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도시 꾸리찌바 - 증보판
박용남 지음 / 이후 / 2002년 4월
평점 :
절판


 

어느 도시에 새로 들어온 사람들이 “작은 손수레에다 상품을 싣고 다니며 팔아 생계를 유지하는 노점상”이 되었다. 자연히 원래 그 도시에 있던 상인들은 경계심을 품었고 상인이 아닌 시민들은 거리가 더러워질까봐 그들을 경계했다.


그래서 이 도시의 공무원들이 어떤 조치를 취했을까? 그냥 나가라고 말하며 막 떠밀고, 철거반을 데려와 손수레를 때려부쉈을까?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로 시청이 노점상들에게 “결사체”, 그러니까 이익 단체를 만들도록 요청하고 대표를 보내 노점상들과 토론했다. 결국 노점상들은 시청 공무원들과 이야기를 나눈 끝에 버스 정류장이나 광장에서만 물건을 팔기로 합의했고, “매주 또는 2주마다 이들 지점을 돌아가며 가로시장이 열릴 수 있도록 일정을 확정했다.”


“그 이후에 시에서는 노점상들을 위해 단순하지만 운반할 수 있는 이동식 가게를 설치했고, 그들에게 허가를 내주었다.” “사람들이 이전에는 이 노점상들을 두려워했지만, 이제는 그들도 도시의 일부”가 된 것이다. 이 도시는 “대부분의 도시가 고질적으로 안고 있는 노점상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지평을 열었던 것이다.”


믿기 어려운가? 서울 시청이 청계천 상가의 노점상들과 대립했던 일 때문에 ‘이런 일은 일어날 리가 없어.’라고 생각하시는가? 그러나 이 일은 실제로 일어났던 일이며, 지금도 진행되고 있는 ‘작은 혁명’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히오데자네이루Rio De Janeiro에서 남서쪽으로 약 800㎞(사웅파울로 - 상파울로는 영어 이름임 -에서 400㎞)떨어진, 대서양 연안에 위치한 ‘빠라나’주(州)의 주도(州都 : 주의 중심지 - 옮긴이)”인 꾸리찌바Curitiba(영어 이름은 ‘쿠리티바’)에서는 늘 일어나는 일 가운데 하나란 말이다. 이 책은 그 도시에서 일어나는 ‘작은 기적들’을 설명하고 있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들을 살펴보자.


먼저 이 도시에는 휠체어를 탄 사람들이 버스를 타지 못하게 막는 장치가 없다. 이 도시의 버스 정류장은 지하철 정류장과 비슷하지만 훨씬 크기가 작은 원통형 정류장인데, 그 안에는 버스 승강대와 높이가 비슷한 플랫폼과 휠체어 엘리베이터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아침 9 시부터 밤 12시까지 운행하는 버스와, 밤 12시부터 새벽 5시까지 운행하는 버스를 따로 두어 시내버스를 20시간 내내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시청은 쓰레기를 거둬들이는 지방 주민들에게 쓰레기 5kg당 한 개의 식품 배낭을 나누어 준다. “여기에는 보통 쌀, 콩, 감자, 양파, 오렌지, 마늘, 계란, 바나나, 당근과 꿀 중 하나나 그 이상이 담겨져 있다.” 단순히 돈을 주는 데서 탈피한 “이 프로그램의 시행으로 빈민들에게 경제적 편익을 줄 뿐만 아니라 꾸리찌바와 주변 농촌지역에서 채소, 과일 등을 생산하는 소농의 잉여생산량을 흡수하는 데도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다.” 어른들 뿐만 아니라 아이들도 재활용 쓰레기(예컨대 폐휴지나 깡통, 플라스틱)를 모아다 시에 갖다주면 시청이 이를 교재, 인형, 장난감과 바꿔 주는 방식으로 이익을 얻는다. 이런 제도는 “어린이들을 포함해 꾸리찌바 시민 모두에게 재활용 쓰레기는 함부로 버리는 것이 아니라 식품, 학용품 등과 교환할 수 있는 소중한 자원이자 미래를 위한 값진 돈이라는 사실을 마음 속 깊이 새겨주었다.”


