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즈랑 소금이랑 콩이랑
에쿠니 가오리.가쿠타 미츠요.이노우에 아레노.모리 에토 지음, 임희선 옮김 / 시드페이퍼 / 2011년 9월
평점 :
품절




 

여성의 오감을 만족시켜줄 수 있는 책이야말로 휴식 같은 책이다.
제목도 특별해서 눈길이 가고
그림이 너무 이뻐 저절로 읽고 싶은맘이 드는 책 '치즈랑 소금이랑 콩이랑'을 만나
모처럼 휴식을 즐겼다.

일본 최고의 여성작가 4인의 단편소설집이라고 해서 기대를 하며 읽었는데,
나의 기대감을 한껏 충족 시켜줄만한 재미난 책이었기 때문.



4편의 단편 이야기에는 식탁이라는 공통된 주제가 있고,
또한 사랑하는 사람과의 추억을 잔잔한 문체로 이야기 한다.
특이할만한 점은 일본소설이라고 해서 그 배경이 일본이 아니라는 점이다.
스페인과 이탈리아, 그리고 프랑스, 마지막으로 포르투갈에 이르기까지
하나같이 다양하고 생소한 음식들이 등장하게 된다.

 



 

[신의 정원]편에서는 엄마의 죽음을 앞에두고
가족들과의 만찬을 계획했던 아버지로부터 도망치고 싶어 고향을 떠났지만
자기자신도 결국 그 가족의 일원이었음을 깨닿는 순간
그제서야 아버지를 이해하게 되는 주인공의 이야기를 섬세하게 그려냈는데,
스페인의 한 지방에서의 클럽이라는 문화를 알게 되었고, 요리를 통해
다른사람에게 기쁨을 주는 주인공의 직업이 너무 부러웠다.

 



 

[이유]편에서는 뇌출혈로 쓰러진 30살 연상의 남편과의 추억과 사랑 이야기를 통해
미네스트로네를 소개받을 수 있었는데, 조금은 야한 장면들이 등장하기도 하고

마지막 함께 했던 시간들을 또렸히 기억하는 주인공의 모습에 안타까웠다.

 

[블레누아]편에서도 [신의 정원]편과 마찬가지로 고향을 떠난 주인공의 이야기 인데,
브르타뉴의 부담스럽고 숨막히는 엄격한 집안에서 벗어나
연락을 끊고 살던 어머니의와의 이야기로

브레튼 사람이라면 짭짤한 크레이프를 먹어야 한다고 유난히 고집하시던

어머니를 마침내 이해하게 되는 아들의 이야기다.
우리나라의 메밀꽃 필 무렵을 연상케 하는 마지막 장면이 무척이나
가슴 찡하고 인상적이다.

 



 

[알렌테주]에서는 게이 커플이 등장하는데, 이들 또한 맛있는 음식을 나누며
화해의 계기가 되는 장면들을 보면서
음식을 나누는 행위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가를 다시금 깨닿게 한다.

 

이 책을 덮을 때즈음 배고픔이 밀려오는 탓이기도 하겠지만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식사를 계획하고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되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