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희 - 상
미야기타니 마사미쓰 지음, 양억관 옮김 / 한길사 / 2002년 2월
평점 :
절판


춘추시대의 여인인 하희는 역사서에 이름을 남기는 업적을 이루었는데 그 당시의 사회 분위기는 여성들이 일을 하여서 공훈을 이루는 것은 불가능 하다고 볼수도 있는 시기 여서 당연히 하희도 좋은쪽은 아니고 나쁜쪽으로 이름을 알리고 있는데 그러한 여성의 모습을 책으로 그리고 있다.

 

제목은 하희라는 여성의 이름이지만 내용의 주를 이루는 부분은 하희와 말년을 함께한 초나라 대신의 이야기를 하고 그 당시의 초나라 왕인 장왕의 이야기가 주를 이루고 있는 역사를 배경으로 하는 소설이다.

 

중원의 소국 이었던 정나라의 공주로 태어난 하희는 어린 시절에 자신의 친오빠를 남자로 받아들이고 다른 신료들과도 관계를 맺고 있었는데 그러한 사실을 알게된 임금이 자신의 딸을 위한 혼처로 다른 소국의 신하를 잡아서 시집을 보내는데 그곳에서 자식을 낳고 잘 살아가는 하희의 모습을 보여주어야 겠지만 여성은 자신의 마음대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남성들의 요구에 의하여서 움직이는 어떠한 모습으로는 인형과 같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희의 봄 마음은 어떠한 것인지도 모르고 겉으로 보이는 모습만을 가지고 자신의 욕망을 우선시 하는 남성들이 여인을 찾아오고 그러한 남성들의 욕망에 따라서 움직이는 모습은 현대에 나름의 의지를 가지고 살아가는 여성들이 자신의 의지를 남에게 보이는것을 망설이는 순간에는 어떠한 모습이 기다리고 있는지 보여주고 있는것 같다.

 

1. 하희가 활동을 하던 시기의 국제 정세

 

하희가 살았던 당시의 중국의 모습은 요즘과 같이 하나의 민족이라는 개념보다는 자신들이 살고있는 지방을 다스리는 사람의 말이 가장 중요하고 그 다음이 자신들의 나라인 봉건제의 나라들이 많은 시기이고 황화를 경계로 하여서 그 주변만이 제대로 된 나라이고 나머지의 나라들은 오랑캐라는 사상을 유지 하면서 서로의 국력을 높이기 위한 전쟁을 벌이고 있던 시대이다.

 

2. 정 나라의 위치

춘추 초기에는 최고의 위력을 자랑을 할 정도로 강력한 국력을 보였지만 시대가 흐르면서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는 나라들의 세상이 왔고 그러한 정세를 이겨나가기에는 정나라는 국력이 작은 소국이었다.

자신의 나라를 사이에 두고 당시의 강대국인 진나라와 초나라가 전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라서 국가의 보전을 최우선으로 생각을 하는 사람들은 진과 초를 오가면서 외교를 하여서 당시의 사람들은 정나라를 좋게 보는 경우가 적었다고 한다.

 

3. 당시의 진과 초나라는

 

당시의 분위기는 전쟁을 벌이면 어느 한쪽의 파멸을 요구하는 분위기는 아직아닌 시기였기 때문에 전차를 이용한 귀족들의 전쟁이 많았고 나라의 흡수라는 단어도 적었지만 그러한 시기를 맞이하려는 준비를 하는 시기였다.

 

패자로 군림을 하던 진나라가 왕의 죽음으로 인하여서 신하들간의 권력싸움이 일어나고 나라는 약해졌는데 그러한 모습을 지켜보고있던 남방의 초나라가 자신들의 위치를 높이기 위하여서 중원에서 계속 전쟁을 벌이면서 약소국들을 자신의 우방으로 끌어들이는 작업을 벌이고 있었다.

 

초나라는 고사에도 나오는 준비를 하기위한 시간이 오래 걸렸던 장왕의 시기를 맞이하여서 전성기를 누리게 되는데 그러한 전성기를 맞기 위하여서는 많은 전쟁에서 승리가 필요 하였고 전쟁의 승리를 위한 작업을 하는 신하들의 이야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여인의 이야기 라고 하기에는 국가를 움직이는 권신들의 이야기가 너무 많이 들어가 있는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