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 - 우리는 가족이었을까?
프란츠 카프카 지음, 랭브릿지 옮김 / 리프레시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15년 처음 발표 이후, 전 세계 수많은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고, 독특하고 불편한 진실을 담고 있다. 등장인물들의 복잡한 감정 표현들을 섬세하게 다듬어 새로 번역하여 출간했다. 깊은 사유를 하게 하는 고전 카프카의 변신이다.

책 표지에 10개의 키워드로 보는 '변신'이라고 소개되어 있다. 책을 읽으며 키워드의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변신>영업사원으로 근무하는 그레고르는 어느 날 아침, 자신의 침대에서 흉측한 벌레로 변해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자신의 모습에 놀랐음에도 불구하고 '출근'해야 한다는 사실을 먼저 고민한다.

<고립>그레고르를 보고 놀래는 가족으로부터, 5년 동안 충성을 다한 회사로부터 고립당한다. 자신조차 낯설고, 최소한의 도움조차 점차 사라지며 자신의 방에 혼자가 된다.

<가족> 그레고르는 가족들을 위해 가족을 부양하고 희생하며 일을 했다. 부양능력을 상실하고 흉측한 모습으로 변한 그를 기다려주지 않은 채 벽을 타고 다니는 데 방해가 되는 가구들을 치워버린다.

​벽에 걸린 액자에 붙어 자신의 뜻을 표출하지만 졸도한 어머니를 본 아버지는 그레고리의 등에 사과를 던지고 등에 사과가 박히면서 피를 흘리고 제대로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소외>그레고리는 벽 사이로 새어 나오는 가족들의 목소리를 듣고자 노력하고 가족의 생계를 걱정한다. 방문이 열리기만을 기다린 채 아픔도 참고 참으며 긴 시간 소외되어 간다.

<정체성> 몸은 벌레로 변했지만, 인간으로서의 정체성과 기억을 가지고 있는 그레고리의 심리묘사는 갑자기 변해버린 그의 혼란스러움을 전하고 있다.

<비극> 비극의 결말은 왜 왔는가? 그를 죽게 한 것은 누구일까? 가족들은 점진적 이해가 아닌 점진적 배척으로 비극을 불러왔다.

만약 그가 그레고리라면 그는 오래전에 사람들과 같이 살 수 없다는 걸 깨달았을 거고 스스로 떠났을 거예요. 그러면 우리는 가족 중 일부가 없어지겠지만 살아갈 수 있을 거고 그레고리의 추억을 존중해 줄 수 있을 거예요 102p


<부담>가족에 짐이 되는 걸 두려워하는 현실 세계처럼 경제적 부양자로서의 역할을 상실하면서 가족들에게 그레고리는 부담이 되는 존재가 된다. 이 밖에도 갈등, 존재, 이해라는 키워드까지 소설 속에 들어있다.

"만약 그가 우리를 이해한다면" 가족들은 벌레로 변해버린 그레고리가 자신들을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변신하기 전에도 당연히 자신들은 이해받아야 하는 존재들이었다.

​이해하려 하지 않고 이해받으려고만 하는 존재들로 가득하면 고립되고 소외받는 사람들이 생긴다. 사회적으로 또는 가족에게 소외되고 고립되어 간다는 것은 어느 날 자신의 존재가 벌레로 변하게 되는 것과 같은 심정일 것이다.​​


'이해받으려 하지 말고 이해하라' 그것이 사랑을 만들어내는 방법이 아닐까? 사랑의 힘만이 서로를 깊이 이해하고 지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카프카의 <변신>은 가족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이기적인 심리와 변심 그리고 복잡하고 소외된 심리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깊은 상징성을 담고 있는 이 소설은 사회적 무게, 사회적 평가, 그 속에 흔들리는 존재의 정체성까지 사유하게 되며 인간에게 무엇이 중요한지 깊이 깨닫게 되며 성찰하게 한다.​​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 실존주의 현대문학 고전 카프카를 읽고 싶은 분

▶ 고전을 통한 현재를 통찰하고 싶은 분

▶개인화 시대의 존재를 고찰해 보고 싶은 분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