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서 오세요, 이야기 수학 클럽에 - 숨겨진 수학 세포가 톡톡 깨어나는 특별한 수학 시간
김민형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22년 8월
평점 :
[한국인 최초! 옥스퍼드대 수학과 교수!], [세계 최초! 수학 대중화 석좌교수!] 이런 엄청난 최초 타이틀을 지닌 세계적인 수학자 김민형 작가의 특별한 수학 책이 출간되었다. 부제처럼 '숨겨진 수학 세포가 톡톡 깨어나는 특별한 수학 시간'을 선물해 주는 책 <어서 오세요, 이야기 수학 클럽에>가 바로 그것이다.
수학을 배운지 오래된 부모들에게는 오직 공식 제목만 생각나는 것이 수학이다. 나름 이과였는데도 어쩜 이리 모르는지 모르겠다. 뫼비우스의 띠, 피타고라스의 정리, 방정식 등은 그나마 조금 대답을 해도,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뭐였는지, 오일러의 법칙이나 위상수학이 뭔지, 신발 끈 공식이나 모듈러스는 또 뭔지 어쩜 이렇게 다 잊어버렸을까?
선행이 많아 수학 또한 원리 없이 무조건 머릿속에 집어넣는 아이들이 많은 요즘, 어쩌면 이 책은 수학이 무엇을 하기 위한 것인지, 왜 존재하는 것인지 어디서 재미를 느껴야 하는지 근본적인 생각을 깨쳐주는 책이 아닐까 싶다. 읽고 나면 뭐에 한대 맞은 듯, 댕 하는 느낌도 들면서, 또 아니 "수학 책인데 왜 이렇게 재미가 있지?"라는 의문점 떠오른다. 정말 신기한 노릇이다.
아직 이 책의 수학 개념들을 모르는 4학년 아이에게 이 책이 왜 재미있는지 알려주고 싶어 함께 뫼비우스의 띠를 만들어보았다. 아이와 함께 고리 모양도 만들고 뫼비우스의 띠 모양도 만들었다. 두 가지를 놓고 책에 나온 경계선과 위상의 개념을 설명해 주었는데, 기가 막히게도 아이는 100% 이해하였다. (책 속 설명을 그대로 해주었을 뿐이다. 정말 쉬운 설명이었다.)
책에 나온 뫼비우스의 띠를 자르는 것도 아이와 함께했다. 일반 고리 모양 띠는 경계선이 원 2개지만, 뫼비우스의 띠는 원 1개가 되는 것부터 아이의 눈이 똥그래진다. 그리곤 책처럼 뫼비우스의 띠를 반으로 갈라보았더니 정말 2번 비튼 모양의 8자 모양 띠가 2배 길이로 생겼다. 2개의 원이 엮였으니 경계선이 2개가 되는 순간이다. 뫼비우스의 띠는 반으로 잘랐더니 자르기 전 뫼비우스 띠와 다른 위상이 되는구나. 눈으로만 책을 볼 땐 이해하지 못하던 것을 직접 같이해보니 이해가 쏙쏙 되었다.
이때, 중1 둘째가 옆에서 보고 있더니, 뫼비우스에 대해 학교에서 배웠다며, 뫼비우스 자르기 실험을 하나 더 보여준다. 덧붙여 뫼비우스를 여러 모양으로 붙이고 자를 수 있다고 알려준다. 교과서는 아니지만, 수학 선생님이 너무 재미있게 가르쳐 주셨다며 이 책에 이 내용이 나오니 신기하다며 재미있어 했다. 그리곤 얼른 검색을 해보더니 재미있는 걸 보여주겠단다. 8자 모양으로 한 번 가른 뫼비우스의 띠를 한번 더 얇게 갈라보겠다는 것이다. 옆에서 지켜보고 있던 둘째가 절로 참여자가 되어 수학 속으로 들어왔다.
아이 말대로 한 번 더 뫼비우스의 띠를 가르자 또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2번 꼬인 뫼비우스의 띠가 2개로 늘어나면서, 둘 사이가 마치 마술 속 고리 두 개를 연결한 듯 만들어졌다. 두 띠를 분리할 수 없게 얽힌 모양이 되었다. 직접 자른 둘째도, 그 모습을 바라보던 막둥이도 아주 난리가 났다. 엄마인 나도 재미있으니 오죽할까?
이 책은 이런 책이다. 별 관심이 없던 아이들의 호기심을 반짝이게 자극한다. 자신이 아는 부분이 나오면 나오는 대로, 모르는 부분이 나오면 그런대로 절로 책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게 된다. 뫼비우스 개념을 익힌 중1 아이는 배운 적 없는 피타고라스의 정리 부분을 이어서 재미있게 읽는다. 위상수학의 개념도 이해했다며 눈을 반짝인다. 고1 아이는 "책에 신발 끈 공식이 나왔네?"라며 이 책을 반긴다. 아니 이게 뭐라고 온 가족이 모여서 수학 책을 바라보게 된다. 진귀한 경험이었다.
어찌 보면 수준별 학년별 구분도 없다. 교과서에 나오는 수학을 정리한 책도 아니다. 암기를 하거나 문제를 내고 맞추라는 수학 책도 아니다. 그런데 수학 책을 읽으며 모두가 즐거움을 느꼈다. 참 신기하고도 즐거운 경험을 하였다.
이 책은 예비 중등부터 고등학생까지 모두에게 추천하고 싶다. 수학이 참 즐겁다는 것, 재미있다는 것! 어쩌면 이 책을 읽는 모든 이가 느끼게 될 선물 같은 감정이 아닐까? 참 재미있었다. 아주 충분히 말이다.
※위 리뷰는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