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의자 X의 헌신 - 제134회 나오키상 수상작 탐정 갈릴레오 시리즈 3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억관 옮김 / 현대문학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 얼마전 처음 접한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인 "흑소소설" 의 역자는 마지막에 이런 말을 했다.

" 신이시여, 제발 히가시노 게이고 선생님께서 단편을 쓰고 싶도록  만들어주세요. 

그것도 소재는 반드시 웃음이어야 합니다!" 라고.

또다른 소설인 용의자 X의 헌신을 잃은 나는 이런 생각을 했다.

제발 웃음이 소재인 단편을 빼고 쓰고 싶도록, 이라고.

 

그의 소설은 딱히 나쁘진 않지만 내 생각에 그는 "웃음" 에는 별다른 재주가 없는 것 같다.

(어쩌면 내가 이사카 코타로나 오쿠다 히데오 식의 웃음에 길들여져서 인지도 모르겠지만)

뭐랄까.. 평소에 엄청 진지한 사람이 굉장히 이상한 타이밍에서

비장한 얼굴로 던지는 농담을 듣는듯한 기분.

저거 웃으라고 하는 얘기야?..하고 웃어야 할지 망설이게 되는 느낌.

 

용의자 X의 헌신은 별로 그런 느낌이 없이 시종일관 진지하고 조금은 무겁다는 느낌도 있다.

사건 자체가 "살해"에서부터 시작하니 당연할지도 모르겠지만

그의 문체나 글을 전개해가는 방식때문에 더 그런걸 거라고 생각한다.

 

책 앞표지에 보면

"속았다. 이렇게 철저하게 속을 수는 없다.

단지 추리소설이라고 생각했지만 이런 게 추리소설일 리가 없다.

이런 추리소설로 위장한 거룩한 사랑의 기록이다."

라는 말이 쓰여져 있고, 나는 거기에 동감한다.

추리소설이라기보단 조금 무거운, 그리고 독특한 소재로 풀어나가는 연애소설이라고.

그 말은 연애소설의 소재라고 하기엔 독특하지만

미스터리, 추리물이라고 하면 그다지 특이한 내용은 아니라는 거다.

 

그리고 이 책 역시 반전이 있는 추리물 추천리스트에

계속 올라와있던 작품이라 평균치보단 기대가 컸던 것도 사실이다.

꼭 책표지에 쓰여있는 여러 카피들, 이를테면

"철저하게 속았다"거나,

"천재 수학자의 정교한 살인 수식에 도전하는 천재 물리학자의 집요한 추적" 같은 말을 

완전히 믿어서가 아니라.

 

일본 추리물의 3대 작가 중 한명이라 말하는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이라는 대에 대한 기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애초에 흑소소설을 쓴 작가와는 분리시켜 생각한듯..)

 

 

근데, 그 반전이라는 게 썩, 별로, 그다지 신통치가 않다.

물론 이시가미란 남자의 무한한 애정에는 조금 감탄할 여지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그렇게까지 사람들의 입에 회자될 정도의 재미를 느끼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이게 다야? 이게 반전이라고? 하며

내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대단한 무언가가 있는가 해서 다시 책장을 넘겨봤고

그 반전이 드러나는 과정에서 나는 몇번이나 책읽기를 멈추고

우유를 마신다든가, 책상에서 사탕을 집어 먹는다든가 하는 식으로

텀을 둘수 있을 정도였다. 

 

게다가 천재 수학자와 이에 도전하는 천재 물리학자라는

두 캐릭터의 독특함이 그다지 큰 힘을 발휘하진 못했다.

꼭 "천재 수학자" 와 "천재 물리학자" 가 아니라

어떠한 다른 인물이었더라도 내용은 그런 식으로 전개될 수 있었을 것 같은 느낌.

천재 물리학자의 추격도 카피만큼 그렇게 집요하지 않다.

두 사람의 대화나 유가와가 이시가미를 떠보는 장면등에선 긴장감을 느끼긴 했지만 

(간만에 심장이 두근두근 했을 정도니까)

결론이 약간은 심심한 느낌은 지울 수가 없다.

 

반전 소설, 반전 영화, 반전 만화 등

"반전"을 내세우는 모든 것을 접할 때 내 머릿 속엔 오직 그 반전에 대한 예측과 기대 뿐이다.

생각해보면 "예측가능한 반전" 이라는 말 자체가 모순일지도 모르지만. 

소리없는 아우성처럼.

때문에 이 책을 볼때도 내가 너무 그놈의 반전에만 온 신경을 쏟아붓고 있어서

이 책의 포인트를 놓쳤을지도 모른다.

 

중요한건, 나는 이 책이 나쁘지 않았다는 거다.

무조건적인, 헌신적인 사랑은 신파로 흘러가기 쉽지만

이시가미의 그러한 사랑의 방식에 약간은 감탄했을 정도니까.

분명 이 책이 추리물이 아니라 연애 소설의 타이틀을 달고 나왔다면

나는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을 것이다.

내가 읽은 것 중 가장 대단한 연애소설이었어, 라고.

 

그 책의 표현을 빌자면, 선입견의 맹점을 찌르는 거다.

연애소설인 듯이 보이지만 실은 추리소설이라는 게

추리소설인 듯이 보이지만 실은 연애소설이라는 식보단 나았을 거란 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