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답지 않아 다투는 우리
홍동우 지음 / 지우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회답지 않아 다투는 우리’ 


SNS에서 이 책에 관한 광고를 보았다. 제목에서 이미 마음을 빼앗겼다. 교회에 관한 이야기 같은데, 뻔한 이야기 같지 않을 것 같은 느낌이었다. 필립 얀시의 ‘교회, 나의 고민 나의 사랑’이란 책 제목이 떠올랐다. 내 예상처럼 저자는 ‘교회를 미워하면서도, 여전히 교회를 사랑하는‘ #홍동우 목사로 자신을 소개했다. 


   왜 다투는 걸까? 다투는 이유는 ‘교회답지 않아’서다. ~답다는 말은 참 부담스럽다. 목사답다, 사모답다, 학생답다, 교사답다, 부모답다는 그 말은 우리를 무언가 옭아매거나, 답답하게 한다. 하지만, ~답다는 그 말은 우리의 바람이고 기준이다. 나아가야 할 방향이기도 하다.  


   그는 먼저 가르침이 교회답지 않다고 말한다. 교회답지 않다는 그 말은 ‘교회다움에 관한 본질’을 찾고 싶은 바람이지 않을까? 교회다운 교회란 무엇이라 생각하는지 우리에게 되묻는 것 같았다. 


  “그를 지탱했던 전통적 가르침과 애써 부딪히며 비명을 질러야 합니다. 이는 신앙의 재구성을 해나가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거처야 할 단계입니다.”(P56)


  삶의 정황이 바뀌면 모든 것이 달라지는데 우리는 확신이 무너질까 두려워한다. 피터 엔즈는 ‘확신의 죄’라는 책에서 대다수의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 그분을 신뢰하기보다는, 하나님에 대한 올바른 생각을 확신하고자 하는 경향이 짙다고 말했다.

 

   그는 욥과 세친구들의 이야기를 통해 ‘신앙의 재구성’에 관해 말한다. 그러나 우리는 비명 지르기와 의심의 터널 지나기를 포기한 채, 적당한 거리를 유지할 때가 많다. 확신을 넘어 신뢰하는 길을 걷기 귀찮거나 두려워 할 때가 많다.


  기존의 교회는 질문을 불편해 한다. 방황을 달가워하지 않는다. 부정을 허용하지 않는기 때문이다.  교회 혹은 목회자가 설교하고 주장하는 것들에 절대적인 순종과 무조건적 믿음을 가르치는 것과 싸운다. 


   “정작 우리 신앙의 진정한 무대는 ‘일상’이기 때문입니다. 신앙은 곧 실제 일상 속에서의 나의 선택과 삶이 무엇을 지향하느냐의 문제로 이어집니다.”(P90)


  그는 ‘신앙의 여정’을 말한다. 우리가 발 디디고 살아가는 세상, 예배당 밖을 나와서 우리의 진짜 신앙이 드러나는 일상에서 나는 누구인지 묻는다. 아무런 의심없이 받아들이기 전에 묻고 따지라고 격려한다. 흔들리면서도 그 길을 걷는 우리를 꿈꾸자고 손 내미는 듯 했다. 


* 두번째 리더십이 교회답지 않아! 와 세번째 우리들이 교회답지 않아! 는 To be continue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