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리공주
김선우 지음, 정경심 그림 / 열림원 / 2003년 8월
평점 :
품절
-> (1)편에서 계속...
서천 꽃밭에서 목숨을 살리는 꽃들과 약수를 구해 온 바리공주가 오구대왕을 살린 뒤 “나라도 필요없고 재산도 싫습니다. 저는 버려짐으로써 사랑을 얻은 존재이니 버려진 것들의 원과 혼을 이끄는 이가 되겠나이다. 처처에(:곳곳에 - 옮긴이) 가득한 슬픔을 위로하고 억울한 혼령들 쓰다듬어 씻기는 만신의 인로왕이 되겠나이다.”라고 말하는 대목에서는 ‘나는 공주이니 호화로운 곳에서 살아야겠으며, 그동안 못 받은 혜택도 다 받아내야겠다.’는 속물 근성과는 거리가 먼 성인(聖人)을 만날 수 있다.
(그녀는 자신의 ‘원수’이기도 한 아비가 주는 댓가를 물리침으로써, ‘효도’와 ‘가족주의’라는 신화에 빠지지 않은 채 자신의 긍지를 지켜낸다. 사실 그녀가 오구대왕을 살린 까닭은 아버지를 사랑해서가 아니라 ‘사람의 목숨’을 살려내기로 약속했기 때문이 아닌가? 그런 마음을 모르고 물질 - 나라의 땅, 재물 - 로만 보상하려고 한 오구대왕은 비판받아야만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모든 것이 끝난 다음 남편인 무장승(이 사람이 서천서역에서 약수를 지키다가 바리를 만난다)과 그와의 사이에 태어난 아이들을 데리고, 신분도, 부귀영화도, 포상도, 대궐도 다 버리고 자유롭게 떠나가는 바리. 그녀는 모든 혜택을 양부모인 비럭공덕할멈과 비럭공덕할아범에게 베풀어 달라고 부탁한다. 그리고 지금까지 저승과 이승의 경계에서 버려진 아이들을, 억울하게 죽은 사람들을 거두어들인다고 한다.
“공주님은 왕자님을 만나서 궁전에 들어간 뒤 잘 먹고 잘 살았더랍니다.”라는 지루한 끝맻음에서 벗어나 ‘내가 살았으니 남도 살리겠다.’고 마음먹고 세상 밖으로 나간 거룩한 주인공. 우리는 그 때문에라도 바리공주 이야기를 신화(神話)이기 이전에 사람들한테 ‘희망’이 무엇인지를 가르쳐주는 ‘인간의 이야기’로, 우리 마음 속에 움튼 새싹으로 받아들여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