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장 삶에 새기는 논어 - 인생이라는 길에서 논어를 펼치다
이지연.심범섭 지음 / 보아스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자가 제자 및 여러 사람의 질문에 대답하고 토론한 것이 '논(論)' 제자들에게 전해준 가르침을 '어(語)'라고 부른다. 논어에는 공자의 솔선수범, 배려, 겸손함, 근면함, 언행일치, 지행합일, 삶에 실천 등이 500여 구절에 녹아있어 가치 있는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알게 된다.

이 책은 논어 498장 중 나를 바로 세우고 흔들리는 삶을 다잡아 나를 찾아가는 법에 대한 지혜가 담긴 75개 장을 뽑아놓았다. 논어 구절을 쉽게 현대적으로 설명하고 오늘날 삶에서 실천해야 할 부분을 제시하고 있다.

공자의 말씀들은 그 뜻을 깊이 알지 못했을 뿐 한 번쯤 들어본 적 있는 사자성어와 고사성어들이 제법 많다. 논어는 현실에 성실하게 발을 붙이고 배운 것을 삶에 충실히 실천하라고 말하고 있다.

과유불급(過猶不及)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 중용은 곧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공자는 인(仁)은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며 덕(德)과 예(禮)로 배려하고 표현해야 하다고 말한다.

공손함, 신중함, 용기, 정직함 이 네 가지는 모두 우리가 살아가면서 갖추어야 할 덕목이다.


아집과 독선, 독단, 자만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의를 기준으로 판단하고 행동하라고 말한다.

인은 공손함, 관대함, 신뢰, 민첩함, 은혜로움이 그것이다.

​나를 바로 세울 수 있는 중요한 가치들은 무엇인지 생각하게 된다. 사람답게 사는 길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위기지학(爲己之學)의 길로 안내하는 인문학 공부가 필요하다.

실력과 인성을 갖춘 인재에게 기회가 찾아오며 작은 일에 충실해야 큰일도 잘한다고 말한다.

배움이나 일은 마치 탑을 쌓는 것과 같다는 말은 배움과 일을 완성하는 데 과정이 중요함을 깨닫게 한다.

古之學者爲己 今之學者爲人

고지학자위기 금지학자위인

논어의 첫 문장인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즐겁지 아니한가'는 즐길 수 있어야 지속할 수 있고 자발적으로 하는 공부야말로 자기 자신을 위한 것임을 알게 한다.



삶의 결과가 달라지는 생이지지(生而知之), 학이지지(學而知之), 곤이학지(困而學之), 곤이불학(困而不學) 배움의 네 가지 배움의 자세는 어떤 배움의 자세를 갖느냐에 따라 우리의 삶이 확연히 달라짐을 깨닿게 한다.

​나를 찾아가는 길은 자신의 본질을 알고 소명을 아는 길이다. 자신을 깊이 들여다보고 본질에 대해 성찰할 수 있어야 한다.

공자의 가르침은 품격 있는 사람, 배우고 즐기는 삶, 힘을 얻는 마음가짐을 가지게 하는 배움을 준다.

중심을 잃지 않는 삶의 자세는 삶의 질을 높이고 좋은 관계를 쌓을 수 있도록 한다.

나이에 상관없이 배우는 자세는 도전하고 성공하는 길로 가는 자기 계발의 삶을 살아가게 할 것이다.

​나의 가치를 알고 겸손하며 공정함의 잣대로 사람을 판단하는 겸허한 자세를 배우게 된다.

사람답게 사는 길을 알면 행동이 변화하여 좋은 평판을 얻게 된다.

올바른 자세로 배우고 실천하는 법을 알고 세상을 넓게 보고 판단하는 사람이 되라고 말한다.

다양성을 인정하는 화이부동(和而不同) 하는 자세는 나의 경쟁력이 된다.

​이 책은 논어의 주옥같은 말들을 눈으로 읽고, 손으로 쓰고, 마음에 새겨 삶에 실천해 나갈 수 있는 공부를 할 수 있다.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 알고 실천하는 논어 공부를 하고 싶은 분

▶ 논어를 쉽게 읽고 필사하고 싶은 분

▶ 나의 가치를 찾아가는 논어 공부를 하고 싶은 분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