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에서 만난 파란 눈의 스승 - 세계사 속 두 사람 이야기 : 동양편 인물로 읽는 역사
강창훈 지음, 문종훈 그림 / 책과함께어린이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사 속 두 사람의 이야기[동양편]이라고 표지에 버젓이 적혀 있음에도....

'티베트에서 만난 파란눈의 스승'이란 제목과 파란색 표지에 이끌려

티벳의 한 승려 이야기로 가득 할 것이란 막연한 기대를 하고 책장을 넘겼다.

 

티벳의 한 승려 이야기를 포함한 20명의 인물 이야기가 실려 있었다. 몇 가지 이야기만 소개해면...

 

그 첫번째 이야기로 '슛도다나 왕과 석가모니' 두 분의 관계는 아들과 아버지...

왕자의 길을 버리고 고행의 길을 나설 수 밖에 없었던 아들, 그 아들의 결정에 묵묵히 지켜봐준 아버지의 이야기다. 종교적 접근이 아니라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이야기 하고 싶었던 것 같다.

책 내용 중에 이런 내용이 있다. '석가모니는 지금까지도 우리에게 추앙받는 성인이지만, 지금의 우리가 보기에는 효자는 아니였어. 늘 아버지의 뜻을 거슬러 아버지의 마음을 아프게 했지. 하지만 그런아들도 부모에겐 소중한 자식이야. 아버지 슛도다나 왕은 자기품을 떠나 버린 아들을 마음속에서 놓지 않고 끝까지 보살폈어, 어쩌면 싯다르타가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될 수 있었던 데에는 아버지 슛도다나 왕도 큰 역할을 한 게 아닐까 싶구나" 라고 이 이야기의 마지막을 맺고 있다.

몇 번을 읽어봐도 걸리는 부분이다. 관계를 설명하고 싶은 작가의 의도는 알겠으나 뭔지 모를 종교적 비하가 느껴지는건 뭘까?? 아쉬운 부분이다.

 

너무나도 다른 두 천재 시인 이백과 두보의 만남

호탕하고 자유분방한 이백과 고지식하고 사교성 없는 모범생 두보의 만남을 통해 평생을 두고 존경하고 그리워하는 소중한 이가 되었다.

죽기 전에 나도 존경하는 멘토를 만나고 싶다!

 

몽골을 통일하고 세계를 정복한 칭기즈칸과 그의 어머니 후엘룬의 일화가 소개되어 있다. 세계를 호령했던 정복자 뒤에는 그 못지않게 현명한 어머니가 있었음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준 이야기다. 울 아들은...어쩌지?? 울 아들의 자생력을 믿을 수밖에...

 

목숨을 걸고 간언을 했던 위징과 위징의 간언을 받아들일 수 있었던 당 태종의 이야기...

당 태종이 위징에게 한말이다.

“황금이 광석에 박혀만 있다면 어찌 귀중하다고 할 수 있겠소? 광석을 제련하여 금을 얻어야 진귀한 보물이 되는 것이니, 이 모든 것은 장인의 손에 달려 있는 것이오. 그러니, 짐은 막 출토된 금광석이요, 그대는 금광석을 제련할 줄 아는 뛰어난 장인이라 생각하오.”

임금에게 잘못을 지적해야하는 신하, 지적을 받아들여야 하는 임금...더 큰 성장을 위한 성장통같은 존재인가?

 

그리고 맨 마지막 이야기로 드디어 책표지의 주인공이 등장한다. 파란 눈의 스승과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 이야기가 마지막을 장식한다. 궁금하면 읽어보시길...

 

10가지 이야기 속에 동양이 담겨있는 듯하다.

20명의 인물 속에 세상이 있었고 그들의 관계 속에 “다름“이 있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4-08-07 23: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8-07 23:5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