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올리버 색스 지음, 조석현 옮김 / 이마고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이 신경과 의사의 임상경험을 모은 책이라고는 생각을 전혀 못하고 있던 중에 우연히 손에 들게 된 책의 내용은 상당한 인상을 나에게 안겨주었다.  그것은 어떤 불편함을 몸의 어딘가에 지니고 살아야하는 사람들에 대한 새로운 인식 같은 것이랄까?  그런 사람들에 대한 우리의 인식에는 대부분 육체적으로 어딘가가 부자연스러운 사람들이 가득했지만, 이 책은 그런 이들 말고도 사고, 감정, 느낌, 표현, 환경에 대한 인식이 부자연스러운 사람들에 대해 우리가 좀 더 포용력있게 인식하도록 권유한다.  



  부자연스럽다는 것은 무엇일까?  사람들은 부자연스러운 사람들에게 장애인 또는 장애우라는 명칭을 붙였지만, 그것의 경계라는 것은 분명해질 수 있는 것일까?  만일 이 책에 나오는 사람들, 즉 뇌의 기질적, 부분적 이상에 의한 사고나 행동, 인식이 어색한 사람들도 장애우, 또는 장애인이라는 범주에 포함시킨다면, 우리는 어떻게 이런 이들을 감별해 낼 수 있을까?  만일 이 책에 나오는 사람들이 이 책의 저자처럼 치밀한 분석으로 어떤 문제를 파악해내는 의료인을 만나지 않았다면 우리는 그들의 뇌기질의 이상을 짐작이나마 할 수 있었을까?  개인적으로는 장애인, 장애우라는 단어를 좋아하지도 수긍하지도 않는 입장에서 그런 단어가 규정하는 사람들, 그리고 구분의 기준에 대해 다시금 생각케 하는 기회가 되었다.  좀 더 폭넓게 생각해보면 우리 모두가 기질적 또는 비기질적 장애인일 수 있는데, 그런 우리가 누군가의 기질적 문제점을 어떻게든 찾아내어 분석하고 밝혀내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 하는 생각도 해 보았다.




  이 책에는 저자가 자신이 분석하고 있는 환자에게 과연 영혼이라는 것이 있을까 의심하는 대목이 나온다.  두 대목에서 나오는데 처음에는 그런 의문을 품는데 대해 바로 후회하지만, 두번째 환자에 대해서는 그런 의문의 자세를 끝까지 견지한다.  인간의 두뇌를 이토록 세밀하게 분석해내는 신경과 의사의 이런 고민은 의사인 나에게도 어떤 의문을 제시한다.  인간의 영혼은 과연 마음에 자리하고 있을까?  아님 두뇌의 기능과 함께 존재하는 것일까?  아니면, 마음에 자리잡은 영혼의 기능을 두뇌의 기질적 이상이 가리고 있는 것일까..  만일 그렇다면 사람들은 보이지 않는 내면에서 얼마나 괴로운 싸움을 하고 있는 것일까?  손으로 밥을 먹던 사람이 손을 잃어버린 후 그렇게 하지 못함에 대한 괴로움을 내면에서 억눌러야만 하는 것 같이 말이다.  그런 괴로움은 과연 의학적으로 밝혀낼 수 없는 것일까..  영혼이라는 것은 과연 어떻게 인식되어야만 하는 존재일까? 




  이 책은 읽고나서 더 많은 혼란과 고민거리를 나에게 안겨주었다.  인간의 상태에 관한 재인식, 그리고 그에 따른 인간성과 영적, 육체적인 인간의 정의, 그리고 장애우라는 단어에 대한 확고한 재고..  이 책의 내용은 저자가 만난 수많은 임상케이스 중에서 특별한 케이스들만을 모아놓은 것이기는 하지만, 기질적 문제에 따른 독특한 행동사고를 하는 사람들은 우리가 느끼지 못하는 와중에도 수없이 많을 것이라는 생각과, 그런 환자들에 대해 저자의 시선은 단지 신기한 케이스만이 아닌 인간적인 시선을 견지하고 있기 때문에 읽는 이로 하여금 호기심과 신기함 외에도 인간의 본질에 대한 폭넓은 시선을 가지게 한다.  특히 의사인 나에게는 인간의 신체적 의문과 고민을 한층 더 깊게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주었다.  그것은 단지 인간의 질병에 대한 희귀하고 어려운 고민이 아니라, 나를 찾아오는 사람들의 인간적 이해를 어떻게 폭넓고 깊게 만들 수 있는가 하는 고민이다.  기질적 문제를 넘어 다양한 모습으로 다가오는 환자들의 모습은 투약이나 처치를 넘어 이해를 통해 안정과 일말의 치유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