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싯다르타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8
헤르만 헤세 지음, 박병덕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싯다르타/ 헤르만 헤세
우리는 모두 길 위의 존재들이다. 주어진 삶의 여정 속을 걷는다. 때로는 묵묵하게, 때로는 포효하기도 하면서 운명이 내 편이기를, 내가 원하고 상상하는 삶이 내 앞에 펼쳐지기를 기대하면서.
싯다르타, 2022년 새해 첫날 주문한 책이다. '헤르만 헤세'라는 이름이 주는 단단한 믿음이 아니어도 무엇인가 삶의 이정표를 발견할 수 있을 것만 같은 막연한 기대감을 갖게 하는 책이었다.
이 책은 싯다르타가 자신의 완성을 향해 나아가는 영적인 성장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싯다르타는 유복한 바라문의 가정에서 태어나 모든 사람들로부터 사랑받는 존재였다, 그는 모든 사람에게 기쁨을 주었으며, 모든 사람에게 그는 즐거움의 원천이 되었다. 하지만 정작 자신에게는 기쁨을 주지 못했고 즐거움이 그의 원천이 되지도 못했다. 싯다르타는 내면에 불만의 싹을 키우기 시작하였다. 그는 다른 사람의 사랑이 영원토록 자신을 행복하게 하여 주시도, 자신을 달래주지도, 흡족하게 하여 주지도, 자신을 만족시켜주지도 못하리라는 것을 느끼기 시작하였다. 그는 자기 존재의 내면 속에 삼라만상과 하나이자 불멸의 존재인 아트만이 있음을 어렴풋이 깨닫는다.
그는 온갖 번뇌로부터 자신을 비우는 것, 자아로부터 벗어나 이제 더 이상 나 자신이 아닌 상태로 되는 것, 마음을 텅 비운 상태에서 평정함을 얻는 것, 자신을 초탈하는 상태의 경지에서 경이로움에 마음을 열어놓은 것이 목표였다.
그는 이런 목표를 이루기 위해 친구 고빈다와 함께 집을 떠나 사문의 길을 걷는다. 사문 생활을 하며 명상을 하고 고통과 굶주림을 극복함으로써 자기 초탈의 길을 간다. 그러나 그 길 또한 자아와 시간의 속박에서 벗어나지 못함을 깨닫게 된다.
사문 생활을 하던 중 그는 세상의 번뇌를 극복하고 윤회의 수레바퀴를 정지시킨 부처 고타마의 소문을 듣게 되고 마침내 고타마를 만나게 되지만 어느 누구에게도 해탈은 가르침을 통하여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으며 고타마를 떠난다.
그는 세상으로 나와 기생 카밀라에게서 사랑의 기술을 배우고 재산도 얻고 권력도 얻는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영원한 윤회의 수레바퀴 속에 빠져 들어가 있음을 깨닫고 또다시 길을 떠난다.
그는 생명의 근원인 강에 이르러 뱃사공 바주데바와 함께 생활하며 온전한 평화에 이르는 길을 깨닫게 된다. 깨달음은 외부에 있지 않으며 오로지 자신의 내면에 있음을 깨닫는다. 자기완성의 길은 외부의 가르침을 통해 주어지지 않으며 자신의 체험, 삶을 온전히 수용하고 받아들일 때에만 이를 수 있는 길임을 깨닫게 된다.
일체의 소리들, 일체의 목적들, 일체의 그리움, 일체의 번뇌, 일체의 쾌락, 일체의 선과 악, 이 모든 것들이 합쳐져서 이 세상을 이루고 있었다. 이 모든 것이 합쳐져서 사건의 강을 이루고 있었으며 생명의 음악을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싯타르타가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서 이 강에, 이 수천 가지 소리에 어우러진 노래에 귀를 기울일 때면, 그가 고통의 소리에도 웃음의 소리에도 귀 기울이지 않고, 자신의 영혼을 어떤 특정한 소리에 묶어 두거나 자신의 자아와 더불어 그 어떤 소리에 몰입하지 않고 모든 소리를 듣고, 전체, 단일성에 귀를 기울일 때면, 그 수천의 소리가 어우러진 위대한 노래는 단 한 개의 말로 이루어지는 것이었으니 그것은 바로 완성이라는 의미의 옴이라는 말이었다.(싯다르타 196페이지)
완성의 의미 옴은 모든 것은 온전히 수용하였을 때에 우리의 내면에서 울려 퍼지는 영혼의 소리다. 싯다르타가 자신의 운명과 싸우는 일도, 고민하는 일도 그만 두었을때 그는 온전한 평화에 이르렀다. 자신의 운명을 상상하고 그 방향으로 끌고 가려 안간힘을 쓰면서 우리는 살고 있다. 그러면서 마음의 평화를 염원하고 깨달음과 해탈을 염원한다. 주어진 삶과 대립할 때 평화는 우리에게서 멀리 도망가 버린다. 갈등과 분노와 괴로움이 그 곳에서 일어선다.
'데미안'의 싱클레어처럼, '싯다르타'의 싯다르타처럼 우리는 자기완성을 염원하며 살아간다. 그 해답이 결코 자신의 외부에 있지 않음을 가르쳐 준 책이다. 내 삶의 이정표는 결국 내 안에 있음을 확인한다. 가볍고 얄팍한 확신이라 작은 바람에도 또다시 흔들릴지라도 다시 알아차리면 된다.
새해가 되면 새로운 결심을 하고 새해로 계획을 세운다. 그 중심에 '내가 있는가' 나 자신에게 묻는다. 싯다르타는 자기완성을 위해 스스로 나아갔지만 아직은 싯타르다도 부처 고타마도 작가 헤르만 헤세도 곁에 두고 싶은 영적 스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