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무삭제 개정판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5년 출간되었던 '미실'을 아직 접하지 못했고,

올해 새로 무삭제 개정판이 나왔다는 소식에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잠시나마 접했던 '미실'이란 인물에 대해 좀더 알고싶고,
소소하고 상세한 시대적 사실과 배경을 더불어 알 수 있는 역사소설이라서

읽게 된 김별아 장편소설 [미실]이다.

 

처음 받아본 느낌은 강렬한 핑크빛 표지와 「무삭제 개정판을 펴내며」에서
작가 김별아님의 미실에 대한 존재감에 대한 글귀가 인상적이었다.


 

 

 

 

'미실은 세상의 모든 여성이면서 그 모두를 뛰어넘은
어떤 존재다. 어디에나 있지만, 아무 데도 없는, 삶과 죽음, 성(聖)과
속(俗)의 경계에 자리한 거부할 수 없는 무엇이다.'라는...

 

책이 시작하기에 앞서 등장인물들의 혼인관계도와 미실의 자녀들이

도표로 그려져 있었다.

얼마나 얼히고 설힌 관계들인지 한눈에 봐도 알 수 있을 정도이다.


 

 

 

 

미실의 조모인 옥진과 법흥제의 인연에서부터 벌어지는 사건과 이야기들은
진흥제를 거쳐 진지제, 진평제에 이르기까지 색(色)으로 왕을 모신다는
색공지신의 역할을 다하고 있는 미실의 이야기 이다.


지아비 세종을 포함한 사다함, 동륜태자, 진흥제에 이르기까지 파란만장한 세월을
견디어낸 끝에 신라왕실의 권력을 장악해 가는 여정을 세세하게 그려내고 있는데,
알려지다시피 사다함과의 만남에서부터 사랑하기까지의 이야기는
부귀영화를 좇기보다 영원을 맹세하는 사랑을 믿겠다는 안타깝고 애절한 사랑이기도 하였다.

 

 

 

 

힘으로 살기도하고 죽기도 하는 궁중에서 살아남고자하는 사도황후와의 계략으로
동륜태자와 사통하는 장면은 욕망의 의지와 줄다리기를 즐기는 미실로 묘사되기도 한다.

 

책의 중간중간 설명해 준 각주가 아니었으면 내용파악이 어려웠을것이다.

 

세월이 흘러 진평제 때 문노가 나오는 장면에서
문노는 미실을 남자망치는 요녀로 평가하기도 했지만
왕을 도와 정사를 돌보고, 화랑도를 키우는 데 크게 일조하기도 하는 모습을 보자면
미실이란 인물을 쉽게 단정하기 힘든 팜므파탈의 전형으로만 이야기 할 수 있을것 같다.

 

 

 

아들 보종에 의해『미실궁주사기』로 정리되었기에

사상가·정치가로서의 미실의 면모를 엿볼 수 있었고,

무엇보다 마지막 장면에서 나이가 들어

궁의 부귀,영화를 버리고 영흥사에 들어가는 미실과

그녀의 죽음까지도 대신하는 설원의 보살핌은 애잔하고 눈물겨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