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장하준 지음, 김희정.안세민 옮김 / 부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의 경제행위의 발전과 변화에 있어 자본주의라는 체제는 어떤 의미를 가질까?  자본주의체제하에서 현재사회는 자본이라는 것을 매개로 생산, 소비를 계량화 구체화 하고, 이윤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내며, 생산소비활동은 필요를 넘어선 호기심과 욕구차원에서 가능하게 되었다.  이로서 겉으로 보이는 결과는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세상인데 과연 이것이 인간의 삶에 있어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자본주의의 긍정성을 강조하는 입장에서 살펴보면 좀 더 많은 이윤을 창출하고자 노력하는 행위는 존중되어야 하고, 그런 노력의 경쟁은 어쩌면 보호되어야 하는 사회현상이다.  그리고 그런 논리하에 우리가 목도하고 있는 신자유주의적 사회현상들은 인간의 삶에 긍정적 의미를 부여하는 최적의 모습일 것이다.  그렇지만, 지금 우리의 삶은 여러 경제지표가 좋아졌다고 자화자찬하는 위정자들의 호들갑과는 달리 전보다 더욱 척박해지기만 하고 어딘가 불안하기만 하다.  세상엔 그저 잘 알 수 없는 수많은 이야기들만 난무하는 가운데 대체 이 불안과 척박의 원인을 알 수가 없다.  

 

  저자는 이야기한다.  자본주의체제는 나쁘지만 다른 경제체제는 더욱 나쁘다고..  그래서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해야만 하는데 이를 더욱 공고화하고 심화시키는 자유시장적 자본주의 체제는 그나마의 자본주의를 더욱 나쁘게 만들기에 반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왜 그런지는 양심적이고 논리적인 경제학자인 저자가 제목대로 23가지 예를 들어 책에 비교적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으니 읽어보며 고개를 끄덕이면 된다.  그것은 마치 지금 우리가 지금의 정부와 대립하는 이유들과 흡사하다.  수단을 가리지 않고 이윤을 추구하려 하는 위정자들과, 그들과 야합하여 이윤을 획득하려 하는 상위 소수의 물욕에 반하여 모두가 골고루 잘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려 하는 다수의 논리적 주장과 비슷한 부분을 많이 발견하게 된다.

 

  하지만, 저자의 주장은 나쁜 자본주의가 더 나쁜 모습으로 변화하지 않게 하는 지점에서 머무른다.  그것은 저자가 이야기한대로, 자신은 자본주의가 가장 나은 경제체제라 믿는 경제학자이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그래서 나는 저자를 양심적인 학자로 보지만 개인적으로는 결국 이 지점에서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첫번째, 다양한 현상들이 맞물려 이루어지는 사회현상을 경제라는 하나의 시선으로 관찰하며 가질 수 밖에 없는 시야폭의 한계, 두번째는 자신 스스로도 인정한 나쁜 자본주의의 결과가 지금 환경적 재앙으로 이미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독재체제에서 성장한 한국경제의 이면에 공존하는 힘없는 사람들의 무조건적 희생과 갑작스런 성장에 비례하여 성장하지 못한 의식들은 경제학자의 시선으로는 그다지 와닿지 않는 부분일런지도 모른다.  그것이, 지금까지 저자를 바라보았던 사람들이 가진, 의아해하는 시선의 이유는 아니었을까..  그리고, 자본주의 체제의 속성상 자원과 노동력으로 생산과 소비를 무한반복해야만 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이미 지구적 한계를 경험하고 있다.  그것이 30년간의 자유시장 경제체제가 아닌 200여년간의 자본주의적 경제체제의 산물임은 굳이 이야기하지 않아도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그렇다면, 인간의 삶의 유지와 인간이라는 종의 지속적인 생존의 차원에서 보면, 자본주의는 속히 극복되어야만 하는 상당한 문제를 지닌 체제인 것이다.  생산과 소비의 방식이 완전히 바뀌어야만 생명의 유지와 종속이 가능하다면 자본주의가 좀 더 착해지고 나빠지고 하는 논의와 주장은 별다른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  그러기에 개인적으로, 저자의 주장은 양심적 차원에서 존중하지만 현실적 차원에서 일말의 허무함을 지울 수 없었던 내용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