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스모스 씽킹 - 우주를 이해하면 보이는 일상의 본질
천문물리학자 BossB 지음, 이정미 옮김 / 알토북스 / 2024년 10월
평점 :

코스모스 씽킹은 우주의 본질이 우리의 본질이며 사물의 본질이라는 인식을 말한다.
일반적이고 다각적 시점에서 생각하면 고정된 시점에서 벗어나 보이지 않던 것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광활한 우주에 다가가며 우주의 법칙을 이해하고 우주라는 렌즈로 본질에 접근한다.
우주에서 우리 주소는 라니아케아 초은하단, 처녀자리 초은하단, 처녀자리 은하단, 국부 은하군, 우리은하, 오리온자리 팔, 태양계, 지구다.
태양계를 100억 분의 일로 축소하면 태양계는 자몽크키 만하고 지구는 거기서 15m 떨어진 바늘의 끝의 한 점이 된다.
138억 년을 1년으로 압축한 우주 달력은 우주 역사와 인간존재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우리는 별의 파편으로 이루어진 별의 아이다. 우리도 우주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양자란 무엇인가 알게 되며 하나의 시점에서 보는 현실은 부분적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뇌속의 데이터를 늘려 여러 개의 시점으로 늘려나가야 한다. 양성자와 중성자는 쿼크로 이루어져 있고 에너지로 이루어져 있다.
물질과 사람의 에너지는 움직이는 만큼 방출된다.

태양은 빨간색이 아니다? 태양은 불타지 않는다? 우주의 탐구 기반에는 의심하는 마음과 비판적 사고가 있다. 우리가 아름답게 빛나기 위해서는 각자의 파장에서 빛나야 한다. 과학적 사고, 의심하는 마음, 비판적 사고는 꼭 필요하며 좋은 사회를 만들 수 있다고 말한다.
미지를 경험하고 시점을 늘리면 다각적 시점에서 현실을 분명히 볼 수 있게 된다. 시공의 좌표는 항상 움직인다. 똑같은 좌표로는 돌아갈 수 없음으로 '언제'를 소중히 여기고 다양한 '어디서'를 탐험해 나가라고 한다.
미시적 세계와 거시적 세계는 동시에 존재하며 서로 보완한다. 거시적 세계에는 미시적 세계에 없는 선택(자유의지)이 있다.
과학적 사고에서 보니 왜라는 질문이 만들는 힘을 알게 되고 사회 발전을 가져온다는 것을 알게 된다.
블랙홀을 빨아들이는 것은 오히려 태양이다? 블랙홀은 가까이 갈 수 있다. 블랙홀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알게 되는 것은 미지에 대한 두려움을 버리고 현실을 정확하게 보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시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과학의 5가지 규칙
1. 권위를 의심하라.
2. 자기 머리로 생각하라.
3. 관찰과 실험으로 아이디어를 검증하라.
4. 자료와 증거가 필요하다.
5. 나는 틀렸을 수 있다.

우주는 팽창하고 있으며 항상 움직인다. 우주의 중심은 없으며 끝도 없다. 우주에는 정답이 없다. 우리의 인생도 그러하다. 내 인생에 의미와 정답은 스스로 부여하고 찾아가는 것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인간은 앞으로 얼마나 지구에 살 수 있을까? 지구에 직면한 온난화, 물의 증발, 지구 탈출 계획 시나오리 등을 보니 지구가 직면한 문제를 인식하게 된다.
과잉소비, 환경파괴 등 우리 앞을 가로막는 것들에 대해 생각하고 행동해야 한다.
우주는 무한한가? 유한한가?
아인슈타인은 '이 세상에는 무한한 것이 두 가지 있다. 우주와 인간의 어리석음이다. 그러나 우주는 무한하다고 단언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광활한 우주의 움직임에 대해 알게 되며 과학지식도 늘어난다. 그리고 우주 속에 우리를 알게 된다.
우주적 사고는 나 자신과 주변 사람들, 사회와 지구를 다시 바라보게 한다.
과거로는 돌아갈 수 없는 미래로 흐르는 무한하지 않은 우주의 시간을 그 속에 나의 인생을 어떻게 살 것인가? 나답게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물음을 던지며 생각하게 된다.
코스모스 씽킹은 무한한 우주에서 나의 빛을 발견하고 가능성을 찾아 각자의 색깔로 빛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 우주의 이치로 사고하고 싶은 분
▶ 우주의 시점으로 미래를 발견하고 싶은 분
▶ 우주의 본질과 인생의 본질을 알고 싶은 분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