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히말라야는 왜 가?
백운희 지음 / 책구름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 정치하는엄마들 공동대표, 대전일보 기자였던, 백운희 활동가이자 작가의, 엄마가 된 후 처음 떠났던 히말라야 여행기이다. 떨리는 마음으로 히말라야로 향했던 그녀의 여행 기록과 함께 그녀의 육아 이야기, 성장 이야기, 여성으로서의 사회 이야기 그리고 엄마로서의 정체성 이야기를 하고 있다

저자는 사회로부터 부여받은 누군가의 아내, 자녀를 둔 엄마, 경단녀, 전업주부, 육아맘, 맘충 등의 이름들을 걷어내고 나를 규정하는 호칭과 정체성을 떨쳐내고 싶다면, 외부의 편견과 시선에 당당히 대응하고 우리만의 주체성을 지니고 바깥세상으로 나아가자고 이야기한다.

이 책은 단순히 여행 에세이가 아니다. 또 여성인권에 대해 이야기하는 여성학 책도 아니다. 담담한 여행 기록과 사진들 사이사이에 울림을 주는 메시지가 가득하다. 담담히 읽다 보면 먹먹해지기도 하고, 공감하기도 하고, 사회적 문제에 공분하기도 하고, 또 나도 나만의 히말라야를 넘어보아야겠다는 다짐까지 함께하게 된다. 정말 놀라운 경험이었다.

우리는 이제 또 어떤 히말라야를 만나고 어떤 이야기와 함께 넘게 될까.
.
.
🌿"아이는 어떻게 하고 여행을 가요?" "남편이 허락은 해 줬어요?" 곧장 질문이 쇄도한다. 기혼 여성에게 향하는 잣대와 엄마에게 요구되는 모성의 무게가 일시에 더해진다. "엄마이기에 앞서 본연의 나'로 서고 싶다는 욕망은 사회적 저항은 물론 자기검열을 거치는 과정에서 소거되기 쉽다.(P.12)

🌿2017년 1월, 마침내 지진 피해의 아픔을 가진 네팔의 랑탕 계곡으로 향했다. 혼자인 동시에 함께하는 여정이었고, 엄마 정체성을 잠시라도 탈피하고 싶었던 여성으로서 도전하며 연대를 확인하는 여행이었다. (중략) 지진으로 상처받은 이들과 마을에 위로를 건네고, 세월호 참사 1000일을 추모하며 자신을 돌아보는 과정이었다.(P.16~7)

🌿그날은 친구와 만나기로 한 날이었다. 취업 준비생으로 살며 시간도 돈도 없던 나를 친구는 살뜰히 챙겨주었다. (중략)"너는 대학에 가면 가장 먼저 어디로 여행을 가고 싶어?" "히말라야. 한국 여성 최연소 히말라야 등정, 이런 거 멋있잖아." (중략)그랬던 친구가 오랜만에 나와 만나기로 한 날 스스로 죽음을 선택했다는 사실을 나는 도대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중략) 친구의 아픔을 미처 알아차리지 못한 부채감과 마지막을 함께하지 못한 미안함으로 내가 선택한 것은 그 몫만큼 대신 살아내겠다는 다짐이었다. (중략)히말라야에 가야 할 이유는 차곡차곡 쌓여갔다.(P.31~2)

🌿"애 엄마 외모 맞아?"라는 말은 칭찬처럼 들린다. '애 엄마'를 향한 규정 자체가 차별적이고 폭력적이지만 '애 엄마' 이면서도 '애 엄마' 처럼 보이지 말라는 압박 역시 별반 다를 바 없다.(p.61)

🌿티베트어로 인간은 '걷는 존재'. 혹은 걸으면서 방황하는 존재'를 뜻한단다. 나는 계속 '걸어가는 사람'이기를 희망한다. 달리기보다 속도는 느리고, 짧은 시간 안에 목표를 끌어올리지는 못해도 보다 오래, 꾸준히 걸어가는 사람이 되고 싶다.(P.66)

🌿일행들에게는 서로 교차하는 지점과 느슨한 연대가 있었다. 나 역시 다양한 정체성과 결을 지닌 사람들 속에서 내가 지닌 특권을 인식하는 동시에 소수자이자 약자가 될 수도 있음을 깨우쳤다.(P.146)

🌿'비정한 엄마'가 되고 싶지 않았을 뿐인데 '경력단절 여성'이 되었다. 비정한 엄마도, 경력단절 여성도 결코 원하지 않았다. 그러나, 나는 그렇게 불렸다.(P.178)

🌿멋진 광경에 탄복하면서도 환경이 훼손될까 두려운 마음으로 가파른 언덕길을 오르니 구름의 언덕이 기다리고 있었다. 바덜단다(3,210m). 발아래 놓은 구름을 보며 친구를 떠올렸다.(P.247)

🌿히말라야는 '바람길'이었다. 구석에 웅크리고 숨으려고 들면 자꾸 바깥공기를 불어 넣으며 세상과 이어주는 통로였다.(중략) 불안이 일상을 짓누르는 요즘, 모두에게 소망한다.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불안과 좌절에 걸리지 않기를,"(P.250)

* 위 리뷰는 책구름1기로서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직접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