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키오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오근영 옮김 / 창해 / 200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23살 아버지 17살 아들을 만나다라고 표지에 등장을 하는것 처럼 17살인 아들이 병으로 병상에서 아무것도 못하고 누워있는데 그러한 모습을 보고 마음이 아픈 부모들에게 자신이 태어나서 얼마나 행복한 생활을 하였는지를 알려주고 싶어서 과거로 여행을 한다는 설정으로 보이지만 과거에서 만나서 주로 행동을 하는 일들은 아버지를 도와서 그의 여자친구를 찾아떠나는 여행이었고 어머니를 만나는 경우는 거의 없는데 자신의 아버지에게 자신이 얼마나많은 영행을 주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는것 같다.

 

백수 건달로 무엇이던지 1년을 못넘기고 그만두면서도 자신의 잘못보다는 세상의 부조리만을 이야기를 하던 다쿠미는 자신의 능력을 발휘를 하여서 큰부자가 되겠다는 꿈만을 이야기를 하지만 그러한 꿈을 이룰수 있는 능력을 개발을 하려는 마음은 안 보이고 자신의 여자 친구인 치즈루에게 경제적인 면을 떠넘기면서 살아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아르바이트를 하던곳을 그만두고 자신의 현실을 고민을 하고있는 다쿠미의 앞에 모르는 청년이 등장을 하고 그 청년은 다쿠미의 생활에 변화를 주려고 노력을 하지만 패배의식에 사로잡힌 다쿠미는 그러한 청년의 노력에는 반응을 하지 않는다.

 

1. 다쿠미가 세상에 불만이 많은 이유는 ?

자신을 돌보아주던 부모님이 사실은 양부모이고 자신을 낳은 어머니는 자신을 버리고 다른 사람에게 시집을 가서 호화로운 생활을 하면서 자신을 버리고 갔다는 사실에 많은 괴로움을 안고 살아가는데 양부모님들이 다쿠미의 마음을 잡아주려는 노력을 하지를 않고 다쿠미의 생모에게서 오는 돈을 가지고 서로 싸우는 모습은 사춘기의 다쿠미에게는 너무 많은 상처를 남기는 행위사 되었다.

 

친부모가 자신의 아이를 남의 손에 넘기는 경우에는 그러한 행위를 할수뿐이 없는 사연이 있는데 그런 사연을 어린 자식들이 자신의 마음으로 인정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고난을 맞이하였다고 하여서 모든것을 자신을 버린 부모에게 넘기고 자신은 어떠한 모습으로 살아가야 되는지를 모른다는 사실은 자신에 대한 애정의 부족으로 부모에게 버림받은 자신을 사랑을 할수가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자신의 능력은 원래 부족이 하였다는 자기 비관에 사로 잡히는 주인공의 모습을 보고 자신을 위하고 많은 능력을 보여주었던 아버지가 너무나 초라한 모습으로 자신의 눈에 보인다면 그것을 보고 미래에서 온 아들은 어떠한 행동을 하여서 아버지를 올바른길로 이끌수가 있을까

 

철 안든 아버지와 철든 아들이 서로를 위하면서도 의견의 대립으로 문제를 일으키면서 최선의 선택을 향하여서 달려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자신의 현실에 의기 소침 하여서 좌절을 하지 말고 희망은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내일을 향하여서 걸음을 옮길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편이 자신과 가족들을 위하는 길이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