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직 엘리베이터 1 : 인체 - 브라운앤프렌즈 지식그림책 매직 엘리베이터 1
황시원.한고은 지음, 도니패밀리 그림, 황신영 감수 / 아울북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엘리베이터를 타면 신비한 모험의 세계로 갈 수 있다면?

 
초등 교육 과정을 기반으로 만든 과학 지식 그림책!
귀엽고 친근한 #브라운앤프랜즈 친구들이 등장하는
과학 그림책 <매직 엘리베이터> 가 출간되었어요.
인체, 곤충, 공룡 등의 과학 주제 그림책이랍니다.

<매직 엘리베이터> 시리즈는 더욱 쉽고 재미있ㅗ게
지식을 접할 수 있도록 그림책 형식의 이야기 속에
여러 가지 과학지식들을 자연스럽게 녹여냈답니다.
 
과학 지식책을 처음 접하는 어린이들도 쉽게 익히고
거부감 없이 재미있게 빠져들 수 있는 과학 책이지요.
 

 
 📖
라인 아파트에 살고 있는 사이좋은 친구들.
브라운, 코니, 초코, 에드워드, 레너드, 팡요, 샐리, 제시카는
우연히 아파트의 매직 엘리베이터의 비밀을 알게 되고
말이 많은 엘베르토와 함께 매직 엘리베이터를 타고,
마치 마법과도 같은 여행을 떠나게 됩니다.

매직 엘리베이터는 평소엔 아주 평범하지만,
호기심이 발동하는 순간, 매직 엘리베이터가 되거든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매직 엘리베이터!
어디로 모험을 떠나게 되는지 궁금하시죠?
 
 
 
첫 번째 이야기는 바로 <인체 편>이랍니다.
아이들이 가장 궁금해할 만한 사람의 몸속을 여행하지요!

입안에서 시작한 여행은 소화액이 가득한 위장을 통해
융털이 가득한 작은창자와, 똥이 가득한 큰창자를 지나요.
다시 매직 엘리베이터로 혈관으로 이동하게 된 친구들은
적혈구 원반을 타고 혈관을 통해 심장으로 이동합니다.

심장과 폐를 연결하는 혈관을 통해 폐로 이동한 친구들은
포도송이 같은 폐포가 가득한 폐를 구경한 후 뇌로 이동해요.
수천억 개의 신경세포로 이루어진 뇌를 둘러본 친구들은
매직 엘리베이터를 타고 척수를 이용하여 이동한 뒤
뼈와 근육을 둘러보고 피부의 한가운데인 진피도 탐험하죠.
결국 땀샘에 빠져 관을 타고 밖으로 나온 브라운과 친구들!

 
-
 
 
🐻 인체 속을 여행하며 엄청난 정보들을 확인하는 시간!

✔트림은 왜 하는걸까?
✔하루에 오줌은 얼마나 눌까?
✔오줌을 누면 왜 몸이 부르르 떨릴까?
✔방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혈액은 어디서 만들어질까?

끝없이 이어지는 우리 아이의 질문처럼
우리 몸을 여행하다 보면 절로 들게 되는 질문들을
조목조목 쉬운 설명과 선명한 그림으로 설명합니다.

일상에서 인체에 대해 가졌던 흔히 궁금했던 점들!
아마 여기에 다 있을걸요?
 
 
 
🐻 이쯤 되면 신기한 스쿨버스 같은 책들 떠오르시죠?
저도 몇 권 가지고 있어서 살짝 비교도 해보았답니다.
사실 읽기 전엔 비슷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요.

엄마와 아이의 눈으로 책을 읽으며 명확하게 살펴보니
역시나 아무래도 외국 정서로 만들어진 책들보다는 저는
이 책이 좀 더 와닿고 선명한 재미가 느껴진다고 할까요?
알차고 풍성한 내용에 뭔지 모를 뿌듯함이 느껴지더라고요.

 

🐻 그래서인지 뇌과학 박사인 장동선 박사님과,
국립 과천 과학관장이신 이정모 관장님 등 많은 분들이
이 책 매직 엘리베이터를 강력히 추천해 주셨어요.
전문가들의 추천이 더해지니 더욱 신뢰감이 느껴집니다.

 

🐻 여기에서 꿀팁 대방출!!
매직 엘리베이터 인체 편에는 인체 포스터가 제공됩니다.
한창 인체에 대해 궁금한 아이들을 위해 인체 포스터를
벽에 붙여두고 아이와 함께 이야기해 보면 어떨까요?
이야기 속의 줄거리와 연결 지어 다양한 질문을 함께하면
내용에 대한 복습을 통해 더욱 탄탄한 지식이 쌓여갑니다.

또 온라인 서점과 웃찾공 네이버 카페 등을 통해 
독후 활동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어서 더욱 좋답니다.
인체, 곤충, 공룡 세 권의 주제에 맞는 독후 활동 9가지로
아이와 책의 내용을 다시 짚어보고 정리해 본시면 굿굿!!
다른 그림 찾기나 네모 로직, 컬러링, 빈칸 채우기 등의
지식 점검과 재미를 업그레이드해주는 활동이 가득해요.


🌿위 리뷰는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