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난 - 하나님의 특별한 은혜의 도구
폴 트립 지음, 조계광 옮김 / 생명의말씀사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난 #폴트립 #생명의말씀사 #서평 #리뷰

 

고난이라는 주제로 꽤 많은 책들이 나온 것 같다. ‘part1 고난은 피할 수 없는 삶의 일부다.’ 맞다. 우리 인생은 늘 따사로운 햇살과 시원한 바람이 불기만 하지 않는다. 때로는 몰아치는 폭풍우와 비바람, 때로는 쪄죽을 것 같은 태양 빛, 건조하고 메마른 땅 같은 삶도 우리의 삶이다. 저자는 고난은 삶의 일부라는 사실을 부정하지 말고, 받아들이라고 말한다. 다만 나에게 닥쳐온 고난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에 대해서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개인적으로 이 책의 핵심은 ‘Part2 모든 고난에는 영적싸움이 있다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우리가 느끼는 감정에 네이밍(naming)을 하는 작업이 되면, 그 다음에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수월해지기 때문이다. 고난의 시간 속에서 자신이 느끼는 분노, 두려움, 시기심 등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채, 하나님과 멀어지고 자신과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깨어지는 경우가 많이 때문이다. 특별히 자신의 감정이 어떤 상태인지를 질문과 적용등을 통하여 점검하는 것만으로도 당장 고난의 문제를 해결해줄 수는 없겠지만, 그것을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은 바꿔줄 수 있다. 고난 자체보다 그로 인하여 다른 사람을 시기하게 되고, 비교하게 되고 하나님을 원망하게 되는 것을 간파하는 저자의 통찰력에 감탄하게 된다. 고난을 바라보는 관점에 저자가 초점을 맞추는 것은 똑같은 상황, 고난을 겪게 되어도, 관점에 따라 다른 반응 그리고 다른 결과를 맞이하기 때문이다. 누군가에게는 고난이 하나님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리는 계기가 되었고, 다른 이에게는 더욱 깊고 성숙한 믿음을 지니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이것이 바로 고난의 영향력이다. 폴 트립은 고난을 겪으며, 원망하다가 시간을 보낼 수도 있었을텐데,.. 그 가운데 고난의 의미와 하나님을 묵상하며 다른 이들에게 많은 유익을 주는 책을 썼으니 그에게는 고난이 유익이 되었다. 특히, 다른 관점의 영역에서 궁금해하는 의심판단하는 의심을 구별하고 있다. 고난의 상황 앞에서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그냥 받아들이는 것이 믿음이 아니라는 말이다. 하나님께 묻고, 따지고 의심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반응이라고, 정죄 받을 행동이 아니라고 우리를 안심시킨다. 나의 눈을 사로잡는 부분은 믿음의 갈등을 날마다 고백하라는 것이다. 하나님께 묻는 것은 죄가 아니다. 오히려 그분을 제대로 믿기 위한 과정이다. 아무런 대화가 없는 것이 더 큰 불신앙임을 생각해봐야 한다.

