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일즈맨의 죽음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18
아서 밀러 지음, 강유나 옮김 / 민음사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일즈맨은 노동의 기쁨을 누리고 싶지만 자본은 일개인간의 그런 마음을 헤아리지 않는다.  기쁨과 보람은 자본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완수해야 할 일개부품의 할당량일 뿐이고,  '감정과 의지'를 가진 일개부품을 움직이게 하는 투자가 필요없는 촉매제일 뿐이다.  일개부품에 불과한 세일즈맨이 채운 할당량에 따르는 보람과 기쁨은 자본의 이윤율에 차압당한지 이미 오래이다.  인간의 노동을 통한 스스로의 보람과 생활의 추구라는 자가순환적 고리는 깨어져버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일즈맨은 꿈꾸기를 멈추지 않는다.  보람과 기쁨은 이미 저당잡힌지도 모른 채, 자신의 삶을 구성하는 모든 것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버리지 않는다.  충실한 자본의 부품으로서 보여준 역할에 대한 보상으로 받은 돈으로 또다른 자본순환의 산물들을 구입하고 채워가며 그것으로 든든함과 만족을 느낀다.  직접 몸을 움직여 삶의 공간에 채워넣은 물건은 없고 벌어온 돈으로 무언가를 채워넣는 역할 외에는 직접적으로 삶을 꾸리지도 못하지만 그는 언제나 뿌듯함으로 살아간다.  그리고 자신의 모습을 자기자녀들의 롤모델로 자랑스레 제시한다.


  세일즈맨의 기쁨, 역할에 대한 보람..  그것을 한 인간의 존엄이라고 이야기한다면 자본의 위기앞에서 자본은 그 존엄을 지켜줄 수 있을까?  아쉽지만 작품에서는 그런 대인배적인 자본을 느낄 수가 없다.  대공황의 어려움 앞에서 이미 오래도록 쓰인 부품은 더 이상 쓸모가 없어져 무참히, 단숨에 버려진다.  회사를 물려받은 사장앞에서, 자신이 갓 태어난 사장의 이름을 만들어주었을 정도로 사장의 나이보다 더 많은 햇수를 회사에서 일한 소모된 늙은 부품은 단 한마디에 해고를 당한다.  그것도 사장은 최신 생활전자기기를 앞에다 놓고 자랑아닌 자랑을 하면서 말이다.  위기에서도 자본은 최고의 이윤을 추구하고 이를 위해 부품으로 일하는 사람들은 무참히 버려지는 모습, 이런 모습은 현재의 우리사회에서도 익숙한 모습이다.


  꿈과 존엄을 이어나갈 유일한 뿌리를 잃은 세일즈맨은 급격히 시들어간다.  희망속에서 마냥의 긍정으로 바라보던 자신의 아들들의 모습도 시든 눈빛속에서 별볼일 없는 실체를 파악한다.  평생을 지탱하던 자존심과 정체성은 한순간에 꺾여버린다.  자본의 권력을 쥔 이의 단 한마디, '해고'라는 말에 의해..  그리고 그는 더이상 참지 못하고 자살을 선택한다. 


  대공황을 직면에 둔 1920년대 후반의 모습이라지만, 100여년의 차이를 두고도 작품이 고발하는 자본체제하의 인간의 가치문제는 지금도 여전히 유효함을 느낀다.  해고는 살인이라는 요즘의 말이 무척이나 실감이 났던 작품.  그것이 직접적인 살인이 아니더라도, 인간의 삶을 유지케하는 모든 수단과 희망을 단 하나의 유일한 끈으로 거머쥔 자본이 자신의 이윤과 이윤율을 위해 그 끈을 일방적으로 휘두르면 인간은 뿌리가 잘린 나무마냥 급격히 시들어버린다.  그리고 죽는다.  우리는 대체 지난 200여년간의 자본사회에서 이런 위태로움을 어떻게 참아내며 살아왔던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