이런 정책은 환경을 중요하게 여기는 의식과 이어져, 큰 물이 지는 것을 막기 위해 “강을 크고 비싼 콘크리트 컨테이너 속으로 상자화하는 대신에 작은 도랑을 건설했고, 그 강들의 흐름을 통제할 수 있는 호수를 조성”하고, “홍수위험지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도로 및 건물의 건설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다.” 그 결과 도시가 물난리를 겪을 확률은 엄청나게 낮아졌고, 꾸리찌바는 “유일한 위험은 수위(물 높이 - 옮긴이) 875(미터 - 옮긴이)에서 수영하는 물오리가 수위 876에서 헤엄치고, 그 후 다시 강이 정상위로 돌아갈 때 수위 875에서 헤엄치는 것뿐”이라고 말할 정도로 안전한 도시가 되었다.


꾸리찌바 시가 문화시설을 ‘재활용’한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쓰레기가 식품을 제공해주듯이, 문화도 쓰레기와 같은 방식으로 재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19세기 말에 만들어져 서기 1971년까지 “화약고이자 탄약창”에 지나지 않던 낡은 건물은 고쳐야 할 곳만 고친 뒤 연극을 공연하는 극장으로 바뀌었고, 예전에는 양초 및 아교를 만들던 공장은 서기 1974년에 “세공 작업, 세라믹, 책 덮개, 종이기술, 무늬 놓은 두꺼운 천 만들기”를 가르치는 ‘창조센터’로 바뀌었다. 시의 역사가 시작된 세 광장도 복원해 “꽃과 커피숍이 늘어선 삘로리 광장”으로 만들었다. 이는 멀쩡한 건물들을 부수어 ‘새 건물’을 만드는 서울시의 행태와 견주어봤을 때 정말 본받아야 할 정책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 도시를 다른 도시와 구분짓는 가장 중요한 특징은 무엇보다도 이 모든 것이 ‘심각한 논의’를 거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장난삼아 한 생각’에서 비롯된다는 점이 아닐까. 꾸리찌바 시청의 공무원들은 패트병(플라스틱 광천수 병)을 재활용해 장난감을 만들고, 그 모양을 본떠 튜브 스테이션(통처럼 생긴 정류장)이라 불리는 원통형 정류장을 만들었으니 말이다. 이 모든 계획이 적은 예산과, 철저한 재활용과, 잦은 토론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이 우리를 더욱 숙연케 한다.

        

그러니 우리도 이 책을 지은 사람의 말처럼 “이제 우리도 새롭게 시작하자.” 청계천에 있지도 않았던 나무를 심고 잔디를 깔려고 고가도로를 뜯어낸 뒤 상인들을 억지로 쫓아내거나, ‘단지 보기 좋다는 이유만으로’ 상하기 쉬운 잔디를 잔뜩 깔아놓은 ‘광장 아닌 광장’을 억지로 만들어놓고 입장료를 받는 이명박 서울시장의 정책 대신, 시민이 아닌 사람들까지도 존중하고 적은 예산을 들여서 큰 효율을 끌어내며 인간과 환경, 복지를 중요시하는 새로운 도시를 만들자. 우리가 걸어가야 할 길은 동경(東京)이나 싱가포르, 뉴욕이 아닌 꾸리찌바로 나 있다. 그들을 본받아 살기 좋은 중소도시를 만들자.


끝으로 한마디만 더하자면 이 책의 135 ~ 145 쪽과 251 쪽에 실린 벽화는 아주 아름다우며 서울을 비롯한 이 나라의 여러 도시가 참고할 정도로 좋은 미적 효과를 거두고 있으니 관심있는 분은 참고하시기 바란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없는 이 안 2004-08-23 0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목만 익히 알고 있을 뿐이었는데 님의 리뷰를 읽고 나니 꼭 봐야 하는 책이란 생각이 드는군요. 좋은 리뷰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