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사과소소 - 사과에 관한 소소한 이야기 너나농 과일학교 1
이상열 지음, 박다솜 그림 / 너와나의농촌 / 2017년 7월
평점 :
품절


다양한 모습으로 사계절에 먹을 수 있기에 더욱 친근한 과일인 사과에 관한 모든 이야기가 담겨있는 책이다. 과일 중에서 사과를 가장 좋아하는 나에게 참 흥미롭게 다가왔다.

우리가 알고 있어서 익숙한 사과와 관련된 이야기인 백설공주, 뉴턴, 스티브잡스부터 다소 생소한 이야기까지 다양하게 알려준다. 사과의 재배방식과 소소한 이야깃거리들이 아기자기한 일러스트와 함께 써있다. 또한,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사과의 모습과 이 시기의 농부는 어떤 일을 하는지 상세히 알려준다.

사과를 노래하는 시인, 작가들의 글도 함께 실려있어 사과가 많은 예술인들에게 영감을 주었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같은 사과를 보고도 언어로써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 놀랍다.

사과의 효능과 역사, 전설, 선별방법, 보관법 등이 그림으로 설명되어 이해를 돕고 함께 그려진 먹음직스런 사과의 모습은 군침을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동화 같으면서도 과학도서 같기도 해서 누구나 재밌게 읽을 수 있다. 사과와 관련된 위인들의 이야기들을 다시 들으면 그 영향력이 정말 크다는 것을 새삼 느낄 수 있다. 한 인물의 인생을 송두리째 바꿀만하니 말이다.

사과를 활용한 레시피의 소개가 특히 흥미롭다.
재료, 조리순서가 그림과 소개되어 있어 어렵지 않게 따라해 볼 수 있다. 설명만 봐도 이미 만들어서 먹어본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킬만큼 생생하다.

마지막으로, 사과의 쓰임새와 사과여행을 떠나볼 수 있는 지도소개로 끝을 맺는다. 읽고, 맛보고, 활용하는 등 다양한 쓰임새를 지닌 사과에 대한 이야기들이 모두 담겨 있어서 이 책만으로도 사과와 더 친해진 듯한 기분이다. 익숙해서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런 생각이 틀렸다는 걸 깨닫게 했다.

너나농 과일학교의 첫번째 과일이야기인 '사과편'을 읽고나니 앞으로 다룰 과일이야기도 궁금해진다. 다음은 어떤 과일이 어떤 모습으로 찾아올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피니스 트랙 - 스탠퍼드대학교가 주목한 행복프레임
에마 세팔라 지음, 이수경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7년 4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신경과학과 심리학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생의 성공을 앞당기는 6가지 행복 트랙을 제시함으로써 행복에 더 빨리 도달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성공과 행복에 관한 잘못된 이해를 바로잡아주고 진정한 행복에 이르는 길을 안내한다.

먼 미래의 성공을 위해 눈 앞의 행복을 희생하면 생산성 면에서도 부진하고 결국은 불행한 삶을 가져오게 된다.


1. 미래를 뒤쫓는 것을 멈춰라

2. 끊임없는 질주에서 벗어나라

3. 심신의 에너지를 관리하라.

4.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을 가져라.

5. 자기 자신과 제대로 관계를 맺어라.

6. 친절과 이타심의 힘을 깨달아라.


위의 6가지 전략으로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이끌어주고 성공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돕는다.

행복은 성공을 앞당기는 지름길이란 것을 다시금 깨닫게 한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지만 가장 등한시 되는 '행복'에 대해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다들 눈 앞의 성공만을 쫓지만 지금 행복하다면 성공은 저절로 따라오게 되어 있다.

책에서도 강조하는게 현재를 살면 행복감이 높아진다고 하니 그만큼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호흡조절로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사례는 꽤나 흥미로운 이야기였다.

현대인들이 겪는 만성질환의 원인인 스트레스를 적당히 활용하면서 스스로 다스리는 법을 배우면 인생을 살아가는데 매우 유용할 것이다.

에너지 관리의 핵심은 평정심인데 평정심은 에너지 상실을 막아주고 자제력을 쉽게 발휘하게 한다.

순간의 판단 실수로 그르친 결과를 예방하는 것이다.

과학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쓴 책이라 재미있으면서도 쉽게 배울 수 있다.

전체적인 맥락으로 봤을 때, 행복을 얻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마음의 여유가 필요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행복을 얻겠다고 다짐만 한다고 쟁취할 수 없듯, 내면의 마음가짐과 수련을 통해 서서히 발견하는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