때 ‘공감능력이 부족한 사람’이라 한다. 하지만 다른 사람의 고통을 함께 느끼고, 그에게 공감하기 위해 스스로 가해자가 되는 연쇄살인마, 성폭행범, 테러리스트, 고문기술자의 비틀린 심리는 오히려 ‘공감’을 향한 잘못된 욕망과 인식에서 비롯된다. 물론, ‘공감’이 전부 나쁘다는 것이 아니다. 그 공감능력을 어디서 어ᄄᅠᇂ게 누구에게 발휘해야할지는 독자 스스로의 몫이며, 이 책은 다만, 현재 공감이 주는 너무나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긍정적인 효과’만을 바라보는 태세를 경계해야 함을 이야기 할뿐이다. ‘공감’의 새로운 역기능. 한 번 읽어보자. 때론 공감보다 주관의 필요성이 필요하고, 타협보다는 불응이 더 효과적이고 인도적인 경우도 있으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