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
김종성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동북아 삼국의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 대하여서 알아보는 기회를 제공을 하고 있는데 삼국중에서 가장 약하다고 볼수가 있는 한국의 문제점은 조상들이 이룩을 하였던 업적에 대하여서도 이웃의 눈치를 살피면서 들어내는 것에 대하여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부분이 많다는 것과 함께 안으로 들어가는 문제에 대하여서 어떠한 것들이 진정한 문제이고 그것이 왜 문제라고 생각이 되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논평을 보여줍니다.

 

그동안의 역사학계의 주류는 일제시대에 배운 방식을 답습을 하면서 조상이 이룩을 하였던 업적에 대하여서 흔적을 찾고 증거를 발견을 하여서 새롭게 들어내는 방식이 아니라 자신들이 알고 있는 좁은 의미의 역사관을 계속하여서 신봉을 하면서 새롭게 들어나는 방식에 대한 거부감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러한 부분들이 계속하여서 이어지고 있으면서 역사에 대한 흥미를 읽어가는 학생들이 많아지고 한국의 역사는 침략을 받은 약소국의 역사라는 사실만을 간직을 하면서 살아가고 있는 학생들에게 진정한 역사관을 보여주기 위하여서 노력을 하여야 한다는 사실을 알려줍니다.

 

중국의 역사관은 한나라의 성립과 함께 이어진 것이라고 볼수가 있는 한족의 중심은 중원이고 모든 것은 중원을 통하여서 성립이 되고 결론이 난다고 생각을 하는 대국주의에 입각을 하여서 실제로 들어나는 문제점에 대하여서 인정을 하는 것이 아니고 그것을 최대한 각색을 하여서 한족의 역사에 오류가 없다는 점을 강조를 하여서 보여준다는 사실을 알려줍니다.

 

일본의 경우에는 우익의 입김이 강화가 되면서 등장을 하는 새로운 역사관을 강조를 하는 책들에서 보여지는 부분들은 자신들의 역사에서 한국의 비중은 최대한 줄이고 필요한 경우에는 중국으로 대체를 하면서 자신들의 고유의 문화를 통하여서 발전을 거듭을 하고 있고 외부의 도움은 필요가 없었다는 사실을 강조를 하여서 보여줍니다.

 

국민이 무엇을 알고 있는지에 대하여서 보여주는 바로미터인 교과서에 등장을 하는 역사관이 삼국의 경우에 어떠한 부분에서 차이가 들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설명이 축소지향을 하는 한국과 모든 것은 중원으로 통한다고 생각을 하는 중국 과거부터 주변의 도움이 없이 홀로살아왔다고 생각을 하는 일본의 역사관이 만들어내고 있는 사람들의 인식의 변화가 앞으로 이어지는 세상의 문제에서 어떠한 문제를 야기를 할 수가 있는지에 대한 걱정의 시선과 함께 삼국이 같은 부분을 공유를 하는 것이 있는데도 서로가 완전히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는 이유에 대하여서 생각을 해볼수가 있는 기회를 제공을 하는 책입니다.

 

역사의 아침에서 서평을 목적으로 제공을 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