고난으로 인하여 하나님께서 지금까지 베푸신 은혜는 다 잊어버린 채로, 하나님을 향한 분노를 폭발시키는, 왜곡하여 보는 것을 주의하라. 폴 트립은 계속 반복해서 주장한다. ‘우리가 싸워야 할 대상은 우리가 당하는 고난이 아니라 그 고난이 우리의 마음에 미치는 영향이다.’라고 말이다. 고난 가운데 있는 이의 마음을 살피지도 않은 채, 하나님의 위로, 함께하심, 뜻이 있을 거야! 라고 외치는 메시지는 마음을 더 아프게 하거나, 절망에 빠뜨리게 하는 경우를 자주 보았다. ‘Part3 하나님께서 주관하시고 위로하신다는 메시지는 자신의 마음에 어떤 감정이 둥지를 틀고 있는지 정확하게 볼 때, 왜곡되어진 관점을 바로 인식하는 것부터 시작이다. 그 때서야 하나님의 위로하심, 함께하심, 고난의 목적의 메시지는 제대로 된 효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하나님이 나만 미워하신다고 느껴질 때, 하나님이 나를 사랑하신다면 어떻게 나에게 이런 일을 겪게 하셨나고 원망이 될 때 이 책을 찬찬히 읽어볼 수 있길.. 아니 미리 예방접종을 맞듯이 어려움이 닥쳐올 때, 그 때 읽었던 이 책을 떠올리며 꺼낼 볼 수 있도록 미리 읽어볼 것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든 성도는 이제 인대인이다 - 인대인, 인생 대 인생의 만남
김민정 외 지음 / 생명의말씀사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선교단체의 키워드 중에 Jesus First, Others Second, You Third 가 있다. 이 책의 구성은 YJO이다. You First, Jesus Second, Others Third 로 구성이 되어 있다. 이러한 흐름은 오랫동안 새가족부를 섬기면서 어떻게 한 사람이 신앙을 갖게 되고, 버리게 되고, 오해하게 되는지 등등 수많은 정보와 상담결과들을 관찰하고 경험하며, 어떻게 성도로 자라가는지 보여준다. 많은 이들이 자신의 문제로부터 신앙을 갖게 된다. 그리고 주님을 만나게 되고, 변화된 삶을 통해서 다른 이에게 전수하게 되는 순서를 잘 담았다.

  이 책은 나가는 말에 적혀있는 것처럼 오래전 제자훈련을 하면서 느꼈던 답답함 그리고 고민들(삶의 변화보다 지식을 얻고 과정수료에 그침, 그들만의 자부심, 공로)에 대해 문제의식을 느끼고 있다. 왜 수없이 많은 예배를 드리고, 종교적인 열심히 있는 한국교회인데 성도들의 삶은 변화가 없을까? 수많은 이유들이 있겠지만, 이 책은 말한다. 아직 주님을 인격적으로 만나지 못했다고, 내가 믿고 싶은, 그려놓은 예수를 믿고 있다고 말이다. 복음을 외치지만 정작 복음이 무엇인지 제대로 말하지 못한다고 말이다, 세상에 내 삶을 통과한 예수의 이야기를 말하지 못하는 것은 말씀대로 살지 않기 때문이라고, 오히려 세상이 만들어 놓은 이야기에 자신을 맞추며 살아가는 모습을 지적한다.

  그러한 교인들을 생각하며 쓰인 이 책은 목표가 분명하다. Missional(선교적), Relational(관계적), Incarnational(성육신적)을 추구하는 분들이 고민하고 실천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쓰인 책이기에 더욱 신뢰가 간다. 이 책의에서 그분의 이야기에서는 복음인 것과 복음이 아닌 것을 구별해주고 있다. 여기서는 팀 켈러 목사님의 주요저서에 깔린 복음에 대한 이야기들과 일맥상통한다. 그리고 그것을 복음의 정신을 오해하는 그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9가지 이야기로 좀 더 알기 쉽게 풀어놓았다고 느껴진다. 하나의 주제씩 내가 맞고있는 중학생들에게 설교하고 나누어도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p.100에서 내 증상 파악하기에서 자신의 신앙을 나 홀로 신앙, 수동적 신앙, 무능력한 신앙 등 나의 상태를 정확하게 제시한 것이 매우 유용하다. 나도 체크를 해보면서 뜨끔하는 대목들이 꽤 많았다. P.177에서 한국사회 안에는 드러나는 복합적인 갈등을 읽고 소통하기 위해서 세대분석을 한 것은 눈여겨볼만한하다. 조부모세대는 체면과 위신에 대한 집착하고, 40~60대는 개인구원과 내 삶, 경제, 편안한 삶이 키워드이다. 그리고 청소년세대는 왜? 라고 묻는다. 쉽게 동조하거나 이전 세대들과 다르다는 것은 이제는 각각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는 저자의 이야기 속에 그분의 이야기를 어떻게 세상과 소통할지에 대해서 계속 생각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결국, 이 시대는 복음이 없어서 문제이지, 오히려 위기가 기회라고 느껴지게 한다. 본질에 대한 질문, 이것은 왜 하는가? 에 대해서 질문하며 우리가 믿는 것이 무엇인지, 붙잡아야 할 가치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질문하며 답해가는 자들에게 이 책은 또 한권의 책이 아니다, 평범한 듯 보이나 평범하지 않은 귀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당 선생, 일상을 말하다
홍정환 지음 / 죠이북스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냥 흘려보내는 일상? 일상,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하는 시간이자 장소.
한 번 손을 되면, 멈출 수 없이 빨려들어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학교의 시계가 멈춰도 아이들은 자란다 - 열일곱 꽃다운친구들의 갭이어 이야기
이수진.정신실 지음 / 우리학교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병으로 대표되는 중딩이들과 함께 한 지 6년째가 되어간다.

