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아, 미안해 함께 사는 세상 환경 동화 2
윤소연 지음, 이현정 그림 / 아주좋은날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희 가족은 3~4년 동안 충남 보령 지역에서 살았어요.
보령에 살았던 수년 동안 바다를 참 많이 다녀보았어요.
보령은 서해인지라, 갯벌이 상당이 많이 발달해있거든요.
갯벌 체험을 하기 좋은 곳들이 정말 많은 지역이랍니다.
보령 시내에 갯벌생태문화관이 따로 있을 정도라지요.

보령에 살던 때, 저희는 주말마다 갯벌에 가곤 했었어요.
갯벌에서 살고 있는 신기한 생명체도 참 많이 만났답니다.
그래서 저희 아이들에게 갯벌은 아주 익숙한 곳이에요.

 
 
갯벌은 갯벌 생물뿐 아니라 우리에게도 소중한 곳이에요.
갯벌의 동식물과 미생물이 오염물질을 분해하고 정화시켜서
육지에서 오는 오염 물질이 바다로 들어가는 것을 걸러내고,
홍수가 나거나 폭우가 내렸을 때 갯벌의 흙과 모래들이
많은 물을 흡수해 줌으로써, 큰 피해를 줄여주기도 하거든요.

이 갯벌에 살고 있는 많은 동식물과 미생물은 저마다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갯벌에서 살아가고 있답니다.
저마다의 역할을 잘 해주기에 갯벌이 유지될 수 있지요.

그러나 자꾸만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수많은 갯벌들이
오염되거나 파괴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요즘이랍니다.
그렇게 무너진 갯벌은 결국 우리에게 피해로 돌아오지요.
욕심만으로 소중한 갯벌을 망치는 일은 이제 없어야합니다.

 
-
 

📖
뿔논병아리 두 마리가 마음을 확인하고 알을 낳았어요.
그러나 어쩐 일인지 큰비가 내렸고, 뿔논병아리 부부는
부화되지 않은 하나의 알을  두고 떠날 수밖에 없었지요.

새로 이사 온 세빈이에게 갯벌 썰매를 태워주려던 지오는
세빈이를 화나게 했고, 갯벌에서 반짝이는 알을 발견해요.
부화기로 부화시켜보니 알에서 뿔논병아리가 태어났지요.
지오는 이 아기 뿔논병아리를 '째째'라고 불렀답니다.
쨰째의 먹이도 구하고 좋아하는 세빈이의 화도 풀어줄 겸,
지오는 세빈이, 째째와 함께 갯벌을 자주 가게 되었어요.

그러던 어느 날, 갯벌에 있던 바지락들이 모두 사라지고,
물고기도 조개도 모두 말라버리고, 죽어가는 것을 보게되지요.
대체 지오네 갯벌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요?

 
✔ 과연 지오네 마을의 갯벌은 어떻게 될까요?
✔ 갯벌을 다시 살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갯벌에 살던 생물들은 모두 괜찮아지는 걸까요?
✔ 갯벌에서 살아가는 각 생물들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 째째는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 부모님을 만날까요?

 
 
참 미안하게도 갯벌이 쓸모없다고 여겼던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갯벌에 대한 중요성이 많이 강조되고 있지요.
갯벌은 자연이 우리에게 준 정말 소중한 보물이라는 것도
이 소중한 갯벌을 우리가 지켜야 한다는 것도 알고 있어요.

드디어 2021년 7월 26일 WHC(세계 유산위원회) 가
대한민국의 갯벌을 세계 자연 유산으로 등재하였답니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갯벌을 보호해야 한다는 의미랍니다.

우리나라 갯벌의 넓이는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든대요.
이렇게 대단하고 소중한 우리의 갯벌, 더 이상 후회하기 전에,
우리 모두가 최선을 다해 지키고 보호해야 하지 않을까요?

 

재미있는 동화를 통해 갯벌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더욱 자연스럽고 보다 재미있게 배울 수 있어 좋았답니다.
여러분도 <갯벌아, 미안해>를 통해 갯벌에 대해 알아보고
갯벌이 우리에게 꼭 필요한 이유를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우리의 소중한 자원인 갯벌에 대해 배워보는 환경동화
#애플트리태일즈 의 <갯벌아, 미안해> 였습니다.
 
 
 
 
🌿위 리뷰는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