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도보여행 50 - 마음이 가는 대로 발길이 닿는 대로
이영철 지음 / SISO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벌써 7번째 도보 여행서를 펴낸 작가 이영철이 지은 <세계 도보여행 50>은 다섯 대륙에 걸친 걷기 좋은 코스를 안내하고 있는 책이자 그 속에 담긴 역사의 흐름까지 말하주고 있는 책입니다. 3개의 챕터를 통해 아시아, 오세아니아, 북미, 남미, 유럽까지 50개의 코스를 그림이 그려지는 문체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여러개의 코스를 안내하는데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깊었던 곳은 바로 티베트입니다. 모택동 시절이후 중국으로 넘어가게 된 이유로 더불어 달라이 라마가 인도로 망명정부까지 만든 것까지 설명해주고 있는 챕터입니다. 아무래도 티베트쪽 코스는 종교색이 짙은 지역이라 스페인의 순례길인 까미노 데 산티아고와 같은 순례 행렬을 오체투지로 행하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산티아고의 어원도 이번에 새로 알게 된 정보인데 흥미로웠습니다. 남미 사람들 중 흔한 이름이 아고 티아고(야고코)일텐데 산 티아고가 바로 SAINT(성) TIAGO(티아고), 그러니까 예수 제자 중 최초의 순교자인 야고보의 유해가 있는 곳까지 걸어가는 길이 바로 스페인의 순례길입니다.



한편 중국의 공산화로 50년간 유럽세계로 단절된 티베트의 모습에서 너무 관광지화 된 것에 대한 작가의 아쉬움도 남겨져 있습니다. 최대한 티베트 전통의 색을 빼려고 중국 정부가 노력한 탓이겠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임스 힐튼이라는 작가가 쓴<잃어버린 지평선>이라는 책을 통해 서방 세계의 관심이 있는 사람들도 이 곳을 많이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다른 한편으로 흥미로웠던 것은 장례 문화였습니다. 어떻게 보면 충격적인데요. 마틴 스콜세지의 <쿤둔>이라는 영화에서도 묘사되었다고 하는데 시신을 분쇄한 후 독수리의 먹이로 주었다고 합니다. 근데 이는 하늘의 지배자이자 가장 높이 나는 새인 독수리가 그 시신을 먹음으로써 하늘에 닿는 다는 의미가 있다고 전해져 내려옵니다. 이를 '천장'이라고 칭하고요.



국내에도 제주도를 제외한 동해안의 길이나 뉴질랜드의 <반지의 제왕>을 찍었던 트래킹 코스가 아주 인상적이었습니다. 코로나 시대에 직접 도보 여행은 떠나지 못하지만 그 날을 꿈꾸며 이 책을 통해 대리만족은 충분히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