쉿! 박물관에 암호가 숨어 있어요 - 전통문양으로 우리 문화 읽기 엄마와 함께 보는 글로연 박물관 시리즈 5
박물관이야기 지음 / 글로연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적지나 박물관에 가면 아이들에게 지루한 설명보다는 엄마가 좀 더 재미난 이야기를 섞어서 이야기해주고 싶을때가 있다

많지 않은 얕은 지식으로 아이에게 설명을 해주려고 그 장소에 가면 기억하고 알았던 내용도 어찌 그리 깔끔히 잊혀 지는지^^

박물관 체험이라고 해서 많이 데리고 다니지만 아~ 이 시대는 이런 물건을 이런 문화가 있었구나 정도로 끝맺음 했던것 같다

이번에도 우리 큰 아이가 방학 기간을 이용해서 박물관 견학을 하고 싶다고 한다

어렸을때 다녀서 보았던 기억은 그때의 기억일뿐 지금 보는 시각과 생각은 틀리다는 점을 들어 많이 보고 싶고 경험하고 싶다고 한다^^

그래서 아이와 더 깊은 지식을 위해 이 책을 들었다


이 박물관 시리즈중 이번에는 전통 문양으로 우리 조상들의 삶이 어떻게 그림으로 또는 자기로, 생활용품이나 장신구에 쓰였는지 알고자 한다.

* 서민들의 생활를 민화에 담고 있다 그 시대의 생활그림, 읽는 그림, 재미난 그림 등이 소개 되어 있고 조선의민화박물관, 그 외 의 박물관을 소개하고 있어

민화에 대한 사전 지식을 얻고 많은 그림과 삽화와 같이 설명이 있어 민화 박문관 체험을 간다면 아이들이 민화를 해석것이 더 쉬울것이라 생각된다

* 자수, 실과 바늘로 마술를 부린듯 조상들의 옛 여인들의 한땀 한땀 수를 놓아 만들어진 옷드로가 생활용품 장신구, 가구를 살펴볼수 있는 숙명여자대학교 정영양자수박물관이 소개 되어 있다

* 도자기- 경기도자박물관, 분원백자료관이 소개 되어있다

그곳에 가면 우리나라 도자기가 태어난 때부터 지금까지의 역사, 만드는 방법, 종류, 재료 등등을 아이들이 흥미롭게 살펴볼 수 있고, 조각공원이나 토야흙놀이장 등등이 가족들과 박문관 나들이를 할수 있는 곳이다

요즘은 가까운곳에서도 체험활동이라 해서 도자기 만들기 체험을 자주 하곤한다

그렇게 만들어 보는것이 언제부터 우리나라에 들어와 어떻게 활용 되었는지 흥미롭게 많은 정보와 재미난 이야기도 같이 올려 더욱 흥미를 더했다


지금은 아이가 이 책으로 먼저 박물관 이론 견학을 하는 중이다^^

읽으면서도 신기하고 실물도 보고 싶다는 등 조잘 조잘 이야기 하면서 읽는다

예전에 가봤던 곳이 떠오르는지 그때의 기억을 실감나게 말하는 우리 아이

그래서 이번 겨울 방학 박물관 견학 코스는 아이가 읽고 있는 이 책 “쉿 박물관에 암호가 숨어 있어요”에서 고를 예정이다

책의 제목처럼 조상들의 숨은 비밀을 찾아 내듯 읽는 내내 즐겁다

이 즐거운 기억을 가지고 박물관에 간다면 즐거움이 배가 되고, 아이 생각주머니가 절로 커지리라 기대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