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
노희경 지음 / 김영사on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원래도 그다지 드라마를 좋아라 하는 편은 아니지만

노희경이란 작가의 드라마는 단한번도 본 적이 없다.

일단, 즐겁고 유쾌하지 않은 드라마는 보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요즘 유행하는 드라마처럼 시한부, 신데렐라 스토리, 4각관계, 시집과의 갈등, 불륜과 

알고보니 친남매 등등을 버무린 내용은 정말 질릴대로 질렸긴 하지만

그래도 드라마는 가볍고, 아무 생각없이 볼 수 있는게 좋았다.

 

하지만 노희경 작가의 드라마는 늘 뭔가가 심각한 것 같았다.

분명 끝은 해피엔딩이었을지 모르나

주인공들은 끊임없이 상처받고, 심각한 상황의 중심에 놓이고.

내가 그런 심각함을 싫어했던 건

그런 주인공들에게 감정을 이입시키고 싶지 않아서였을 거다, 아마.

가끔 너무 얼토당토 않은 설정을 한 드라마를 보며 너무 비현실적이다, 라고 비난을 하지만

사실은 정말 사실적이고 현실적인 내용은

나를 불편하게 한다는 걸 난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적어도 드라마를 보면서까지 심각해하고, 갈등하고 고민하고, 그러고 싶진 않아서.

 

어쨌든 이러한 이유들로 난 노희경작가의 드라마는 단 한번도 눈여겨 본 적이 없었다.

다만, 인터넷을 떠돌던 "지금 사랑하지 않는자, 모두 유죄"라는 글을 쓴 사람이 

그녀라는 것을 알고 이사람의 드라마, 한번쯤 볼만하겠다..라고 생각한 적이 있었다.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라니.

요즘처럼 "사랑은 자유다, 사랑에 구속되지 말라!"를 외치는 작가들 사이에서, 

그것도 깨나 냉소적일 것 같던 그녀가 사랑하지 않는자는 모두 유죄라고 말하는 게

뭔가 생소하고 낯설게 느껴져서.

 

사실 그 후로도 그녀의 드라마는 한번도 보지 못했지만

이 책이 나왔을 때 조금의 망설임도 없이 구매버튼을 눌렀다.

내가 좋아했던 글귀를 제목으로 걸고 출판한 그녀의 에세이집이

조금 불편할지라도 분명 내 맘에 들거라고 믿어의심치 않았기 때문이다.

 

가족과, 사랑과 과거와 미래.

난 딸로 태어났다는 이유로 구박덩이가 되어본 적도 없고

바람을 피는 아버지가 있었던 것도 아니고 이렇다하게 방황을 해본 적도,

날 버린 남자의 집 앞에서 맨발에 슬리퍼만 신고 덜덜 떨며 기다려본 적도 없다.

그런데도 그녀의 글은 왜 그렇게도 절절하게 공감이 갔는지는 정말 모를 일이다.

 

그리고 중간 어디쯤에선가 그녀의 독선 같은게 비친 적이 있었다.

나는 작가들의 지나친 "고집"을 꽤 싫어하는 편이라

자신의 생각이 마치 진리인듯 말하는 구절이 있으면 바로 책을 덮어버릴 때도 있다.

때문에 그녀에게도 살짝 실망하려는데,

그 다음 페이지에서 그녀는 마치 "니가 그렇게 생각할 줄 알았다"라는 듯

자신의 독선을 순순히 인정하며 그것이 젊은 날의 오만함에 나온  생각이었음을 반성해버린다.

그렇게 반성할 글이었다면 편집 과정에서 뺐어도 됐을 터인데 그녀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그것이 더 내 마음에 꼭 들었다.

 

어쨌든 책을 모두 읽고나니 이제 드라마도 한번쯤 보고 싶어졌다. 

디테일에 신경쓰다보면 속도감이 떨어지고

속도감을 신경쓰다보면 현실감이 떨어지기 마련인데

그녀의 드라마는 그럼 어땠을까.

과하지 않게, 하지만 너무 모자라지는 않게 말하는 그녀의 문체 같은 것이 

드라마에선 어떻게 표현이 됐을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