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보스포럼, 자본주의를 버리다 - 포스트 캐피털리즘: 다시 성장이다
매일경제 세계지식포럼 사무국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2012년, 다보스포럼의 기조와 판세가 변화했다는 사실은 사회이슈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변화의 중요성과 변화의 원인과, 기저에 깔린 세계정세의 동향 변화,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분명하게 정리해주는 내용을 찾아보기는 힘들었다. 그러나 나는 <다보스포럼, 자본주의를 버리다>가 바로 이런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번역판이 가지고 있는 가독성이나 방향성의 문제 없이, 한국의 시각에서 바라본 깔끔한 문체와 예리한 분석이 무엇보다 돋보였다. 이번 다보스포럼에서 제기된 자본주의의 문제점에 대한 지적, 세계 경제가 성장해나갈 대안, 자본주의 이후에 어떻게 세계의 정세가 변화될 것인지, 또한 중국의 가치 뿐만이 아니라, 한 발자국 더 나아가 아시아 전체의 잠재 가치에 대한 인지, 비즈니스의 트렌드가 위기를 넘어서는 과정 및 새로운 기술의 발전, 마지막으로 자본주의 이후의 시대에 에너지가 차지하는 중요성과 그 가치를 매우 논리적으로 정리해놓아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그 누구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내 생각에는 경제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중고등학생들도 충분히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그 중에서도 내가 가장 인상깊게 읽었던 부분은 <PART04 아시아의 시대>이다. 지금까지 중국의 무한한 가능성만 강조해 온 대부분의 각종 언론들과는 다르게, 중국이 감당하는 역할의 한계점과 아시아 전체의 무한한 가능성, '아시안'이 아닌 '아세안'에 중점을 맞춰야 하는 이유 등이 매우 설득력있게 다가와서 내가 지금까지 가지고 있던 세계경제에 대한 편협한 시각을 변화시키는 데에 큰 도움이 되었다.

  이 책의 묘미는 잠시도 지루할 틈이 없다는 것이다. 책의 본문만 해도 충분히 좋은 정보들을 재미있게 담아놓았는데, 각 챕터의 도입부에는 언론사에서 인용한 재계 거물들의 중요한 말들을 정리해 노혹, 각 파트가 끝날 때마다 생생한 심층인터뷰 거리를 읽을 수도 있었다. 별책부록의 2012다보스리포트 요약본도 들어있어서, 이 책을 다 읽고 나서 이 요약본을 읽으면 각 항목이 의미하는 바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