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는 판을 위한 36계 병법 - 생각을 꿰뚫어 승자가 되는 방법
임유진 지음 / 미래문화사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임유진 작가가 편저한 <이기는 판을 위한 36계 병법>은 과거에도 그랬고 현재에도 그리고 미래에도 통용될 병법을 소개하고 있는 책입니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란 말이 있듯이 그 승자가 되길 많은 사람들이 희망할 것입니다. 그렇다고 승자가 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생각해 왔을겁니다. 그리고 거기엔 어느 정도 동일한 방법들이 있었을 것이고요. 그것이 전쟁에서 발생한다면 그 방법들이 병법이 되는 것입니다. 고대에도 그랬지만 역시나 사람이 사는 곳은 시대가 지나도 똑같다는 것을 이 병법들을 보고 느꼈습니다.



그 중에 4가지 병법이 개인적으로 인상 깊었는데요. 가장 처음 등장하는 병법이기도 한 <만천과해>가 눈에 띄었습니다. '하늘을 가리고 바다를 건너다'라는 뜻인데 이를 설명하기 위한 에피소드로 당태종의 이야기가 소개됩니다. 고구려땅이 바로 앞에 있는 상황에서 물을 무서워하는 당태종인 진격을 머뭄거립니다. 신하가 꾀를 내어 배에서 만찬을 한다고 속이고 연회를 즐기는 사이 그 배는 이미 고구려 땅 앞까지 진격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를 뒤늦게 알게 된 당태종은 자신의 두려움도 눈치 채지 못한 사이에 만족스런 결과가 눈앞에 와있는 상황을 맞이한 것입니다. 또 다른 에피소드는 노병이 힘 안 들이고 혈기 넘치는 젊은 병사를 따돌린 일이나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정부와 법정 다툼을 하는 에피소드들이 <만천과해>이라는 병법의 예로 소개됩니다.

다음으론 <부저추신>의 계책입니다. '끓는 솥 밑에서 장작을 꺼낸다'라는 뜻인데 적과의 정면 승부를 피하고 측면에서 조금씩 적의 기반을 무너뜨린다'는 계책입니다. 여기선 초한전 때의 에피소드를 담고 있습니다. 5년간의 전투로 양측인 모두 힘든 상황에 놓입니다. 그 때 유방 쪽의 장량이 한 계책을 내게 됩니다. 초나라 병사가 있는 곳에서 초나라의 민요를 듣게 하는 것입니다. 병사들은 이미 고향의 그리움에 사로 잡혀 힘든 상황인데 민요를 들으니 향수병이 도져 사기가 떨어집니다. 이를 눈치 챈 초나라의 항우는 패배의 그림자를 직감하게 되어 사면초가의 상황에 빠진다는 내용입니다.



<차도살인>이라는 책략도 흥미로웠는데요. 초나라의 회왕의 이야기가 소개됩니다. 회왕은 정수라는 여자를 좋아했는데 첩으로 진희라는 여성에게 정을 주게 됩니다. 근데 정수가 중간에 끼어들어 진희에게 코를 가리고 회왕을 만나라고 합니다. 회왕은 나중에 진희에게 코를 가린 이유를 말하라고 하자 '구취'때문이라 말하는 바람에 버림을 받게 됩니다. 즉 '자신의 손이 아니라 남의 손으로 적을 해치운다'라는 뜻입니다. 또 한가지의 에피소드는 초나라의 재상인 오기라는 인물의 이야기인데요. 귀족들의 힘이 거대해져 위기에 몰린 오기는 도망치다가 꾀를 냅니다. 자신은 이미 죽은 목숨이라는 생각에 죽어서라도 복수를 할 방법을 찾습니다. 얼마 전 죽은 왕의 시체를 껴안게 되는데 귀족의 병사들이 오기를 쏘면서 왕의 시체에도 화살을 꼽게 되는 것입니다. 아무리 시체라도 왕의 시체이기때문에 이것은 큰 죄에 해당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면서 다음 왕인 숙왕은 귀족들과 그 병사들을 모조리 죽이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합니다. 그러니까 다른 한 편으로 떠날때 떠날줄 아는 사람의 미덕도 함께 하는 계책이라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정문술 미래산업 사장이 욕심을 버리고 전문 경영자에게 회사를 이어주는 예가 바로 이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기는 판을 위한 36계 병법>은 책 초반의 한자들이 많이 등장해 조금 긴장하고 봤는데 본격적인 에피소드와 함께 소개되는 병법들이 쉽게 이해되었습니다. 초한, 전국춘추시대 등과 더불어 현재의 상황까지 아우르는 이 계책들이 매우 흥미롭게 다가오는 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