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소해서 물어보지 못했지만 궁금했던 이야기 2 - 일상에서 발견하는 호기심 과학 ㅣ 사물궁이 2
사물궁이 잡학지식 지음 / arte(아르테) / 2022년 3월
평점 :
일상에서 발견하는 호기심 과학을 모아 모아!
국내 최대 과학채널 '사물궁이 잡학지식'을 아시나요?
어느새 151만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는 사물궁이.
저희는 과학 채널 유튜브를 좋아하는 아들 덕분에
거실 TV 유튜브에서 진작 구독해두고 보고 있었어요.
청소년이 추천한다는 베스트 유튜브 채널이라더니
저희집 청소년들도 좋아하고 제가 봐도 재미있네요.
유튜브 사물궁이의 모든 지식을 책으로 담았어요.
하나하나 채널에서 영상으로 보아도 재미있지만,
책으로는 관심사끼리 정리가 잘 되어서 더 좋네요.
1부 - 알면 알수록 빠져드는 신비로운 뇌 이야기
2부 - 엉뚱하고 흥미진진한 궁이 실험실
3부 - 알아 두면 쓸데 있는 생활 궁금증
4부 - 자다가도 생각나는 몸에 관한 궁금증
5부 - 몰라도 되지만 어쩐지 알고 싶은 잡학 상식
5가지로 나누어 과학지식을 설명해 주니
관심분야를 콕 찍어 골라볼 수 있어 더 좋더라고요.
흥미로운 분야가 정말 많고, 재미가 없을수 없어요.
누구나 한 번쯤 궁금했을 법한 과학에 대한 이야기라
질문마다 맞아 맞아! 하며 물개 박수를 치게 되네요.
저희집 아이들은 워낙 자주 보는 채널이라 그런지
책이 집에 도착하자마자 찐으로 반가워 하더라구요.
연령 구분 없이 막둥이도 좋아하는 사물궁이예요!
40가지에 달하는 재미난 과학 상식이 가득하지만
그 중에서도 재미있는 몇 가지만 소개해 볼게요.
🏷
1.거울 속 나와 사진 속 나는 왜 달라 보일까?
: 사람의 시각 정보처리 능력은 우뇌가 더 뛰어나기 때문에, 얼굴을 볼 때 보는 방향 기준 왼쪽 얼굴을 먼저 본다고 해요. 거울 속 얼굴을 볼 땐 왼쪽 얼굴이 먼저 보는 것에 익숙하지만, 후면 카메라로 찍은 자신의 얼굴에서는 오른쪽 얼굴이 먼저 보이게 되므로 대부분 비대칭인 얼굴로 인해 내가 알던 얼굴과 다른 얼굴이라는 느낌이 든다고 합니다.
🏷
8. 유체 이탈은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일까?
: 뇌는 시각, 촉각, 몸속 느낌 정보 등을 서로 다른 부위에서 처리한 다음 하나로 모아 '나'로서 인식해요. 대뇌 피질 중 이런 정보가 모이는 곳이 측두 두정 접합부이며 바깥세상에 대한 정보와 내 몸에 대한 정보가 이곳에서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이 부위에 문제가 생기면 유체이탈을 경험하게 된다고 합니다.
🏷
18. 가위바위보 게임은 정말 공정할까?
: 게임 참가자는 가위, 바위, 보 중에 하나만 낼 수 있으므로 승리와 패배, 무승부의 확률은 각각 33.3퍼센트로 같습니다. 이래서 우리는 가위바위보가 공정하다고 생각하지요. 하지만 가장 큰 변수가 하나 있으니 바로 게임의 주체가 사람이라는 점입니다. 앞선 게임의 결과가 다음 게임에 영향을 주지요. 따라서 가위바위보에서 이길 확률은 33.3퍼센트가 아닙니다.
🏷
23. 자전거나 우산의 손잡이는 왜 끈적거릴까?
: 이 현상은 고분자 표면이 열이 나 자외선, 산소 등에 의해 열화 되면서 고체보다 액체의 성질을 더 많이 가질 때 일어난다고 합니다. 플라스틱이 쉽게 바스러지는 것도 같은 이유고요. 이럴 땐 에탄올, 물파스, 살충제 등의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제거하면 됩니다. 또 휴대폰 투명 케이스가 누렇게 변하는 것은 폴리우레탄이 자외선에 노출되며 퀴노이드가 생성되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
27. 똥 마려운 걸 참다 보면 왜 괜찮아질까?
: 대장은 하루에 1~3회 정도 배변 운동을 일으켜 장을 움직이게. 갑자기 대변이 마려운 이유도 이것 때문이죠. 위와 소장이 자극을 받으면 배변 운동을 일으키므로 식사 직후에도 마려운 느낌이 듭니다. 그리고 이렇게 마려운 대변을 참다 보면 순간적으로 괜찮아지는 이유는 이완 상태에 있기 때문이고요. 금방 다시 마려운 것도 수축과 이완이 반복되기 때문이라네요.
과학 상식도 넓히고, 정확한 근거와 과학적 탐구도 함께할 수 있는 책. 읽다 보면 그동안 궁금했던 나만의 궁금증이 절로 해소되는 호기심 과학책 <사물궁이 2>였습니다.
🌿위 리뷰는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