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죽음이 만나자고 했다 - 죽기로 결심한 의사가 간절히 살리고 싶었던 순간들
정상훈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인한 문구의 제목을 가진 <어느 날, 죽음이 만나자고 했다>는 의사 정상훈이 스스로 우울증을 앓고 그것을 극복해나가는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그 극복의 과정은 국경없는 의사회를 통해 의료 지원이 힘든 세 나라를 각각 방문하면서 조금씩 자신도 모르게 회복을 합니다.



지금 시대의 가장 위험한 병 중 하나인 우울증은 감정 상태 자체의 위험성도 있지만 상태가 심각해지면 스스로 삶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질환을 앓는 사람이 의사라니 너무 아이러니 했습니다. 그는 국경 없는 의사회를 통해 삶을 이어나가려는 환자들을 돌보며 스스로도 그렇게 변화하고 있었습니다.

이 책의 서문은 감정적으로 확 끌어당기는 부분이 있습니다. 함께 하지 못한 가족, 특히나 큰 아들에게 아빠가 왜 같이 해줄수 없는 것에 대한 이해를 바라는 편지로 시작됩니다. 삶을 계속 이어나가기 위해 그는 떠날 수 밖에 없었던 거죠.

아르메니아, 레바논, 시에라리온, 이렇게 세 나라를 각각 다니면서 환자를 만나고 또한 동료들을 통해 새로운 문화도 접하게 됩니다. 인상 깊었던 에피소드 중 하나는 본인과 어머니의 관계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유년기부터 시작해 의사가 된 현재까지 그는 어머니와의 관계가 좋지 못했습니다. 어머니도 우울증을 오래전부터 앓고 계셨는데 그 모습을 어릴때부터 봐온 작가는 그것을 견디기가 힘들었나 봅니다. 그것이 성인이 되어서도 마찬가지이고요. 누구나 그렇지만 말다툼 이후에 바로 후회는 하지만 이것은 반복될 뿐입니다. 그러다가 아르메니아 근무 당시 어머니와 비슷한 연배의 간호사, 기젤라를 만나게 되고 어머니와 전혀 다른 삶을 사는 그녀를 통해 어머니를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됩니다.



각 나라의 독특한 문화때문에 치료를 거부하는 환자들의 모습이 너무 아쉽기도 했습니다. 특히 다재내성 결핵이라는 전염성이 있는 병을 이웃 혹은 시댁 등의 주변인에게 알려지기 싫어 국경없는 의사회의 스탭들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그들에게 약을 전달하려고 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목숨보다 이를 더 중요시 한다는 것이 놀랍기도 했습니다. 그렇지만 가부장적인 문화가 아직 남아있는 문화권에서의 여성(며느리)는 이런 상황에 놓이면 아이와 떨어져 지내거나 더 이상 볼 수 없기도 하기때문에 한 편 이해가 가기도 했습니다.

작가는 수많은 환자들을 통해 삶을 이어나가야 되는 이유를 찾았습니다. 망자가 된 환자들을 위해 많은 눈물도 흘렸고요. 개인의 어떠한 목적으로 위험지역에서의 구호활동이었지만 그것을 통해 죽음보다는 삶의 소중함을 느꼈다면 그 보다도 소중한 것은 없을거라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