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틸유아마인 언틸유아마인 시리즈
사만다 헤이즈 지음, 박미경 옮김 / 북플라자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원래 추리 소설을 거의 읽지 않았었는데 저번달에 위선자들을 읽고 추리소설의 매력에 퐁당 빠지게 되었다.

홍보문고가 알프레도 히치콕이 돌아왔다느니 띠지에 굵게 써진 스포일러 금지라느니

홍보가 조금 오버스럽지 않나 했었는데 다 읽고나니 완전히 마음을 바꿔먹게 되었다.

나름 머리를 열심히 굴려서 추리를 해보았는데 예상치 못한 충격적인 반전에 한동안 정신 못 차릴 정도로 충격 먹었다.

내가 전혀 예상치 못했던 반전이지만 그렇다고 마지막에 급격히 꼬아서 만든 억지스러운 반전이냐고 묻는다면 절대 아니다.

무심코 지나쳤던 대화 속에서, 어휘 선택에서, 왠지 모를 어색했던 장면 속에서 사건을 논리적으로 결말로 끌여들이고 있었다.

충격에서 좀 벗어나서 안정을 찾는 순간 머릿속에 복잡하게 얽히고 꼬여있던 실마리가 깔끔하게 풀린다.

책이 500페이지에 달할 정도로 손으로 받아들면 꽤나 두꺼워서 언제 다 읽나 싶은데

일단 편안하게 자세를 잡고 읽기 시작하면 내려놓기가 힘들다.

내가 읽을 당시에 조금 할 일이 많았는데 순식간에 우선순위가 언틸유아마인 읽기로 바뀌었다.

그러고보니 언틸유아마인이라는 제목도 책 표지도 지금보니 살짝 오싹하다.

마지막 페이지, 마지막 대사까지 손에 땀을 쥐게 만든다.

이번 설 연휴에는 추리소설 몇 권 쌓아놓고 보내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이 든다.


위선자들도 그랬듯이 이 책, 언틸유아마인도 여자가 중심인물로 나온다는 것이 또 하나의 매력이다.

책이든 영화든 기존의 추리소설은 남자가 주된 영민한 역할을 맡고 여자는 다소 둔한 역할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언틸유아마인의 주인공급 등장인물인 셋, 로레인, 클라우디아, 조 모두 매력적인 여성이다.

오히려 로레인의 남편 아담이나 클라우디아의 남편인 제임스가 약간 눈치없고 방해가 되는 인물로 그려진다.

정반대의 상황. 지금껏 남자들이 현실세계에서 더 훌륭한 것이 아님에도 문학작품 속에서 훌륭하게 그려졌듯이

여자들이 현실세계에서 남자들을 압도할 정도로 뛰어나지 않아도 문학작품에서는 이제는 그렇게 그려지는 것도 꽤나 신선하고 통쾌하다. 

또 위선자들처럼 다행히도 언틸유아마인 역시 로레인 피셔 경위의 추리를 담은 시리즈물!이라고 한다.


내가 뭐 힘이 있나, 다음 권 출간을 기다리는 수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