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삶이 흔들릴 때 아들러 심리학 - 인생을 두 배로 살기 위한 마음공부 10가지
알프레드 아들러 지음, 유진상 옮김 / 스타북스 / 2024년 7월
평점 :

유익한 자리에 서도록 용기를 갖게 하는 아들러 심리학은 자신의 의지대로 주체적이고 행복한 삶을 살도록 돕는다. 자신과 타인의 문제를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써 이해하도록 한다.
삶 속에 어려움을 겪는 모든 사람들이 문제를 극복하고 용기 있게 자신의 삶을 살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용기 있는 사람은 삶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몸으로 나타낸다. 우울하고 싶어 하는 잘못된 목표, 우월감을 탈취하려는 노력 등 역경을 올바르게 극복하려는 노력이 없으면 공격적인 행동으로 표출된다.
현실에 대한 관심,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이 기초가 되어야 한다.
마음은 몸에 영향을 미치고 행동을 지배한다. 실패하는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보이는 사실은 협동능력의 정도가 지극히 낮다는 점이다.
우리는 모두 열등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열등감을 객관화하지 못하면 우월감으로 드러난다.
모든 면에서 협력하도록 훈련되지 않은 아이는 고정적인 열등감과 비관주의를 가질 수밖에 없다고 한다.
반항아가 되도록 훈련되는 사례들은 두려움 때문에 비롯된 열등감이 원인이었다.
우리는 불완전한 기억 속에 숨겨진 진짜 실체를 향하여 마음을 기울여야 한다.

부모에게 받은 최초의 기억들이 열등감을 갖게 하고 삶의 용기를 꺾는다.
용기를 갖고 노력하고, 자기 상태를 개선하고, 최선을 다해 삶의 방식을 탐구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억압받거나 응석받이로 자란 사람들의 인생 방식은 불행했다. 불행할 핑곗거리를 계속해 찾았다.
아들러는 신경증 환자들에게 이런 점들을 발견해낸다.
꿈을 올바른 관점으로 관찰해 보면 문제의 열쇠를 발견하게 될 수도 있다. 꿈이 남긴 잔상과 감정은 인생 방식 전체와 관계성이 있다.
사춘기의 아이들은 어른과 같은 행동을 하려고 한다. 이때 범죄도 증가한다.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삐뚤어지게 표출된 것이다.
사춘기의 욕망을 긍정적으로 바꿔주면 아이는 협력하는 삶을 살게 된다.
부모는 아이와 협동하여 자기 자신보다 주위 사람에게 관심을 갖도록 유도해야 한다.
잘못된 환경이 범죄자를 만든다. 뉴스를 보면 그들의 어릴 적 환경이 평범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겉보기에 흠잡을 데 없는 환경에서 범죄자가 나오기도 한다.
범죄자들은 사실 겁쟁이거나 재능을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한 아이들이었다.
아이의 입장을 이해하고 곁에서 설명해 주는 사람이 없었다. 협동할 수 있는 소년은 결코 유혹되지 않는다. 사회적 관심과 협동훈련의 중요성을 말한다.

범죄자는 단지 잘못된 수단을 골랐을 뿐이다. 우리는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상처를 정면으로 바라볼 용기를 미루며 자신에게 해가 되는 선택들을 행동화하고 그것을 합리화한다.
잘못된 행동은 어릴 적 환경이 큰 영향을 미쳤다. 성인이 된 우리는 그러한 기억과 맞서는 용기가 필요하다. 자신을 사랑해야 타인도 사랑할 수 있다.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고 타인의 삶을 이해할 때 포용할 수 있는 사랑의 힘을 갖게 된다.
문제와 열등감을 객관화하고 나의 삶을 사랑하는 변화의 힘을 얻는데 아들러 심리학은 도움을 준다.
가족과 친구, 연인, 나와의 인연을 맺은 사람들과 조화로운 관계 속에 살아갈 수 있도록 한다.
삶이 괴롭다면 자신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다면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미루지 않는 용기를 이 책을 통해 얻기를 바란다.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 긍정적인 행동으로 삶을 변화시키고 싶은 분
▶ 마음이 건강한 아이로 키우고 싶은 부모
▶ 자주 우울하거나 자신을 이해할 수 없는 분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