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로 간 한국전쟁 - 한국전쟁기 마을에서 벌어진 작은 전쟁들
박찬승 지음 / 돌베개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쟁이라는 것을 거시적 관점에서 보면 국가권력간의 갈등 또는 정치적 입장을 달리하는 집단간의 무력충돌이라 이야기 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갈등은 비교적 단순해보인다.  한국전쟁 역시 강대국의 이해관계를 등에 멘 남과 북의 정치사상적 갈등이었다 설명하면 큰 무리가 없어보인다.


  전쟁의 미시적 관점은 크게 달라진다.  그 안에서 일어나는 소집단에서부터 개인간의 갈등관계는 수많은 역학을 만들어내고 이는 다양한 이야기로 터져나온다.  다양한 증언들은 다양한 느낌들을 만들어내고 때론 그것들이 소설이나 영화의 소재로 활용되는 것을 보면 미시적 갈등은 무한성을 지닌 듯한 느낌까지 든다. 


  전쟁이라는 환경에서 거시적 관점을 유발하는 주체과 미시적 관점에서 갈등하는 개인, 소집단은 어떤 영향관계에 있을까?  그러니까, 국가가 선동하는 구호가 소집단이나 개인의 생각을 온전히 지배할 수 있을까?  2차대전을 일으킨 히틀러의 독일은 비교적 그런 편이라 볼 수 있겠지만, 한국전쟁에서의 미시적 갈등은 그런 관계와는 사뭇 달라보인다. 거시적 갈등의 주요소였던 사상이 미시적 갈등을 주도했다기 보다는, 오랜 공동체 안에서 존재하고 쌓여왔던 갈등 자체가 미시적 갈등의 폭발로 나타난 것이다.  거기엔 어떤 사상의 주체도, 선동에 경도된 투철한 의식도 그닥 느껴지지 않는다.  그러니까 미시적 관점에서 한국전쟁은 갈등때문에 벌어진 일이 아니라, 갈등의 구체적 폭발을 야기한 사건이었던 것이다.


  여기서 미시적 갈등을 바라보는 남과 북이라는 국가단위들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  사실 이 책에 나오는 마을단위의 이하집단에서는 전쟁의 구체적 이유나 경과등에 대한 이해가 별로 없어보인다.  그러니까 국가단위가 유발한 전쟁의 이런저런 사연과는 조금 동떨어진 위치에서 자신이 살던 곳에서 그럭저럭 살던 사람들이었던 것이다.  전쟁이 그런 사람들간의 갈등의 구체적 폭발을 일으킬 때, 남과 북의 국가는 이에 적극적으로 관여했다기 보다는, 한발짝 떨어져서 바라보며 이를 유용하게 활용했다.  이 지점은 왠지, 마을을 이루며 살아오던 사람들이나 공동체와 그들이 사는 땅을 점령하고 관리하는 빅브라더로서의 역할을 자처하는 집단간의 어떤 괴리감을 느끼게 한다.


  구체적 폭발을 야기한 공동체의 갈등도 둘러볼 만 하다.  신분제가 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의식속에 남은 신분차이의 갈등, 친족간의 재산이나 이해관계, 종교가 불러온 갈등, 그리고 전쟁이라는 시점에서 나타난 빨치산이라는 산사람들이 그나마 유지되던 공동체에 미친 변수 등등..  모습은 다양하지만 한가지 느껴지는 건 갈등의 깊이와 시간은 만만치 않은 길이와 두께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마을이라는 공동체에 배인 이런 깊은 뿌리는 사뭇 쉽게 건들여지지 못할 것 같다.  엉뚱하게도 나는 이런 생각에서 현재의 마을공동체와 귀농이나 귀촌으로 설명되는 외부인의 유입을 생각했다.  그럼으로서 생기는 갈등은 새로운 갈등이면서 피할 수 없는 갈등으로 보인달까?  마을공동체에 배인 뿌리의 모습이 현대인의 관점에서 옳던 옳지 않던간에, 그것은 무척 단단해서 쉽게 변화되지 않는 그런 것이다.  그런 뿌리위에서 살아보겠다 자리를 만드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역시 쉽게 설명할 수 없는 그런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