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트 레벨 3 : 우주 탐사 - 야무진 10대를 위한 미래 가이드 넥스트 레벨 3
이정모.최향숙 지음, 젠틀멜로우 그림 / 한솔수북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가 처음으로 달에 도착했던 1969년, 그때만 해도 
인류가 우주를 여행하는 것은 아무나 할 수 없는 일이었죠!
그러나 이젠 미국과 소련 같은 초강대국만의 일이 아니에요.
유럽, 중국, 일본, 인도, 한국 또한 우주로 진출하고 있어요.

이제는 단지 우주를 여행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지속 가능한 새로운 자원들을 찾고, 생활 터전을 찾고 있어요.
다가올 미래에 우주에 인류의 터전을 만들게 될지도 몰라요.

어쩌면, 우리 아이들 세대에, 혹은 그보다도 먼저!
세계 각국 사람들이 우주선을 타고 우주를 누비게 될지 모릅니다.

그래서 우리는 알아야 해요. 우주로 향했던 우리의 역사를,
어떤 시도를 했고 어떤 실패를 겪었는지, 또 이를 통해 배웠는지
앞으론 어떤 우주 탐사의 노력이 이루어지게 될지를 말이에요.

 

책의 처음은 스푸트니크호와 아폴로 11호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우주 시대의 서막을 연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와 2호의 발사,
그리고 최초로 유인 달 탐사용 아폴로 11호를 달로 보낸 미국.
특히 아폴로 계획은 무려 17호까지 있다고 하지요? 

공산주의와 자본주의를 대표하는 두 진영의 경쟁은
적대적인 관계만큼이나 급격한 기술의 발전을 이루었어요.

 

두 나라는 왜 우주선이 아닌 인공위성부터 쏘았을까요?
한 마디로 자신들의 적을 제대로 감시하기 위해서였어요.
또 기술적으로도 인공위성을 먼저 쏘아 로켓의 성능을 확인하고
이후 유인 우주 탐사를 계획하는 것이 맞는 순서라고 하네요.

로켓이 어떻게 인공위성을 우주로 나르는지 궁금하지 않나요?
과학 기술들이 집약된 이 첨단 기술을 독자적으로 가진 나라는
누리호를 쏘아 올린 우리나라를 포함해 총 10개 나라에 불과해요.
특히 1톤 이상 탑재체를 쏘아 올릴 수 있는 나라는 7개뿐이랍니다.
 
 

서로 아찔한 경쟁을 하던 미국과 소련은 소련의 해체와 더불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해요. 우주 탐사를 위해 힘을 합치게 되었죠.
미국, 소련뿐 아니라 유럽 국가와 일본, 중국, 인도 등의 나라도
등장하기 시작한 우주 산업! 민간기업들마저 참여하게 되며,
세계 과학자들의 다양한 협력과 공조가 이루어지고 있답니다.

과학자들은 이제 인공위성과 우주선, 우주망원경 외에도
우주 탐색을 위한 무인 탐사선을 우주로 쏘아 올리고 있답니다.
보이저 1,2호가 태양계를 벗어나 심우주로 나아가고 있다는
이야기를 아이들과 며칠 전에 나누었는데 책 속에도 있더라고요.
보이저 1,2호는 태양계 너머의 우주에 대한 데이터를 보내며 
여전히 끊임없이 지구와 계속 교신을 하고 있다니 놀랍지요?

 

우주 탐사는 물리학 뿐 아니라 기상학, 지질학, 해양학 등
지구과학 여러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 화학과 생물학까지
영향을 끼치며 다양한 과학 분야의 기술 발전을 이끌었어요.
나아가 로봇기술과 신소재 연구, 통신 기술까지도 말이죠.

인간은 여전히 우주의 티끌이지만 끊임없이 배워가고 있어요.
우주를 통해 배운 다양한 것들을 우리 삶에 적용하며
인류는 여전히 생존을 위한 탐사와 연구를 계속하고 있답니다.

 

우주와 우주를 탐사하는 모든 일들이 무엇 때문에 시작되었는지
어떻게 성공을 하고 어떤 변화를 거쳐 발전을 이루고 있는지
우주와 우주 탐사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주고 있는 책이에요.

이제 우주 과학도 다음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갈 차례!
우리의 미래에는 또 어떤 변화들이 이루어지게 될지,
우주에서 우리는 과연 무엇을 찾게 될지 더욱 기대하게 됩니다.

인공지능과 메타버스, 그리고 우주 탐사의 이야기까지 이어온
야무진 10대를 위한 미래 가이드 [ 넥스트 레벌 ] 시리즈!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자율 주행, 로봇, 기후 위기, 팬데믹과 백신,
생명공학과 뇌과학, 과학 혁명의 이야기까지 많이 기대해 주세요.

 
🌿위 리뷰는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