내가 맡고 있는 이 아이들은 사실, 엄청 모나거나, 흔히 말해 말썽 부리는 아이들은

거의 없다. 그러나 아이들의 모습을 보면, 행복해보이지 않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몇몇 아이들은 주체적으로 자신의 길들을 선택해 나가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아이들은

그냥 학원에 가고 그냥 좋은 대학에 가야한다고 말한다.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하고 싶은지 사실 적성을 찾는 것이라기 보다 좋은 직업, 그나마 자신에게 맞는 직업을 찾는 것은 아닐까? 내가 뭘 좋아하고 잘하는지, 대학에 가게 되면 알까? 일부 친구들을 제외하고는 전과하고, 다시 편입하고 자신의 전공과는 상관없는 일들을 하는 대부분의 친구들을 보면서, 내가 받아온 교육에 대해서 질문들을 던지지 않는 것이 오히려 이상하다.

 

다람쥐가 쳇바퀴를 돌 듯이 월화수목금금금을 살아가는 아이들에게

잠시, 멈춤을 허락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그 틀, 그 레인(lane)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 길에서 잠시 벗어나, 전체를 볼 때 무엇을 위한 경주인지 보게 된다.

학교의 본질은 무엇일까? 공부가 무엇일까? 대학은 취업을 위한 하나의 관문에 지나지 않는 것일까? 공장제품을 찍어내듯, 똑같은 욕망, 똑같은 기준, 똑같은 목표를 향해서 살아가는 인간을 만들어 낸다면.. 그것은 우리의 직무유기가 아닐까

 

아이들은 무의미해 보이는, 시간낭비인 것 같은 그 시간들을 통해서 자란다.

갓난아기의 시절, 먹고, 자고, 똥 싸고 하는 그 시간들을 통해서 아이들은 하루 하루가 다르다고 할 정도로 자라간다.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잠을 자는 시간들을 통해서 인간은 깨어 있는 시간보다 더 많이 자라간다.

  이 책, “학교의 시계가 멈춰도 아이들은 자란다.”의 주인공들처럼 1년의 방학, 잠을 자는 시간은 효율성의 관점, 한국의 교육풍토에서는 낭비하는 시간, 무모한 도전으로 보일 것 같다. 선뜻 그 길을 선택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꼭 필요한 시간이라는 생각이 요즘 더 많이 드는 것 같다. 결국 중고등학생 시절, 자신에 대해서 알지 못하고 그냥 정해놓은 기준에 따라서 움직이던 아이들이 그들이 원하던, 부모들이 원하던 대학에 들어가서 휴학을 하고, 미쳐 마치지 못한 방황을 시작하는 것들을 심심치 않게 본다면, 미리 한 템포 쉬어가는 것이 꼭 낭비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꽃친(꽃다운 친구들)의 모습은 스카이캐슬로 대표되는 주류가치를 향한 욕망을 품고 폭주하는 한국사회에 물맷돌 들고 선 다윗의 모습처럼 보인다나답게 살기멋진 말이지만, 세상의 규정에 따르지 않고 하나님이 자신에게 주신 본연의 모습을 찾아가고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일은 많은 에너지와 수고가 뒤따르는 일이다. 세상의 북소리에 맞춰 살아가는 꼭두각시의 삶을 멈추고, 자신의 마음 깊은 곳에서 나오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나답게 살아가는 일. 그것을 위해서 멍 때리는 시간, 잠시 멈추는 그 시간이 필요하다.

