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시골에서 비즈니스한다
표성미(꼬꼬맘) 지음 / 42미디어콘텐츠 / 2022년 3월
평점 :
절판


나는, 그리고 우리 가족은 도시에서 살다가 아이들을 위해 시골로 귀촌을 했고, 이제는 남편과 함께 귀농을 준비하고 있다. 시부모님이 농업인이시라 남편이 농사를 지을 거라는 건 예상된 수순이었지만 그 시기가 조금 빨리 찾아왔다. 이유는 귀촌, 귀농을 꿈꾸는 많은 이들과 비슷한 네모나고 딱딱한 건물 속에서 나오기, 바쁘게 돌아가는 빠듯한 시간 속에서 나오기 그리고 아이들과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였다.

다행히도 나는 이 책의 저자와는 반대로 귀농을 아주 적극 찬성했다. 왜냐하면 남편이 회사를 다닐 때보다는 훨씬 시간적인 여유가 많아질 거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시부모님을 옆에서 보니 그렇더라. 옆에서 보기엔 그렇지만 실제로 겪어봐야 알 것 같다.) 그래서 우리는 귀농 선택까지는 매우 순조로웠다. 하지만 앞으로 우리가 직접 키울 품목들을 선정하고 어떤 방법으로 재배해야 좋은지 또 6차 산업은 어떻게 기획하고 이끌어 나가야 할지 정말 막막했지만 많은 대화를 거쳐 '쌀'을 재배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여기서 그치지 않고 우리는 1차 산업인 농업 즉, '쌀'을 재배하고, 2차 산업인 제조업 즉, 쌀로 '먹거리'를 만들고, 3차 산업인 서비스업 즉, 쌀로 관광, 체험 프로그램을 만들어 1+2+3=6인 6차 산업을 기획해야 했다.

여기서 남편과 나는 머리가 터질 것 같았지만 <나는 시골에서 비즈니스 한다>를 읽으며 엄청난 변화와 생각을 바꾸게 되었다. 주요 고객층은 누구인지 아주 뚜렷하게 계획해야 그에 상응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마케팅을 등을 실시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남편과 더 세세하게 이야기를 나누어야 조금 더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겠다는 생각과 함께 '우리는 소비자인 동시에 판매자'라는 저자의 글을 보고 나도 두 편에 서서 서로의 입장을 잘 헤아리고 그에 맞는 생각과 행동을 해야겠구나 하는 마음을 가지고 기획을 하고 있다. 아직도 첩첩산중이긴 하지만 말이다.

책을 읽으며 설렜던 적이 몇 번이나 있었을까. 이 책을 읽으면서는 가슴이 굉장히 설렜다. 살짝 목표가 바뀌었달까? 나도 뭔가 꼬꼬맘님처럼 저렇게 멋진 여성 농업인이 됐으면 좋겠고 또 거기서 그치지 않고 내가 성공할 수 있었던 모든 것을 다른 도움이 필요한 이들에게 알려줄 수 있는 그런 사람이 되면 정말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꼭 그렇게 되고 싶다. 저자가 이야기했던 대로 공부. 이 세계에서 나는 무식자이니까 유식자가 되기 위해 끊임없이 공부해서 꿈을 이루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우리의 모습을 꼭 지켜봐줬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