 다 꽃친을 해야 하고, 1년의 시간을 의무적으로 갖어야 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다만, 이 책을 읽으며 말로는 자녀의 행복을 말하면서, 점점 행복과 멀어지는 길을 강요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부모와 자녀 모두가 수많은 돈과 에너지, 생명을 바쳐서 무엇을 위해서 살아가고 있는지에 대해서 한 번쯤 멈춰서서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그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어찌 청소년들에게만 필요할까? 곳곳에서 잠시, 멈춤을 갖는 어른들이 늘어나는 듯 하다.

나에게도 잠시 멈추는 시간이 필요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의 죄, 하나님의 구원 - 화종부 목사의
화종부 지음 / 생명의말씀사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화종부 #우리의죄하나님의구원 #생명의말씀사 #서평 #리뷰 #남서울교회

  이 책을 읽어보고 싶었던 이유는, 요즘 부서에서 복음에 관하여 지속적으로 설교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복음이란 단어는 너무나도 익숙하기도 학고, 많이 설교를 해왔고, 많은 예화들, 설명들을 들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더 깊고, 자세하고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화종부 목사님의 책을 많이 접해본 것은 아니지만, 화려하거나 기교 섞인 글보다는 말씀에 관하여 진지하고, 목회적인 마음으로 쓰셨던 것을 알고 있기에 기대가 되었다. 그리고 역시나, 목사님의 복음에 대한 진지함과 묵직함을 느낄 수 있었다. 여러 책을 읽다보면, 책을 내기 위해 쓰는 글들을 종종 접할 때가 있는데, 이 책은 성도들을 생각하며 우리의 죄에 대하여 깊이 생각해보고, 복음의 풍성함 그 은혜의 깊이, 너비, 높이를 드러내고자 한 것 같다. 그래서 창3장은 주일학교 때부터 오랜 시간동안 읽고, 듣고, 설교했지만 때로는 익숙하다는 이름으로 훅훅 지나쳐왔던 말씀에 다시 눈길을 주게 했다. 깊이깊이 묵상하면서 의미를 한껍질 한껍질 벗겨내주고, 궁금해할만한 질문들을 풀어주는 것처럼, 죽을 쑤어 입에 넣어주는 느낌이 들었다. 책의 두께는 얇지 않지만, 각각의 글들이 딱딱하거나 어려운 말들이 아니라서 읽는데 수월했다. 책을 읽고 있는데, 종종 옆에서 설교를 듣는 것처럼, 설교자로써 이대로 바로 설교를 하고 싶게 만드는 글이었다. ‘라는 주제가 쉬운 주제는 아닌데,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것을 보며, 역시 탁월하시구나! 부러웠다.

요즘, 이 시대에 왜 이렇게 복음을 값싸게 느낄까? 고민을 하면서, 하나는 자기 인식의 부재: 내가 얼마나 큰 죄인인지철저하게 깨닫지 못하는 것과 다른 하나는 대가지불: 죄를 위해서 누가 죽으셨는지... 어떤 희생이 주어졌는지는 생각하지 않는것이 아닐까 생각했다. ‘믿기만 하면 구원이라는 공식처럼 복음을 축소했던 문제, 무엇을 믿는지, 죄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제대로 알려주지 않았던 그 폐해를 맛보고 있는 이 시대에 우리의 죄에 대하여, 표면적인 죄가 아니라, 근원적인 죄악인 자기중심성에 대해서 조목조목 지적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제일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특별히 챕터8 ‘하나님의 두 가지 방책_ 실낙원 그리고 그룹들과 불칼1부의 내용이 개인적으로 제일 좋았던 것 같다. 2, 구원과 3부 구원 이후의 삶에 관한 내용들도 물론 좋지만 내가 만나는 아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죄에 대한 인식, 자기 모습을 철저하게 직면되지 않음이라는 것을 느끼기에, 1, 죄에 관한 내용이 가장 인상이 깊었다. 많은 교회들이 사순절로 지내고, 고난주간, 부활주일들을 준비하고 있을텐데.. 행사도 좋지만 하나님이 우리를 위해서 행하신 일이 무엇인지, 나는 지금 복음을 제대로 알고 있는지 이 책을 찬찬히 읽으며 많은 유익들을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 나도 아이들에게 좀 더 말씀을 잘근잘근 씹어, 잘 소화할 수 있도록 전해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